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erson-Environment Fit, Work Stress and Satisfaction of Elderly People under Participation in Job Activities : Moder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직업활동 참여노인의 개인-환경 적합성과 업무 스트레스 및 만족도 : 자아효능감의 조절효과

  • 서경조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노인복지학과) ;
  • 조성숙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노인복지학과)
  • Received : 2013.04.26
  • Accepted : 2013.06.10
  • Published : 2013.07.28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of the person-environment fit, work stress and work satisfaction according to a demographic factors of elderly people under participation in job activities. And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of the effects on person-environment fit, work stress and work satisfaction as well as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15 to March 20, 2013 among the male taxi drivers aged 60 or older in the Seoul areas, and 358 responses were used in the data analysis. As a results, there were partially differences in the person-environment fit, work stress and work satisfaction according to a demographic factors. The person-environment fit had a negative impact on work stress, but it had a positive impact on work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self-efficacy had a moder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of the person-organization fit and work stress.

본 연구는 직업활동 참여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개인-환경 적합성, 업무 스트레스 및 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하고, 개인-환경 적합성(개인-직무, 조직, 동료 적합성)과 업무 스트레스 및 만족도의 영향관계와 자아효능감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서울 지역에서 택시운전기사로 직업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60세 이상의 남성을 대상으로 2013년 2월 15일에서 3월 20일까지 실시하였고, 총 358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개인-환경 적합성, 업무 스트레스 및 만족도에 부분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개인-환경 적합성은 업무 스트레스에는 부(-)적 영향을 준데 반해, 업무 만족도에는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자아효능감은 개인-조직 적합성과 업무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지닌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요한,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의 직무만족도와 생활태도변화에 관한 연구-시장형일자리사업 중심으로,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2.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3/02/26/0200000000AKR20130226158151017.HTML?input=1179m
  3.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20619_0011204764&cID=10205&pID=10200
  4. http://news.kukinews.com/article/view.asp?page=1&gCode=kmi&arcid=0004715890&cp=du
  5. http://munhwa.com/news/view.html?no=2012062701071243097002
  6. J. R. P. French, R. D. Caplan, and R. V. Harrson, The mechanisms of job stress and strain, London: Wiley.
  7. R. S. Schuler, "An integrative transactional model of stress in organizations," Journal of Occupational Behavior, Vol.3, No.5, pp.5-19, 1982. https://doi.org/10.1002/job.4030030103
  8. 황용수, 적합성이 조직신뢰와 직무태도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9. 김동배, 채수진, 김성웅, 김세진 "고령근로자의 직무만족도 영향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만성질환 고령근로자와 건강한 고령근로자의 비교-", 노인복지연구, 제45권, pp.261-291, 2009.
  10. 서영희, 김미원, "조직특성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연구: 방문요양센터 요양보호사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52권, pp.63-86, 2011.
  11. A. L. Kristof-Brown, R. D. Zimmerman, and E. C. Johnson, "Consequence of individuals's fit at work: A meta analysis of person-job, personorganizations, person-group, and person-supervisor fit," Personnel Psychology, Vol.58, No.2, pp.281-342, 2005. https://doi.org/10.1111/j.1744-6570.2005.00672.x
  12. J. A. Chatman, "Improving interactional organizational research: A model of personorganization fi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4, No.3, pp.333-349, 1989.
  13. 최명옥, 유태용, "개인-조직, 개인-직무, 개인-상사 부합이 조직몰입, 직무만족,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부합들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제18권, 제1호, pp.139-162, 2005.
  14. 성지영, 박원우, 윤석화, "개인-환경(조직, 상사, 동료) 적합성이 조직시민행동 및 개인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공정성의 매개효과 검증", 인사.조직연구, 제16권, 제2호, pp.1-62, 2008.
  15. 이인석, 백종훈, 전무경, "개인-환경적합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제23권, 제4호, pp.1951-1967, 2010.
  16. J. R. Edwards and C. L. Cooper, "The person-environment fit approach to stress: Recurring problems and some suggested solution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11, pp.293-307, 1990. https://doi.org/10.1002/job.4030110405
  17. 서효민, 박상하, 장경로, "스포츠조직 구성원의 개인-직무 적합성과 개인-조직 적합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제16권, 제3호, pp.17-28, 2011.
  18. 신유형, "팀 수준 개인-조직 및 개인-직무 적합성이 팀 수준 조직시민행동과 팀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인사.조직연구, 제16권, 제1호, pp.1-35, 2008.
  19. 이은진, 홍병숙, "TV홈쇼핑업체에서 개인-환경 적합성이 조직 매력성, 몰입 및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산업학회지, 제13권, 제1호, pp.107-115, 2011.
  20. 황규선, 조리사의 개인-환경 적합성이 직업몰입,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21. J. R. Edwards, "Person-job fit: A conceptual integration, literature review, and methodological critique," International Review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6, pp.283-357, 1991. https://doi.org/10.1007/BF00378127
  22. 양혁승, 정영철, "개인가치와 개인이 지각하는 조직가치가 개인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인사조직연구, 제10권, 제2호, pp.211-238, 2002.
  23. 정진철, 김성만, "개인-조직 가치관의 적합성이 3요인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지, 제21권, 제6호, pp.2451-2473, 2008.
  24. C. A. O'Reilly, J. Chatmen, and D. F. Caldwell, "People and organizational culture: A profile comparison approach to assessing person-organization fit,"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4, No.3, pp.487-516, 1991. https://doi.org/10.2307/256404
  25. 강종혁, 조직문화의 유형과 직무스트레스 : 지방 정부 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26. 박은영, 김은주, "직업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10호, pp.208-216, 2008.
  27. 최해연, 개인-직무 적합성이 직무 스트레스와 종업원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8. 하미승, 권용수, "공무원 직무스트레스의 유발요인 및 결과변수에 관한 연구: 중앙부처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국행정연구, 제11권, 제3호, pp.214-245, 2002.
  29. 최희경, "노인시설 종사자의 업무스트레스, 업무 만족, 치매 및 인간중심보호 인식 연구: 사회복지사, 간호사, 생활지도원의 비교", 한국사회복지학, 제59권, 제3호, pp.175-199, 2007.
  30. 김기돈, 노병일, 전영신, "노인장기요양보험 업무 종사자의 직무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대한케어복지학, 제15호, pp.21-44, 2011.
  31. 최원선, 조성애, 김경연, 조영승, 구정완, 김형렬, "버스 운전사의 근무 중 사고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대한직업환경학회지, 제23권, 제2호, pp.139-148, 2011.
  32. 조흠학,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개별근로관계 보호에 관한 고찰-화물, 덤프, 간병인, 대리운전, 퀵서비스 배달원을 중심으로-", 노동법논총, 제14권, pp.197-256, 2008.
  33. 신정욱, 백주희,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 1등급 노인과 3등급 치매노인을 케어하는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노년학, 제31권, 제4호, pp.1067-1081, 2011.
  34. 임삼진, "시내버스 운전기사의 직무만족도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도시연구, 제7권, 제1호, pp.35-47, 2006.
  35. 황미구, 김은주, "노인 일자리 사업이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감,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및 노인의 개인적 특성이 삶, 직무, 사회참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제21권, 제3호, pp.137-156, 2008.
  36. 박상현, 곽대영, "보상제도 및 상사.동료와의 관계가 여행업 종사원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7권, 제11호, pp.270-279, 2007. https://doi.org/10.5392/JKCA.2007.7.11.270
  37. 김경희, 정은주, "사회복지관 일선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 결정변인에 관한 연구: 서울지역 사회 복지관 중심으로", 사회연구, 제12호, pp.107-131, 2006.
  38. 이수화, 직무특성모형에서 자아효능감과 공정성 민감도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39. S. G. Harris and K. W. Mossholder, "The affective implications of perceived congruence with cultural dimensions during organization transformation," Journal of Management, Vol.22, No.4, pp.527-547, 1996. https://doi.org/10.1177/014920639602200401
  40. A. M. Saks and B. E. Ashforth,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information sources, applicant perceptions of fit, and work outcomes," Personnel Psychology, Vol.50, No.4, pp.395-426, 1997. https://doi.org/10.1111/j.1744-6570.1997.tb00913.x
  41. 강다헌, 김민경, "호텔 직원의 개인-환경 적합성이 직무만족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저널, 제26권, 제3호, pp.345-360, 2012.
  42. 장정훈, 조문수, "호텔직원의 인지된 적합성, 경력개발, 직무만족, 조직몰입의 영향관계 연구: 제주특별자치도 특1등급호텔 직원을 대상으로", 관광학연구, 제36권, 제2호, pp.241-260, 2012.
  43. 김태성, 허찬영, "KTX기장의 개인-환경 적합성이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철도학회논문집, 제15권, 제6호, pp.645-653, 2012.
  44. 윤종훈, 황성환, 이용희, "조직 및 개인 성향의 일치도가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167-173, 2010.
  45. A. Bandura, "The explanatory and predictive scope of self-efficacy theory," Journal of Clinical and Social Psychology, Vol.4, pp.359-373, 1986. https://doi.org/10.1521/jscp.1986.4.3.359
  46. 문유석, "경찰관의 업무적 자아효능감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지방정부연구, 제13권, 제4호, pp.83-102, 2009.
  47. N. L. Jimmieson, "Employee reactions to behavioural control under conditions of stress: The moderating role of self-efficacy," Work & Stress, Vol.14, No.3, pp.262-280, 2000. https://doi.org/10.1080/02678370010015343
  48. H. Liu, G. Song, and D. Wang,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on flight dispatcher's stressor-strain relationships,"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Vol.39, No.6, pp.839-850, 2011. https://doi.org/10.2224/sbp.2011.39.6.839
  49. 민순, 김혜숙, 하윤주, 김은아, 김희영, 김혜정, 김영자,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이직 의도와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대한경영학회지, 제24권, 제1호, pp.1-21, 2011.
  50. 황승배, 김동주, "중년위기 지각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36권, 제4호, pp.59-98, 2012.
  51. A. Roddenberry and K. Renk, "Locus of control and self-efficacy: Potential mediators of stress, illness, and utilization of health services in college students," Child Psychiatry and Human Development, Vol.41, pp.353-370, 2010. https://doi.org/10.1007/s10578-010-0173-6
  52. R. Baron and D.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oci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ychology, Vol.51, pp.1173-1182,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53. 우극현, "산업근로자의 보건복지사업 활성화 방안", 보건사회연구, 제1권, pp.81-94,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