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ditional play program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3초

전통놀이를 활용한 초보놀이치료자 치료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Therapy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 for Novice Play-therapists Using Traditional Play)

  • 소현하;한유진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3권5호
    • /
    • pp.103-115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develop a Therapy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 for Novice Play-therapists Using Traditional Play to enhance therapy Competency and second, to examine the program's effectiveness. The program consists of 10 sessions and each session employs a variety of traditional plays.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Scale and Playfulness Scale were used as a pre-test and post-test respectively.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18.0 program, which applied the Mann-Whiteney U test and Wilcoxon rank sum test. Twelve novice play therapists participated in ten sessions of the Therapy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 and wer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of twelve novice play therapists who did not receive treatment. The treatment group statistically showed significant enhancement in therapeutic relationships, and playfulness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group. It was concluded that the Therapy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 for Novice Play-therapists Using Traditional Play was effective for enhancing therapeutic relationships and playfulnes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its attempt to develop a Therapy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 to improve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and playfulness of novice play therapists by Traditional Play.

『전래놀이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 『Traditional Play Program』 on a Child's Self-Esteem and Social Competency in a Community Child Center)

  • 김민석;최진아
    • 아동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39-57
    • /
    • 2015
  •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e usefulness of a "Traditional Play Program" in a self-esteem and social competency enrichment program at a Community Child Center.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comprised 12 children attending L Community Child Center in M city and participated in a "Traditional Play Program" for each 70minutes every week through total 10 sessions running from July 28th to September 29th in 2014.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Mann-Whitney & Wilcoxon test as non-parametric test, in addition to the progressive recording method for behavior observ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a "Traditional Play Program" enriches the self-esteem and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who gets more vigorous activity sociality initiative respectively, and proves the usefulness for a Community Child Center.

실외 전래놀이가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Korean Traditional Outdoor Play o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 김영주;이진숙;오미숙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635-645
    • /
    • 2003
  • To examine the effect of traditional outdoor play o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the effectiveness of the traditional outdoor play program was evaluated in the kindergarten. Participants were 44 kindergartners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activities of traditional outdoor play were carried out twice in a week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only the regular activities of kindergarten program in the control group for 12 consecutive weeks. The data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independent t-test.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gram affected on the children's emotional recognition and expression about the self identity and importance,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nd self-motivation. Second, traditional outdoor play program affected on the children's emotional recognition and empathy in others, relationship and social skill significantly. These results showed that educational and funny traditional outdoor play contributes to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development.

  • PDF

비만학생을 위한 전통놀이 중심 비만관리 협동학습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the Traditional Play-centered Obesity Control Program for Obese Elementary School Children based on Cooperative Learning Theory)

  • 성정혜;최연희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513-526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Traditional Play-centered Obesity Control Cooperative Learning Program based on the cooperative learning theory on obesity rate, physical fitness, self-esteem, and body image specifically in obese elementary school children. Methods: The research design for this study was based on a non- 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5 to November 30, 2012. The subjects included 74 obese children ($Exp.=25^{(a)}$, $Com.=24^{(b)}$, $Cont.=25^{(c)}$) with an obesity rate above 20% at an elementary school in G City.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WIN 18.0, using Chi-square test, one-way ANOVA, and Scheffe test. Results: The obesity rate (F=4.033, p<.022)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the group (Com, Cont), in which the Traditional Play-Centered Obesity Control Cooperative Learning Program was not implemented. Self-esteem (F=4.310, p<.017) also caused significant differences. However, physical fitness (Muscular endurance F=1.545, p=.220; Flexibility F=.671, p=.514; Agility F=1.594, p=.210; Speed F=5.386, p<.007, scheffe (a,b

전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 및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Korean Traditional Play on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Resilience)

  • 김정겸;신현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73-181
    • /
    • 2014
  • 본 연구는 전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유아 44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주2회 7주간 전래놀이 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래놀이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일반적인 바깥놀이 활동을 한 비교집단 유아보다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능력의 하위요인인 주도성과 협조성, 사교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전래놀이 활동이 일반적인 바깥놀이 활동보다는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래놀이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의 회복탄력성은 일반적인 바깥놀이 활동을 한 비교집단 유아보다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회복탄력성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를 끼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인 정서조절력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충동억제력, 낙관성, 문제해결력, 공감능력, 자기 효능감, 적극적 도전성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래놀이가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인 정서조절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초등학생들의 놀이, 웃음활동, 디지털 게임의 선호도 실태 고찰 (A Study on Preferences about Play, Laughing Activity, Digital Gam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배진순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7-18
    • /
    • 2016
  • 본 연구는 놀이와 웃음활동을 인성교육과 접목하여 프로그램을 구안하고자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놀이(규칙놀이 영역, 전통놀이 영역, 보드게임 영역), 웃음활동, 디지털 게임의 실태와 선호도를 설문조사하였다. 학생들의 선호도는 보드게임 영역에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디지털 게임, 규칙놀이 영역, 전통놀이 영역, 웃음활동 순으로 나타났다. 규칙놀이 영역에서는 그룹놀이를 가장 선호했고, 전통놀이 영역에서는 윷놀이를 가장 선호하였다. 보드게임 영역에서는 7세 이상 대상 2연령의 보드게임을 가장 선호하였고, 디지털 게임은 모바일 게임을 가장 선호하였다. 따라서 초등학생들에게 양질의 놀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에는 학생들의 놀이 실태를 잘 파악하고 성별에 따라 선호도가 다름을 이해하는 등 놀이의 특성을 고려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유아를 위한 한국 전래동요의 선정 기준 탐색 (A Study on The selection criteria of Korean Traditional Nursery Rhyme for Children)

  • 조진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253-274
    • /
    • 2012
  • 본 연구는 한국 전래동요 중에서 유아에게 적합한 것을 선정하기 위한 기준을 마련하여 유아교육 현장에서 전래동요가 효율적으로 적용되기 위한 가능성의 구안에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유아에게 적합한 한국 전래동요의 선정 기준은 어떠한가, 둘째, 선정기준에 따른 유아를 위한 한국 전래동요는 어떠한가이다. 먼저, 유아에게 적합한 한국 전래동요의 기준을 선정하기위해 유아교육 및 유아교육 관련 전문가 30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통해 문항을 선정하였다. 수집된 응답들은 spss 12.0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계산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에게 적합한 한국 전래동요의 선정 기준은 '전통적 놀이공간과 놀이언어의 즐거움이 살아있는가, 옛 아이들의 생활 모습과 정서를 담고 있는가, 유아가 쉽게 이해할만한 내용인가, 유아가 흥미를 느낄만한 내용인가, 유아의 발달에 도움을 주는가, 유아가 쉽게 부를 수 있는 선율인가, 장단이 단순하고 반복적인가'로 나타났다. 또한 선정기준이 확정됨에 따라 이 기준을 바탕으로 유아에게 적합한 전래동요 112곡이 선정되었다. 112곡의 노랫말은 주로 '놀이의 즐거움'을 표현한 곡들로 전래동요의 전승을 위해서는 놀이가 함께 연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전통놀이를 활용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Traditional Play based Physical Activity Program on Soci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 김용재;장현기;이희영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3권2호
    • /
    • pp.198-209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effects of traditional play based physical activity program on social competence. To obtain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hypotheses were established. First, experimental group will show higher level of social activity than control group. Second, experimental group will show higher level of stability than control group. Third, experimental group will show higher level of cooperation than control group. Fourth, experimental group will show higher level of hypersensitiveness than control group. Forty eight four year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Iowa Social Competency Scale(Preschool Form) was used to measure children's social competenc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d analysis of covari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children's socal competence.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previous study. Finally research qu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suggested with comment on limitations of this study.

전래놀이를 활용한 지역사회 노인과 아동을 위한 세대교류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 of the Intergenerational Exchange Program for Older Adults and Young Children in the Community Using the Traditional Play)

  • 최민정;송경애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743-753
    • /
    • 2018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ffects of a community-based first and third Intergenerational Exchange Program (IGEP) on older adults'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loneliness, depression, and walking speed, and on 4~5-year-old preschool children's learning-related social skills. Methods: This study employ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test design. The experimental group included 42 older adults and 42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IGEP for 8 weeks, and the control group included 39 older adult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IGEP once a week for 8 weeks. It comprised a traditional play program based on the intergroup contact theory. Result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scores on the HRQoL-Visual analogue scale (VAS) and a decrease in loneliness and depression in older adults in the experimental group (p<.05).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IGEP showed an improvement in their learning-related social skills (p<.001). Conclusion: These results confirm that the IGEP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to improve HRQoL-VAS, loneliness, and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and learning-related social skills among preschool children in the community.

정간보(井間譜) 교육 프로그램 (Research on Jeongganbo Education Program)

  • 한미례;정낙현
    • 지역과문화
    • /
    • 제5권1호
    • /
    • pp.65-84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 콘텐츠로써 정간보(井間譜)를 효과적으로 교육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있다. 정간보는 세종 때에 만들어진 우리 고유의 악보로, 우리 음악 기초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정간보 교육은 초등3~4학년 통합음악과정에서 비교적 간단한 형태로 시작되어, 초등 5~6 통합음악과정에서는 정간보의 형태가 구체화 된다. 이러한 정간보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처음 접하는 단계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초등 3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전래놀이를 그 도구로 삼아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프로그램은 1단계 교구 만들기, 2단계 교구를 활용한 장단의 부호 이해, 3단계 전통 놀이를 통한 놀이로 장단을 익히는 과정을 거친다. 총 2차시 프로그램으로 1차시에서는 기본적인 내용을 학습하고, 2차시에서는 전통놀이 사방치기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정간보 이해도 측면의 국악교육과 에듀테인먼트 교육 콘텐츠 개발의 의의를 동시에 가진다. 또한 지역 특성에 따라 편중되었던 국악교육프로그램을 교육현장인 학교와 연계함으로써 폭넓은 국악교육의 활성화에 기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