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rk schedule

검색결과 586건 처리시간 0.02초

건설공사 안전관리 및 시공 업무의 중요도 분석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and Execution Tasks for Performance Improvement)

  • 강상훈;김대영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8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30-131
    • /
    • 2018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ortance of the construction work of apartment buildings. The construction work operation was divided into five major tasks, which include: Schedule Control (P'1 - P5) Construction Management (C'1 - C'5), Environmental Management (E'1 - E'3), and Quality Management. Finally, this study derived major construction execution tasks through correlation between construction work and the original index and t-test.

  • PDF

BIM기반 건설공사 일정관리를 위한 정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ormation for the Schedule Management of the Construction based BIM)

  • 박소현;송정화;오건수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555-564
    • /
    • 2015
  • 최근 건설 프로젝트가 대형화, 복잡화, 전문화되면서 다양한 참여자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방대한 양의 정보 활용이 중요해 지고 있다.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 중 일정정보는 건설프로젝트의 중심적인 정보이다. 건설현장 관련 참여자간 일정정보교환 미흡은 공기지연, 품질하자와 같은 건설생산성 저해 요인을 유발한다. 현재, 건설 산업에서는 건축물의 전 생애 주기 동안 필요한 데이터를 생산하고 관리하는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BIM을 기반으로 건설공사의 일정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 할 수 있는 일정관리 정보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BIM적용 일정관리 업무 프로세스를 구축하였으며, 일정정보를 구축하기 위한 작업분류체계를 도출 하였다. 또한 일정정보 구축에 필요한 속성 중 BIM모델에서 추출 할 수 있는 정보를 도출하고, 일정관리에 필요한 속성정보와 연계하여 일정을 생성 하고 공사 진행 시점별 일정관리를 위한 필요 정보를 제시한다.

선형 공정표를 생성하는 시스템 프로토타입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A Preliminary Research for Developing System Prototype Generating Linear Schedule)

  • 류한국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8
    • /
    • 2011
  • 기존의 선형 공정계획은 마스터 스케쥴과 같이 작업분류체계의 대분류 레벨의 작업을 사선의 형태로 표현하는 데 국한하고 수작업으로 작성하였다. 즉, 네트워크 공정표의 정보를 활용하지 못하고 독립적으로 선형 공정표를 작성하여 보고용 또는 전체 공정계획 확인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기존에 축적된 자료가 많은 네트워크 공정표를 기반으로 선형 공정표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선형 공정표 구현을 위한 데이터 프로세스 모델, 데이터 플로 다이어그램, 데이터모델을 구축하고 시스템 프로토 타입의 시스템 솔류션 구조, 클래스 다이어그램, 데이터 타입스키마를 개발하고자 한다. 즉, 네트워크 공정표를 선형 공정표로 변환하기 위한 시스템 프로토타입 개발의 선행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유아기자녀를 둔 어머니의 종사상지위별 자녀돌보기 시간사용과 유료 자녀양육서비스 선택 (Mothers' Time Use in Child Care and Market Child Care Services Depending on Their Employment Status)

  • 차성란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73-384
    • /
    • 2006
  • This study analysed the effect of mothers' work status on time use in child care and use of market child care services. There were two major questions: Do self-employed (and family worker without being paid) mothers have a flexible work schedule and so can they care her child(ren) well? If it is true, is the work status as self-employee related to non-market child care services? To answer these questions, 1,196 samples were selected from the Time Use Data of 1999, which had been administered by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 mother who is family workers without being paid made time to care children frequently more than wage earners. Second, according to regression analysis, mothers' work status was one of the important variables to explain child care activity frequency. Third, among categories of child caring ('physical caring', 'non-physical caring', and 'caring of the others'), mothers spent more frequently in 'caring of the others', and had higher probability to use market child care services. But the more frequently a mother made time in 'non-physical caring' for her child, the lower probability to choose market child care services. In conclusion, it was certain that self-employed mothers benefit from a flexible time schedule at work places. But the relationship of child care activity frequency with use of market child care services was inconsistent.

  • PDF

수평작업공간을 갖는 건설프로젝트의 위치정보 연동에 의한 선형공정표 적용방안 (Application of Linear Schedule Chart by Linking Location Information of Construction Project with Horizontal Work Space)

  • 한선주;김현승;박상미;강인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8권4호
    • /
    • pp.601-610
    • /
    • 2018
  • 건축공사는 제한된 공간에서 수직적으로 반복 작업이 진행되므로 공정관리에서 작업의 위치 정보에 대한 필요성이 크지 않다. 반면에 도로 및 철도시설과 같은 토목공사는 다량의 토공사, 장대교량, 장대터널 등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공종들은 수 십 KM에 이르는 선형축에 따라 수평적 공간에서 작업이 진행된다. 즉, 모든 공정들이 사업의 시점부터 종점까지 거리단위로 작업 현황이 관리되므로, 공정관리 도구에서도 작업 일정과 함께 해당 공정의 위치정보를 연동하여 표현하는 것이 사업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선형축 기반의 시설물 공정관리에 특화된 선형공정표 구성방법론을 구성하여 기존의 대표적 공정표인 간트공정표와 비교하여 활용성을 분석한다. 또한 최근 시공단계의 대표적 BIM기술로 적용되고 있는 4D CAD시스템에 선형공정표의 연동 방법론을 제시하여 토목공사에 BIM활용성을 높이고자 하며, 제시된 방법론에 대해 통계학적 검증으로 실무 활용성을 분석한다.

지연된 국방 연구개발 프로젝트의 일정 예측방식 개선 연구 (Research on Improving Schedule Forecasting Method for Delayed Defense Research & Development Project)

  • 조정호;임재성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86-293
    • /
    • 2020
  • Since Dr. Lipke announces earned schedule management(ESM) in 2002, it has been used in project management to make up for the insufficient schedule management function of earned value management technique. However,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forecast the schedule of delayed defense research and development(R&D) projects with the ESM technique.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 new schedule forecasting method considering the progress of delayed work in ESM technique. This concept can also be adopted to the traditional project progress management (PPM) technique. We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concept through several defense R&D projects and prove that it is possible to supplement the schedule forecasting of the ESM and PPM technique.

4D 시뮬레이션을 위한 공법 템플릿 기반의 건설공정 자동 생성 (Automated Generation of a Construction Schedule Based on the Work Method Template for 4D Simulation)

  • 송성열;양정삼;명태식
    • 산업공학
    • /
    • 제25권2호
    • /
    • pp.216-228
    • /
    • 2012
  • BIM-based 4D simulation makes people easily understand complex construction process using 3D graphics model and helps them review and identify the construction schedule in each phase of the construction process. Moreover, 4D simulation can be used as reference data to determine the validity of the process in the design phase and will be utilized as a measure for checking the construction process. Therefore 4D simulation of construction improves efficiency of project management. However, current commercial applications available for 4D simulation do not provide sufficient functions for connection of 3D models and process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utomated generation method through the definition of the process based on a work method template and developed the template based schedule generation system (TSGS).

착공전 단계에서의 철근콘크리트 공사 공정리스크 관리 방안 (Schedule Risk Management of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at the Preconstruction Phase)

  • 류한국;김선국;이현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6권5호
    • /
    • pp.119-127
    • /
    • 2005
  • 최근의 건설시장 축소와 주 5일 근무제도, 공기단축형 입찰제도의 도입, 후분양제도의 도입 등의 제도적 변화에 따라 건설 수주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그러나 건설공사는 공기지 연을 유발하는 수많은 공정리스크가 존재하고 있으며 이러한 공정리스크에 대한 인식과 그에 따른 체계적인 관리가 부진한 경우 건설공사의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여러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존 연구는 공정리스크의 분류, 공정 리스크의 관리, 리스크 관리를 위한 시스템 개발에 치중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전체 공정에 영향력이 크며, 위험발생 확률이 높은 철근콘크리트공사를 대상공종으로 선정하고 기존연구를 바탕으로 수차례의 전문가 면담과 난상토론을 실시하여 현실적인 리스크 요인과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건설공사의 작업지연 원인분석 프로세스 (THE ROOT CAUSE ANALYSIS PROCESS FOR SCHEDULE DELAY IN CONSTRUCTION)

  • 지근창;김창덕;유정호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7권5호
    • /
    • pp.138-148
    • /
    • 2006
  • 작업의 지연을 줄이거나 예방하기 위해서는 작업지연상황을 지속적으로 확인하여 작업지연을 야기하는 원인을 찾아내고 대책을 세워야 한다. 그래서 지금까지 작업지연기간 산정방법 또는 작업지연의 클레임 사례에 관한 연구 등이 이루어졌으나 프로젝트 종료 후 결과에 의한 분석방법이나 원인분류체계를 제시한 것이 대부분이다. 건설 프로젝트는 동일한 조건하에서도 주변 환경에 따라 결과값이 다르게 나타나는 일회성이 강한 분야 중에 하나이다. 따라서 공사 진행 중에 발생하는 작업지연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분석방법과 절차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작업지연 원인분석 범위를 프로젝트내의 현장관리 분야로 국한하고 작업지연 원인분류 체계를 투입요소를 대상으로 작업지연 원인인자와 작업지 연 원인속성으로 나눴다. 작업지 연 원인분류 체계는 전문가 인터뷰 및 설문조사를 통해 검증하고 작업지 연 원인속성 및 원인인자의 특성을 분석하고 VSM을 응용한 작업지연 원인 분석방법 및 절차를 제시한다.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와 근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turnover intention and intention to stay in dental hygienists)

  • 박지현;조영식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95-106
    • /
    • 2020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ental hygienists' job satisfaction on turnover intention and intention to stay.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273 dental hygienists in dental clinics. The study data were u analyzed using PASW Statistics 20.0 Results: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ists was 3.30±0.50, and the highest ranked item in the survey was 'I am satisfied with my relationships with patients' 3.72±0.73.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marriage, education, career, current work experience, position, and schedule for future turnover. The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and schedule for future turnover. The intention to sta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marriage, education, career, current work experience, number of dentists, number of dental hygienists, and schedule for future turnover. The factors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were schedule for future turnover, income, co-worker relation and professional time, while those affecting intention to stay were overall professional satisfaction, co-worker relation, schedule for future turnover, professional time, income, number of dental hygienists, patient relations and current work experience. Conclusions: Job satisfaction factors that had a common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and intention to stay were schedule for future turnover, income, co-worker relation and professional time. To reduce turnover and encourage longevity, adequate pay a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re necess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