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rk career

검색결과 939건 처리시간 0.022초

직업가치관과 진로결정수준이 사회복지학 전공생의 전공몰입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ork Values and Career Decision Level on the Major Commitment of the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 강종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447-455
    • /
    • 2018
  • 이 연구는 사회복지학 전공생을 대상으로 직업가치관과 진로결정수준이 전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된 것으로, 강원도 소재 4개 대학의 사회복지학과 재학생 351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직업가치관은 내재적 가치관과 외재적 가치관으로 측정하였고, 진로결정수준은 진로결정수준검사(CDS)를 사용하였으며, 전공몰입은 몰입상태척도(FS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사회복지학 전공생의 직업가치관은 내재적 가치관은 4.05로 외재적 가치관 3.34 보다 높았으며, 진로결정수준은 3.43, 전공몰입은 3.54로 중간값 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외재적 가치관은 진로결정수준(r=-.55, p<.001)과 전공몰입($r=-.51^{***}$)에 부(-)적 상관관계를, 반면에 내재적 가치관은 진로결정수준($r=.47^{***}$)과 정(+)적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가치관과 진로결정수준이 전공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종합모형에서 직업가치관의 외재적 가치관은 전공몰입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beta}=-.34$, p<.001), 반면에 내재적 가치관(${\beta}=.31$, p<.001)과 진로결정수준(${\beta}=.18$, p<.001)은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직업가치관, 진로결정수준 및 전공몰입에 관한 정책적 및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괜찮은 일 획득에서의 성별 차이: 한국 청년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한 일의 심리학 모형의 다집단 분석 (Gender Differences in Obtaining Decent Work: A Multi-Group Analysis on the of Psychology of Working Theory for Korean Young Workers)

  • 이슬아;표소휘;남보라;이유영;양은주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9권1호
    • /
    • pp.101-123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일의 심리학 이론(PWT)에서 제시한 괜찮은 일 획득 경로에 남녀 차이가 존재하는 지 확인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335명의 국내 청년 직장인들에게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고 311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참여자들의 평균 연령은 25.96세였으며, 그 중 남자는 94명, 여자는 217명이었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해 전체 집단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경제적 제약은 일 자유의지와 진로적응성을 부적으로 예측하였으며, 일 자유의지와 진로적응성은 괜찮은 일을 정적으로 예측하여, 모형의 가정을 지지하였다. 경제적 제약과 괜찮은 일 사이에서 일 자유의지와 진로적응성의 전체 간접효과는 유의하였으나, 일 자유의지와 진로적응성 각각의 세부 간접효과 또는 일 자유의지와 진로적응성의 이중매개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다집단 분석 결과, 경로계수 차이가 유의하였는데, 여성의 경우 경제적 제약이 일 자유의지를 부적으로 예측하였으며, 일 자유의지는 괜찮은 일과 정적인 관련성을 나타냈으나 남성에게는 두 경로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반대로 남성 집단에서는 경제적 제약이 진로적응성을 부적으로 예측하였고, 진로적응성은 괜찮은 일과 정적인 관련성을 보였으나 여성에게는 두 경로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여성은 일 자유의지가 경제적 제약과 괜찮은 일 사이를 매개하였고, 남성은 진로 적응성이 경제적 제약과 괜찮은 일 사이를 매개하였다. 이는 괜찮은 일을 획득하는 데 우선적으로 필요한 진로 자원이 성별에 따라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중고령 근로자의 경력적응력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업무몰입과 중고령 근로자에 대한 인식의 역할 (The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on turnover intention among older workers: the role of work engagement and perception on older workers)

  • 김영형;김혜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203-213
    • /
    • 2022
  • 본 연구는 기업환경이 급속하게 변화하는 환경에서는 경력적응력이 높은 종사자가 중요하다는 점과, 생산가능인구의 지속 감소로 중고령 근로자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중고령 근로자의 이직 의도를 줄이고 업무몰입을 통해 장기근속을 유도하는 방안을 찾고자 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우선 중고령 근로자의 경력적응력 수준이 높을수록 이직 의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력적응력과 이직 의도 간의 관계에서 업무몰입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를 확인했다. 마지막으로 경력적응력이 업무몰입의 매개를 통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중고령 근로자에 대한 인식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고령 근로자 경력적응력 및 업무몰입도 제고를 통한 이직 의도 감소방안과 더불어 중고령 근로자에 대한 고정관념 변화를 위한 기업의 노력 등에 관한 실용적 시사점 등을 제안했다.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대한 경로분석 (A Pathway of Career Maturity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 채진영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8권2호
    • /
    • pp.111-121
    • /
    • 2010
  • This study examined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career maturit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ested a hypothetical structural equation model relating the variables to career maturity. The subjects were 2,771 fourth-grade children(1,494 boys and 1,277 girls) who participated in a Korea Youth Panel Survey(KYPS) in 2004.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percentages, Pearson's correlations using SPSS 15.0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7.0.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proposed model, as revised, demonstrated the effectiveness of an analysi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illustrated that the socio-economic status of parents has only an indirect influence on children's career maturity via relationship with parents, children's self-image or academic work. In addition, relationship with parents, children's self-image, and academic work independently affected children's career maturity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Based on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se related variables, the findings reveal that the best pathway towards children's career maturity is in the order of socio-economic status, relationship with parents, children's self-image, and children's academic work.

직무스트레스가 보육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소명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Child Care Teachers' Burnout: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Calling)

  • 서솔;여종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169-188
    • /
    • 2019
  • Objecti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career call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as well as the association among job stress, career calling, and burnout. Methods: A sample of three-hundred and seven child care teachers in the metropolitan area of Seoul completed questionnaires on job stress, career calling, and burnout. Result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lack of directors' leadership and administrative support, work overload, and career calling significantly predicted child care teachers' burnout. Moreover, the association of lack of directors' leadership and administrative support of burnout was mediated by career calling. Conclusion/Implications: The findings suggest that directors' leadership and seamless administrative support need to be emphasized in order to reduce burnout and mitigate work-related stress among child care teachers. The findings also highlight the important role of career calling in reducing burnout among child care teachers and suggest the consideration of career calling as a target in interventions and educational programs.

농업계열 전공 대학생의 직업가치, 주관적 규범,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 진로적응성 간의 구조관계분석 (An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University Student's Work Value, Subject Norm,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Career Adaptability in Agricultural Science Fields)

  • 박혜진;유병민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4권3호
    • /
    • pp.211-222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griculture on the career adaptation and career decision by measuring the job value and the subjective norm of agriculture. Conclusions based on the study results can be suggested as follows. First,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subjective norm were significant variables in career adaptability of agriculture major college students. Therefore, the belief that one can plan and practice career goals and the affirmation of career plans and decisions in the vicinity are important factors in career adaptability. Second, Self-Realization and social recognition were significant variables i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griculture. In other words, it can be judged that social recognition such as honor and honor of others in a career choic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hich is self-esteem in career selection. Lastly, An important variable for the subjective norms of agricultural college students was social recognition. This can be said that the positive perception of the surrounding people is very important as the value of social recognition is more important.

출연(연)의 경력개발제도(CDP)와 경력정체성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velopment Practice and Career Plateaus in the Government Sponsored Institutions)

  • 차종석;박오원;이병헌
    • 기술혁신연구
    • /
    • 제19권2호
    • /
    • pp.1-23
    • /
    • 2011
  • 일반적으로 직원들이 자신의 경력이 정체되어 있다고 인식하게 되면 직무몰입 및 직무만족도가 낮아지고 이는 궁극적으로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연구개발 업무와 같이 고도의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한 직무에서는 경력개발이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기존 연구들이 경력정체성의 부정적 결과에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면 본 연구는 경력정체성의 선행요인을 파악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력정체성의 선행 요인을 조직수준 변수와 개인수준 변수로 구분한 후 각각의 변수가 경력정체성에 미치는 직접효과 및 변수들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하였다. 국내 정부출연연구소 연구원 및 행정직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한 결과, 경력개발제도와 타 기관 근무경험은 경력정체성과 부(-)의 관계를 보였으며, 연령은 경력정체성과 정(+)의 관계를 보였다. 또한 경력개발제도와 타 기관 근무경험간의 상호작용도 유의적인 결과를 보였다.

  • PDF

지방공기업 여성직원의 경력정체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gional public corporation women employee's career plateau upon subjective career success)

  • 하종철;박현숙
    • 산경연구논집
    • /
    • 제9권10호
    • /
    • pp.51-61
    • /
    • 2018
  • Purpose - Korean women suffered from serious experience at unfair personnel practice in the work and coexistence between work and home affairs. The study examined woman workers' career plateau perception and success who worked for local public enterprises, that is to say, regional public corporation invested by local government, and investigated mediating effect of dual commitment as well as control effect of self-efficacy from point of view of various access to variabl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study investigated women employees of regional public corporation by empirical analysis. The author collected 337 copies from 380 copies and made use of 325 copies after excluding copies with improper answer. SPSS 24.0 and AMOS 24.0 were used. Results - The study investigated effect of career plateau (structure and content) upon subjective career success (job satisfaction and career commitment) according to questionnaire material: First, not only structural plateau but also content career plateau had negative influence upon dual commitment (structure and career). Second, dual commitment had positive influence upon subjective career success from point of view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areer commitment. Third, structural career plateau had positive influence upon career success, and content career plateau had positive influence upon job satisfaction. Fourth, structural career plateau did not have significant influence upon job satisfaction, content career plateau and career satisfaction. Fifth, subordinate variabl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areer commitment) had mediating influence upon career plateau cognition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Sixth, self efficacy did not control career plateau cognition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Conclusions - Women employee's career plateau cognition mediated dual commitment to have influence upon career success and to be likely to help career success theory study. Career plateau had negative influence upon dual commitment and career success of women workers. The study shall give base of counteraction from point of view of control and motivation of women workers thinking of career plateau.

Antecedents of Career Development and Its Impact on Employee Performance: An Empirical Study in Indonesia

  • KUSNADI, Kusnadi;PRASETYO, Johan Hendri;MARKONAH, Markonah;ARIAWAN, Joko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9권9호
    • /
    • pp.115-120
    • /
    • 2022
  •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antecedents of career growth and its impact on employee performance. The research design is quantitative with a causal method. The sample used is 242 respondents working in different hospitals in Banten Province and were selected through the snowball sampling technique. The analytical method used to examine the research model is PLS-SEM. The analysis result shows that work environment and training have an impact on increasing career development and hospital employee performance. Career development can also directly be an antecedent in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hospital employees, but only has a moderate effect in mediating the influence of work environment and training on the employees' performance in the hospital. Based on these findings, hospital management in Banten Province must create and maintain a comfortable working environment for employees, offer training specific to each employee's line of work to help them improve their abilities, and create a system for career planning that takes into account each employee's potential.

종합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General Hospital Nurses' Turnover Intention)

  • 김소연;조혜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417-424
    • /
    • 2020
  •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감성지능, 경력정체, 간호근무환경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로 분석하였으며 이직의도와 간호근무환경(r=-.397, p<.001), 이직의도와 감성 지능(r=-.112, p=.033)은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이직의도와 경력정체(r=.352, p<.001)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종합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경력정체와 간호근무환경이었으며 설명력은 21.1% 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