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개인-직무 적합성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27초

중소기업 종사자들의 직무 적합성과 조직 공정성 인식이 직무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Person-Job Fit and Organizational Justice Recognition on the Job Competency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Workers)

  • 정화;하규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14권3호
    • /
    • pp.73-84
    • /
    • 2019
  • 국내 중소기업 종사자들은 수십 년의 직장 근무경력에도 불구하고 퇴직 후 직장에서 쌓은 직무역량을 활용한 자영 업종에 진출하지 못하고 있다. 대기업과 달리, 중소기업은 당장 성과에 치중하다 보니 종사원의 중장기적인 직무역량 향상을 위한 시스템을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있다. 중소기업 종사자들의 직무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를 분석하여 중소기업 인사담당자를 위한 실무적인 시사점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의료, 공무원, IT 등 특정 업종 분야에서 직무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 분석은 있지만, 중소기업 종사자들에 대한 분석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 일반 종사자들의 직무역량을 종속변수로 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를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직무 적합성과 조직 공정성으로 설정했다. 이들의 하위 변수로는 직무 적합성에는 지식, 기술, 경험, 욕구를, 조직 공정성에는 분배, 절차, 배치 공정성을 각각 도출하였다. 국내 중소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2019년 2월~3월에 걸쳐 Likert 5점 척도에 의한 설문조사를 진행했으며, 323명으로부터 설문을 회수하여 SPSS와 AMOS 통계패키지를 활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직무 적합성의 4개 하위 독립변수 가운데, 지식, 기술, 경험은 직무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욕구는 그렇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 공정성의 3개 하위 독립변수 가운데, 배치 공정성은 직무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분배와 절차 공정성은 그렇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 인사담당자는 채용, 배치, 승진 등 단계별로 지식, 기술, 경험, 배치 공정성 등의 독립변수를 적절히 활용하여 종사자들의 직무역량을 향상할 필요가 있다. 직무역량을 객관적으로 측정하지 못하는 본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향후 직무역량 모델링 연구가 필요하다.

개인-환경 적합성, 긍정심리자본, 혁신 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of Person-Environment Fi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 한지훈;양해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0호
    • /
    • pp.225-240
    • /
    • 2016
  • 융복합 환경에서 인적자원 관리 차원에 입각한 개인-환경 적합성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긍정심리자본의 매개적 역할에 주목하여, 개인-환경 적합성이 혁신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적 모델을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개인-환경 적합성은 긍정심리자본과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심리자본은 개인-환경 적합성과 혁신 행동 간의 관계에서 중요한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개인-환경 적합성 자체가 혁신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며, 긍정심리자본이 먼저 형성될 때 혁신 행동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직업활동 참여노인의 개인-환경 적합성과 업무 스트레스 및 만족도 : 자아효능감의 조절효과 (Person-Environment Fit, Work Stress and Satisfaction of Elderly People under Participation in Job Activities : Moder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 서경조;조성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248-264
    • /
    • 2013
  • 본 연구는 직업활동 참여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개인-환경 적합성, 업무 스트레스 및 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하고, 개인-환경 적합성(개인-직무, 조직, 동료 적합성)과 업무 스트레스 및 만족도의 영향관계와 자아효능감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서울 지역에서 택시운전기사로 직업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60세 이상의 남성을 대상으로 2013년 2월 15일에서 3월 20일까지 실시하였고, 총 358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개인-환경 적합성, 업무 스트레스 및 만족도에 부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개인-환경 적합성은 업무 스트레스에는 부(-)적 영향을 준데 반해, 업무 만족도에는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자아효능감은 개인-조직 적합성과 업무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지닌 것으로 분석되었다.

치과위생사의 한국어판 직무착근도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Job Embeddedness for Measurement Tool of Dental Hygienist)

  • 한예슬;문학진;조영식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8-25
    • /
    • 2016
  • 이번 연구는 직무착근도의 척도를 국내 실정에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수정 보완하여, 치과위생사의 직무착근도를 평가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평가하고자 시행하였다. 직무착근도 원 도구 25문항을 번역한 후 내용분석 및 내용 타당도 검증을 통하여 8문항을 삭제하고 5문항을 수정하여 총 17문항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탐색적 요인분석에 의해 요인 적재량이 0.4 이하인 4개의 문항은 삭제되었으며, 도구의 적합성, 연계, 희생 요인들로부터 추출된 문항들이 새롭게 혼합되어 구성되었다. 치과위생사를 위한 직무착근도의 하위요인으로는 '조직 적합성', '직무 연계성', '직원 관계성'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모형의 적합도는 대체로 기준을 충족하였다(${\chi}^2=257.394$ [df=62, p<0.001], RMR=0.059, RMSEA=0.107, CFI=0.887, GFI=0.870, AGFI=0.810, NFI=0.857, IFI=0.888, TLI=0.858). 내적일관성을 검증한 결과 Cronbach's ${\alpha}$는 착근도의 하위요인인 조직 적합성 0.866, 직무 연계성 0.916, 직원 관계성 0.669로 나타나 신뢰할 만한 수준의 측정도구임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에 따라 치과위생사의 직무착근도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는 적합하다고 검증되었다. 향후 우리나라 치과 내 조직원들의 이직 및 장기근속에 대한 연구에 활용되어 의료기관의 병원 경영 및 직원 관리에 보탬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연예인 스타일리스트의 직무몰입과 만족의 영향요인 연구 - 라이프스타일과 개인-환경 적합성을 중심으로 - (The Influence Factors of Job Commitment and Satisfaction of Celebrity Stylists - Focusing on Their Lifestyle and Person-Environment Fit -)

  • 임승희;이혜주
    • 복식
    • /
    • 제66권6호
    • /
    • pp.1-16
    • /
    • 2016
  • This study identifies the impact of celebrity stylists' individual psychographic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ir lifestyle, and social characteristics, including person-environment fit on their job commitment and satisfaction. A survey was conducted with currently working celebrity stylists, and a total of 203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test on celebrity stylists' lifestyle and person-environment fit clearly revealed factorial structures, respectively. 2) Regarding the results of the influences of celebrity stylists' lifestyle on their job commitment and satisfaction, respondents who had higher new information-oriented, success-oriented, and conservation-oriented, but lower outdoor activity-oriented lifestyle tended to show higher job commitment and role satisfaction of job satisfaction. 3) Respondents who had higher person-job fit, person-organization fit, person-celebrity fit, and person-coworker fit tended to demonstrate a higher level of job commitment and role satisfaction of job satisfaction. Both celebrity stylists' lifestyle and person-environment, which revealed to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to their job commitment and satisfaction, could be used as an index to evaluate potential employees' job attitudes for recruiting celebrity stylist.

방사선사 핵심 직무역량 모델의 적합성 및 타당성 검증 (A Goodness of Fit and Validity Study of the Korean Radiological Technologists' Core Job Com petency Model)

  • 임창선;조아라;허예라;최성열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0권3호
    • /
    • pp.469-484
    • /
    • 2017
  • 방사선사는 사람의 생명을 대상으로 하므로 전문적인 직무역량(job competency)이 요구된다. 그럼에도 현재 한국에서는 방사선사의 직무역량을 밝히고 있는 연구가 이루어진 바 없다. 이에 한국 방사선사의 핵심 직무역량 지표를 정의하고 역량군별 요인모델을 제시하고자 방사선사 직무역량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여 최종 147명의 응답내용을 취합하였다. 응답 내용은 PASW Statistics Version 18.0와 AMOS Version 18.0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전문직업성', '환자관리', '건강 및 안전', '장비의 운영', '절차와 관리'의 5개 핵심 직무역량군과 17개의 하위 역량으로 구성된 모델을 구성하였다. 5개 핵심 직무역량군의 측정 모델 RMSEA 값은 0.1, CFI와 TLI 값이 0.9에 근사하게 나타나 양호한 적합도를 보였으며, 타당도 분석 결과 평균분산추출 값 0.5이상, 개념신뢰도 값 0.7이상으로 각 하위 역량에 포함된 세부 항목 간에 상관관계도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한국의 의료 환경에서 방사선사에게 요구되는 직무역량을 명확히 제시하여 역량 중심의 인적 자원 양성과 관리에 필요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중소건설기업의 직무배태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조직몰입을 매개로 (The Effect of Job Embeddedness in Small and Medium Sized Construction Companies on Turnover Intention through Organizational Commitment)

  • 최영철;황찬규;김지형
    • 벤처혁신연구
    • /
    • 제5권3호
    • /
    • pp.41-55
    • /
    • 2022
  •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인천지역 소재 중소건설기업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여 중소건설기업 구성원의 직무배태성이 조직몰입을 매개로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표집방법은 유의 표집법을 활용하였으며 최종분석에 이용된 표본 수는 316명으로 입력된 자료 처리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중소건설기업 구성원의 직무배태성의 하위요인 적합성, 희생과 이직의도 간의 상관관계에서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계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소건설기업 구성원의 직무 배태성의 하위요인 적합성, 희생, 연계 순서로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몰입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몰입은 직무배태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소건설기업 구성원의 직무배태성이 높을수록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조직 구성원 개인이 추구하는 가치의 적합성, 업무열정, 조직에 대한 애착 등을 향상시킴으로써 이직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직무특성, 개인-조직 적합성과 감정노동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Personal - Organizational Fit and Emotional Labor on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Geriatric Hospitals)

  • 박미경;김인홍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2호
    • /
    • pp.303-313
    • /
    • 2020
  • 본 연구는 요양병원의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효율적인 인력 관리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한 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8년 9월 27일부터 10월 10일까지이며 분석대상은 228명이었다.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과 위계적 다중회귀 분석을하였다. 그 결과 대상자의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기혼자(β=-.106, p=.044), 개인-조직 적합성(β=-.441, p<.001), 감정노동(β=.318, p<.001)으로 분석되었으며, 이 세 변수의 설명력은 47.7%였다. 본 연구결과는 요양병원 간호사들의 이직 의도를 낮추기 위하여 조직에 적응할 수 있는 근무환경을 마련하고, 감정노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략 및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병원행정직종사자의 포괄적 전문직업성을 위한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of Comprehensive Professionalism Measurement Tools for Hospital Administration staffs)

  • 박기혁;정용모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340-350
    • /
    • 2020
  • 본 연구는 병원행정직에 적합한 직업 및 직무가치와 자신의 능력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 인식인 포괄적 전문직업성 측정도구를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는 부산·경남 지역 종합병원 및 병원에 근무하는 행정직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선행연구들에서 사용된 개인의 심리적·태도적 속성과 관련된 측정도구를 이용하였다. 분석은 직업 및 직무수행과 관련된 심리적·태도적 속성 측정내용의 타당성과 내적일관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타당성과 내적일관성이 확보된 5개 성분은 전체 신뢰도가 94.4%로 병원행정직 종사자들의 포괄적 전문직업성 측정도구로 매우 타당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따라서 각 성분은 측정내용의 공통성과 명확한 의미전달이 될 수 있도록 직무수행 자신감, 보수 적절성, 직무 자부심, 업무목표 달성 능력, 업무수행 자율성으로 정의하였다. 현대적 관점에서의 전문직업성은 전통적 전문직업성 보다 넓은 개념으로 자격 및 면허 여부와 관계없이 직업 및 직무가치와 자신의 능력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 인식 등에 대한 가치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된 포괄적 전문직업성 측정도구는 병원행정직 종사자들의 직업 및 직무수행과 관련된 심리적·태도적 속성을 측정하는데 매우 적합하고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직무열의의 선행요인 및 결과변수에 관한 연구: 서울소재 특 1급 호텔 식음료 부서를 중심으로 (Antecedents and Consequence of Job Engagement: Focused on Food & Beverage Departments at Super Deluxe Hotels in Seoul)

  • 권영국;윤혜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12-231
    • /
    • 2015
  • 본 연구는 특 1급 호텔 식음료 부서의 종사원을 대상으로 직무열의의 선행요인(인정, 권한위임, 공정한 보상, 절차공정성, 조직지원인식)을 고찰하여 결수변수(이직의도)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해 확보된 402개의 표본을 바탕으로 연구모형의 신뢰성, 적합성 등을 검토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총 6개의 가설을 검증하였으며, 모형의 적합도는 ${\chi}^2=668.894$(p<.001), df=373, CMIN/DF=1.794, GFI=.901, AGFI=.877, NFI=.928, CFI=.967, RMSEA=.044 등으로 조사되었다. 연구결과, 직무열의의 선행요인 중 인정, 권한위임, 공정한 보상, 절차공정성, 조직지원인식은 직무열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직무열의는 이직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통해 최적의 조직(직무)환경은 종사원들의 직무열의를 높여줌으로써 이직의도는 감소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특급호텔 식음료 부서에서는 효과적인 인적자원 관리 측면에서 다양한 세분화된 내부마케팅 방안들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끝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과 더불어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