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간호교육

Search Result 4,423,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Simulation-Based Convergence Practicum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eniors (간호대학생 대상 시뮬레이션 기반 융합실습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An, Minjeong;Cho, Hang Nan;Dordunoo, Dzifa;Hwang, Yoon Young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9 no.10
    • /
    • pp.16-27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the effects of a simulation-based convergence practicum education program among senior nursing students. A repeated measure experimental design was used. A total of 77 senior nursing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a university located in G city. Data was collected at baseline, program completion, and 2 month following completion of the practicum. Repeated measure ANOVA was us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between baseline and program completion and between the baseline and 2 month follow-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rogram completion and 2 month follow-up. The study demonstrated that simulation-based convergence practicum education was an effective strategy to increase study outcomes and reduce clinical practice stress among senior nursing student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 using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 Study of Potential Application of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in Nursing; Predicting the Future of Nursing Education in the U.S. (계층분석과정의 간호적용에 관한 연구 -미국의 미래 간호교육의 예견-)

  • Han, Kyung-Ahe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
    • v.16 no.1
    • /
    • pp.89-104
    • /
    • 1986
  • 복잡한 사회문제해결에 유용한 접근방법의 하나인 계층분석과정은 수학자인 사티(Saaty)가 개발한 것으로서 이미 사회과학의 여러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이 계층분석과정을 간호교육과 관련된 문제에 적용해 봄으로써 이 방법이 실제 문제해결을 위한 유용한 접근방법이 될 수 있는가를 고찰해 보는데 있다. .현대사회문제들은 다양한 관련요소, 그 요소들간이나 다른 문제들과의 복잡한 상호관계, 다수의 의사결정자의 참여, 무한한 대안, 문제의 결과에 대한 불확실성 등으로 인하여 단순한 모델이나 간단한 논리적 혹은 직관적인 판단에 준하여 일시에 해결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문제와 관련된 요소들을 찾아내고 그 요소들을 계층적으로 분석하여 단계적으로 문제해결에 접근하는 계층분석과정을 활용함으로써 사회과학분야의 문제해결에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있다. 또한 문제와 관련된 요소를 규명하고 계층적으로 분화하는 과정에서 그 문제에 대한 보다 명확한 이해, 분석 및 현상의 흐름을 더 잘 인해하게 된다. 계층분석과정은 1) 계층구조의 설정 2) 구성요소들의 중요도 측정 3) 중요도에 따른 우선 순위의 산정 4) 우선 순위의 일관성 검토과정으로 요약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미국 간호계에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어온 기본교육제도상의 쟁점(Issue of Entry into Practice)에 대한 문제 해결책이 마련되는지를 시도하였다. 즉, 기본교육 제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규명하여 계층화하고 계층내에 위치하는 구성요소들의 수평적 관계와 계층간의 수직적 관계를 체계적으로 검토하여 간호교육의 미래를 예측해 보았다. 간호교육제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 요인들의 계층화는 거시적 환경차원(factors), 관련 이해자 집단차원(actors), 이해자 집단의 목표차원(objectives), 목표달성을 위한 정책차원(Policies), 그리고 간호교육제도의 미래를 예견한 시나리오(scenario)로 이루어졌다. 각 계층을 따라 단계적으로 중요도를 비교하여 최종적으로 각 시나리오의 우선순위 중요도(priority weight)를 구하였다. 각 시나리오의 우선순위 중요도를 간호교육과 관련된 4가지 차원들(학생, 교수, 교육기관, 직업)을 구성하고 있는 특성들에 가중하여 결과를 해석 하였다. 간호교육의 미래에 정치적(55%)과 경제적(25%) 요인이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고, 관련자중에서는 병원(38%) 의사(33%) 그리고 정부(23%)의 순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되었다. 의외로 간호원 자신들은 큰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보여졌다. 4개의 시나리오 중에서는 그 우선순위 중요도가 현상유지(33%) 자발적4년제(32%), 강제 4년제(19%), 그리고 2~3년제의 우위(18%) 순으로 나타났다. 최종 시나리오 결과를 요약하면 1) 전체 학생수는 감소하나 양질의 간호학생수는 증가하며 2) 박사학위를 소지한 간호학 교수 및 전체 교수의 수가 증가할 것이다. 3) 전체 간호교육기여의 수는 약간 줄 것이며 그중 4년제 기관이 증가하고 반면에 2~3년제의 기관은 감소할 것이다. 4) 전문간호원이 되기 위한 입학용이도에는 별차이가 없겠으나 간호원들의 보수, 지위 및 자율성이 증가하면서 전반적인 간호의 질이 향상될 것이다. 계층분석과정의 적용으로 미국 간호교육계의 가까운 미래를 위와 같이 예견하여 보았으나 이 과정은 예견 뿐 만 아니라 일반적인 의사결정이나 문제 해결의 도구이외에도 복잡한 사회문제의 본질을 분석, 이해함으로써 보다 정화한 정책문제를 규정하는 데에도 유용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application Course Embedded Assessment(CEA) for Program Outcome Assessment in Nursing Education (간호교육 프로그램학습성과 평가를 위한 Course Embedded Assessment(CEA) 적용방안 기초연구)

  • Nam, Soung-Mi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6 no.5
    • /
    • pp.3121-3130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pplication of Course Embedded Assessment (CEA) for program outcome in nursing education through literature & Office of Assessment web site reference review on concept, advantage, disadvantage, process, measure, tool and precaution. The process of CEA is program outcome, calculate weight of program outcome, embed program outcome in curriculum, development a rubric for CEA, assessment, analysis the result and achievement, feedback loop. CEA is vary useful to proof the student personal achievement and program quality improvement.

Development of Digital Integrated Nursing Practice Education Platform (디지털 간호실습교육 플랫폼 개발)

  • Sun Kyung Kim;Hye ri Hwang;Su yeon Park;Su hee Moon
    • Journal of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
    • v.16 no.2
    • /
    • pp.167-177
    • /
    • 2024
  • In nursing education, there has been efforts for enhancing the quality, with a growing interest in the utilization of digital technologies. In clinical training of nursing curriculum, the emphasis on digital technology is pronounced, as it has the potential to offer learners effective and accessible educational experience while enabling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individualized learning outcomes. This study developed a digital nursing education platform, allowing educators and learners to select functionalities based on the educational cont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learning tools. Additionally, the user interface was designed to facilitate learners' accurate understanding and execution of assigned tasks and objectives. The detailed design and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platform are elaborated and then the validation of its usefulness was provided based on feedback from ten educators who are responsible for diverse subjects. The high usability of the digital nursing practicum education platform was confirmed, with potential implications for significant improvements in learner performance. The potential of this digital platform is to lead to innovative shifts in educational methodologies within the field of integrative nursing education.

Education Systems of Nursing in R.O.K. (한국의 간호교육제도)

  • Kim S. J.
    • The Korean Nurse
    • /
    • v.17 no.4 s.96
    • /
    • pp.41-47
    • /
    • 1978
  • 1. 기초간호교육제도- 기초간호교육은 4년제 대학과정과 3년제 전문 대학과정의 두 제도가 있다. 수업년한, 졸업기준 학점이 다르다. ''학술의 심오한 이론, 그 정치하고 광범한 응용방법을 교수 연구하고 지도적 인격을 도야함''은 대학의 교육목적이며, 전문대학은 ''전문적 지식과 이론을 교수''연구하며 재능을 연마하여 중견 직업인을 양성함''으로 명시되었다. 전자는 학문과 지도력에 중점을 두었고 후자는 전문적 지식과 이론에 바탕을 둔 재능의 연마와 중견직업인에 역점을 두고 있다. 교육과정의 편성비율에 있어서도 대학과정과 전문대학 과정에 현저한 차가 있다. 전문대학은 총 이수학점 중 20$\%$를, 대학과정은 30$\%$를 교양과목으로 과하고 있고, 전문대학은 전공선택과 필수를 총 학점의 80$\%$로 하는데 비해 대학과정은 총 이수학점의 50$\%$ 내외로 하고 자유선택, 부전공 등에 나머지를 할애하고 있다(표 7, 표 8) 2. 계속교육제도- 계속교육제도는 정규교육제도에 포함되고 있는 대학원 과정과 보사부장관이 인정하는 특정 기관에서 개설하는 특수분야별 수습과정들로 나눌 수 있다. 대학원 과정은 간호학 전공 외에도 보건학 교육학동 인접학문 영역을 연구하여 학위를 받고 있고 서울대학교와 연세대학교에서 박사학위 과정을 개설하고 있다. 전공분야별 간호원의 자격인정은 보건간호, 마취간호, 정신간호 분야에 가능하나 극소수의 간호원 자격을 취득하고 있다.

  • PDF

The effects of online nursing education contents on self efficacy,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nursing skills (웹 기반 간호교육 콘텐츠가 간호수기술에 대한 자기효능감, 지식,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 Nam, Hyea Sook;Son, Kyeong Ae;Kim, Su Hyun;Song, Yeoungsuk;Kwon, So-Hi;Oh, Eun Hee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5 no.6
    • /
    • pp.1353-1360
    • /
    • 2014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nursing skills program, which offers online access to evidence-based skills and procedures. The nursing skills tested in this study was tracheostomy suctioning in the Mosby's Nursing Skills. The design of the study was a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pre-posttest quasi-experimental research. The experimental group who utilized the Mosby's Nursing Skills ha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knowledge and skills of trachosotmy suctioning, but not of self-efficacy. Online accessible nursing skills program was shown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nursing skills of students, and it is suggested to utilize the program in nursing practicum.

The Effect of Simulation-Based Chest Tube Drain Management Nursing Education on Nursing Students' Response to Scenario Experiences, Confidence in Learning, and Problem Solving Ability (시뮬레이션 기반 흉관배액 관리 간호교육이 간호학생의 시나리오 경험에 대한 반응, 학습에 대한 자신감 및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 Kim, Eun-ha;Jo, Sang-he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9 no.1
    • /
    • pp.229-237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Simulation-based Chest Tube Drainage Management Nursing Education on the Nursing Students' Response to Scenario Experiences, Confidence in Learning, and Problem Solving Abilities.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and a total of 133 junior nursing students have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31 teams of simulation-based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most of the students have shown a positive response to the scenario experience after the simulation training, while their confidence in learning and problem-solving skills have improved significantly. This proves that simulation-based training using simulators can be very effective in practical nursing training.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could make a meaningful contribution to improving the overall quality of field-oriented practical training and clinical practice.

The Effectiveness of a Spiritual Education for Spiritual Care Competence Reinforcement of Nursing Students (간호대학생의 영적간호역량 강화를 위한 영성교육의 효과)

  • Lim, Hyeon-Jeong;Park, Kyungsoo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9 no.1
    • /
    • pp.261-274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piritual education for spiritual care competence reinforcement of nursing students. 83 subjects of nursing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two universities located in J city(from February 27 to May 19, 2017) and composed of 42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41 in the control group. The spiritual education was composed of three sections; self-awareness, spirituality, and spiritual dimension in nursing. This program was then implemented on the subjects for a total of 10 sessions with each session lasting 120 minutes and given 2 times a week for 5 weeks.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χ2-test, Independent t-test and Repeated ANOVA. This spiritual education increased the spirituality, ego-identity, spiritual well-being, satisfaction with life, and spiritual care competence of the nursing students. The effectiveness of the spiritual education also maintained in five weeks after intervention. It is therefore proposed that this education be utilized for the nursing students as basic standardization process of a spiritual nursing care.

Education Perspective (간호원의 위치에 대한 역사적 고찰 : 교육부문)

  • Han Y.B
    • The Korean Nurse
    • /
    • v.22 no.3 s.121
    • /
    • pp.56-60
    • /
    • 1983
  • 오늘날 건강은 생존하는 모든 인간이 지녀야 할 기본권리로 인정되고 있다. 국민의 복지향상이 없는 경제 발전은 국제사회에서도 신망을 얻지 못하는 현대사회에서 국민의 건강수준은 그 사회전체의 문명척도를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에 세계 어느곳에서나 인간의 복지 향상과 인권옹호를 위해 여러 가지 형태로 건강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따라서 간호인력은 건강 사업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중추적 역할을 하기 때문에 그 교육은 그 어느때 보다도 중요한 과제로 대두 되었다. 간호교육 이념 정립과 제도의 개선을 위해 간호협회와 학계에서는 꾸준한 연구를 계속하여 정책 수립에 반영해왔다. 지금까지의 진료 중심의 간호에서 건강증심의 간호역할로의 전환기에 있음을 인식할 때 바람직한 변화가 올 수 있도록 교육 목표를 설정하는 일에 앞서 간호교육의 역사적 배경과 현재 우리가 처해있는 사회적 위치를 올바로 파악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고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