Development and its Effect of Elementary School Technology Education Program Using History of Technology

기술사를 활용한 기술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효과

  • Published : 2014.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ere to develop program of elementary school technology education using history of technology and to learn about its effect.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e developed the program by referring to various records and perform the qualitative experiment study through several questionnaire, pictures and materials, to learn about the program effect. The research took the mixed-model design, consisted of collection of quantitative data by Likert scale and collection of qualitative data including the open-ended questions. And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below. First,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technology education program using history of technology was developed as program for 12 hours, 12 themes, for the elementary levels. Second, seeing the result of program of elementary school technology education using history of technology, the program for history of technology for the primary school students, a majority of answers showed high satisfaction about the program, giving answers such as 'I want to do it again following hands on minds on activity.' Third,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the qualitiative evidence of the program, students were found to take pictures with hands on minds on activity camera obscura with much interest and curiosity. Many students are seen to complete the task on their own with a great a look of self-satisfaction, understanding the principle of camera.

이 연구는 기술사를 활용한 기술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그 적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고찰을 통해 기술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프로그램 적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 사진 및 활동자료 등을 통한 양적 질적 실험 연구를 하였다. 연구의 설계는 Likert 척도에 의한 양적 자료 수집과 개방형 질문을 함께 포함하여 질적 자료를 수집하여 혼합모형설계(mixed-model design)를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결과 첫째, 기술사를 활용한 기술교육 프로그램은 12 주제로 이루어진 총 12차시의 학생용 교사용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기술사를 활용한 기술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기술사 프로그램의 만족도에 대하여 '다음에 또 이러한 체험활동을 계속하고 싶습니까?(4.95)'라는 의견이 가장 높았으며, '실과 교과에 대한 인식이 좋아졌습니까?'라는 의견이 가장 낮았다. 전체적으로는 학생들의 체험활동 과제로 적절하고 다음에 이러한 활동을 하고 싶으나, 실과 교과의 인식의 개선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를 통하여 기술사를 활용한 기술교육 프로그램의 구성과 난이도, 만족도 등 전반적인 만족도가 높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개방형 질문지를 통해 얻은 결과, 흥미로웠던 점은 카메라 옵스큐라로 그림 그리기가 13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재미있었던 점은 카메라를 직접 만들고 감광지를 이용하여 직접 사진을 찍어 인화하기가 16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더 알고 싶은 점은 현재의 DSLR 카메라의 제작원리를 알고 싶은 학생이 5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부족한 점은 현재 카메라의 기능과 사용방법을 알고 싶은 학생이 1명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석진, 김영희, 노태희(2004). 과학사를 이용한 소집단 토론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996-1007.
  2. 교육인적자원부(2007). 중학교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
  3. 김남일, 강태완(1998). 초등학생들의 광합성에 대한 오개념 유형 조사와 실험 및 과학사 자료를 이용한 개념적 탐구연합 프로그램의 오개념 교정 효과. 과학교육연구, 21, 33-55
  4. 김은경, 양승훈(1996). 과학사적 수업이 관성 개념의 지속에 미치는 효과. 과학교육연구지, 20, 139-158.
  5. 김환석(1995). 과학기술사회학의 흐름과 전망.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59-263.
  6. 김환석(2006). 과학사회학 쟁점들. 서울: 문학과 지성사.
  7. 류창열(2002). 정보화 사회와 기술교과 교육:교과의 목표와 기능의 중요도에 관한 논의. 한국기술교육학회지, 2(1), 35-46.
  8. 박형서(2010).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기르는 실과 교과서의 개발.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9. 박형서(2013). 초등학교 실과 교수학습의 이론과 실제. 부산: 부산대학교출판부.
  10. 박형서 외 19인(2014). 초등실과교육학. 부산: 부산대학교출판부.
  11. 위키백과(2009). 기술사회학. Retrieved August 5, 2014, from http://ko.wikipedia.org.
  12. 우정호, 민세영, 정연준(2003). 역사발생적 수학교육 원리에 대한 연구(2)- 수학사의 교육적 이용과 수학교사 교육. 학교수학, 5(4), 555-572
  13. 이상봉(2000). 지식기반 사회에 대처하는 기술 교육의 과제와 개선 방향.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1), 15-29.
  14. 정배현(2003). 과학사 프로그램의 개발 및 고등학교 과학 수업에의 적용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5. 주영희(1997). 수학교육에 있어 수학사 활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미간행.
  16. 한수연(2014). 과학사 활용 '과학교육' 논의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교육학의 과제. 교육원리 연구, 19(1), 51-75
  17. International Technology Education Association. (2000). Standards for Technological Literacy: Content for the Study of Technology. Reston,VA: ITEA.
  18. Mitcham, C. (1994). Thinking through Technology.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 Ministry of Education (1995) Technology in the New Zealand Curriculum. Wellington: Learning Media.
  20. Staudenmaier, J. M. (1985). Technology's storytellers: Reweaving the human fabric. Cambridge, MA: Society for the History of Technology/MIT Press.
  21. Staudenmaier, J. M. (2002). Rationality, Agency, Contingency: Recent Trends in the History of Technology. Reviews in American History. 30(1), 168-181.
  22. Snyder, J. F., & Hales, J. A. (1981). Jackson's Mill Industrial Arts Curriculum Theory. Charleston, WV: West Virginia Department of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