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s recognition and attitude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9초

세시풍속과 연계된 유아경제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n Economic Education Program Model for Young Children Related to Korean Seasonal Customs)

  • 이숙재;이봉선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67-77
    • /
    • 2009
  • This study developed a model economic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related to Korean seasonal customs. The model was developed via literature reviews and survey research concerning teachers’'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economic education’', consultations with professionals in the field, and testing and modifying the program. The goals of the model program were: teaching children to understand basic economic concepts, helping children to develop an economic attitude that emphasizes interdependence, and acknowledging the importance of eco-friendly economic values. The model includes three educational areas and 21 content areas including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exchange, sharing and cooperation, and circulation with nature. This study also developed 37 early childhood economic education activities us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experiencing nature, virtual experience, real life experience, and traditional games experience.

가정과 교사의 다문화가족과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Homes Economics Teachers' Percep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Multicultural Education)

  • 전미경;김성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47-162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 교사의 다문화가족에 대한 인식과 바람직한 다문화교육을 위한 요구는 어떠한지 분석하여 효율적인 다문화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등학교에 재직 중인 가정과 교사를 대상으로 수집한 99부의 설문조사 자료를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 교사의 다문화가족 접촉 경험과 다문화교육 관련 수업 및 교사연수 유무 실태를 알아본 결과 다문화가족 접촉 경험이 있는 교사보다 없는 교사가 약간 많았다. 대학교 재학시절 다문화교육 관련 수업을 수강하였거나 다문화교육 관련 교사 연수를 받은 경험은 드물게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족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가정과 교사들은 다인종의 존중, 다문화의 안정, 다문화에 대한 신념, 다문화 지식 수용 태도는 매우 긍정적안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다문화가족에 대한 친밀감과 관심, 그들과의 소통에서는 유보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교육의 목표에 대한 관점을 분석한 결과, 다문화사회의 건설을 위해 상호 이해와 배려를 강조해야 한다는 배려중심 관점을 가장 많이 보이고 있었다. 다음으로 인간관계 강조 관점, 사회적 행동 강조 관정, 동화주의 관점 순이었다. 넷째, 가정교과에서 다문화교육을 실시 할 때 가정과 교사는 더불어 사는 다문화사회에 관한 내용을 중점적으로 다루어야 한다고 생각하며, 가정교과에서 지향해야 할 목표는 배려 중심 관점을 가장 선호했다. 다섯째, 다문화교육은 모든 교과의 전 영역에서 통합적으로 실시되어야 하지만, 특정 교과에서 실시된다면 기술가정과에서 중점적으로 다루어야 한다고 여겼다. 다문화교육을 실시 할 때 선행되어야 할 사항으로 교사의 다문화가족애 대한 이해와 인식전환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활용 자료는 시청각 자료, 연수 방법으로는 교사 직무 연수와 외국인과 함께하는 다문화 이해 연수를 선호하였다.

  • PDF

초등학교 영재학급 학생들의 형식적 정당화를 돕기 위한 교사 발문의 역할 (A Questioning Role of Teachers to Formal Justification Process in Generalization of a Pattern Task for the Elementary Gifted Class)

  • 오세연;송상헌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31-148
    • /
    • 2016
  •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 영재학급 학생들(8명)이 패턴의 일반화 과제를 해결함에 있어 귀납 추론으로 일반식은 추측하였으나 그에 대한 형식적 정당화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분석하고 그 해결을 돕기 위한 교사 발문의 역할 모색과 발문 기법 제안을 목적으로 하였다. 학생들의 형식적 정당화를 돕기 위한 교사 발문 목록들을 3차에 걸친 현장 적용을 통해 확인한 결과, 초등학교 영재학급 학생들은 형식적 정당화로 이행을 할 때 정당화를 시도해야하는 이유, 연역적 탐구에 대한 인식 부족, 유연한 탐구 방법에 대한 심리적 저항감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면담 분석 결과 학생들이 정당화의 필요성과 귀납적 탐구 결과의 한계를 체감할 수 있도록 교사가 태도면에서 출발하여 방법면과 내용면으로 구체화해갈 수 있도록 체계적인 발문을 준비하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내용면에서의 4가지와 절차면에서의 3가지 발문 기법을 제안하면서 논의를 바탕으로 발문 일람표와 그 흐름도를 제시하고 교사 발문의 역할이 주는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초등 정보과학영재의 귀인성향과 정보과학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에 대한 조사연구 (A Study on Relation between Attribution Style of Elementary Gifted and Talented in Information and Their Attitude to Information Science)

  • 이재호;정누리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4호
    • /
    • pp.547-563
    • /
    • 2015
  • 본 연구는 성별, 학년, 영재교육기간에 따른 초등 정보과학영재의 정보과학에 대한 태도와 귀인성향의 차이를 알아보고, 귀인성향, 정보과학에 대한 태도, ICT 역량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 정보과학영재 7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귀인성향의 차이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내적성향이 더 높았고 외적성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학년이 6학년보다 내적, 외적성향 모두 점수가 높았고 1년과 2년 이상 교육받은 학생들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정보과학에 대한 태도의 차이에서 남녀 간의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5학년이 6학년보다 몇 가지 요인에서 점수가 높았다. 영재교육기간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귀인성향은 정보과학에 대한 태도와 내적성향이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고 외적성향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ICT역량의 하위요인인 ICT 원리에 대한 이해는 내적 성향과, SW코딩 능력은 외적성향 중 과제곤란도 요인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ICT 역량의 몇 가지 하위요인과 정보과학에 대한 태도의 하위요인이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시사점은 여학생들이 정보과학의 성취결과를 노력 귀인에 더 많은 비중을 부여하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고학년 학생들에게 정보과학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심어줄 수 있는 계기가 필요하다. 그리고 정보과학영재의 선발 과정에서는 정보과학에 대한 태도 역시 선발 요인으로 비중 있게 고려해야 하며 정보과학학습에 대한 노력에 가치를 두도록 장려할 필요가 있다.

유아의 정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탐색 (An Analysis on the Factors of Information Literacy Ability for Young Children)

  • 권정심;강상;신지혜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15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컴퓨터 활용을 통한 유아의 정보능력에 있어 가정에서의 컴퓨터 사용유무, 유치원에서의 컴퓨터 교육 경험 및 교육의 형태, 부모의 컴퓨터 활용교육에 대한 찬부(贊否)가 유아의 정보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전주시에 소재한 5개 유치원에 재원중인 4세 유아 1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교사 평정에 의한 유아 정보능력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유아의 정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였다. 자료 분석의 결과, 가정에서의 사용유무의 차이는 유아의 정보능력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였으나, 유치원에서의 컴퓨터 교육 경험 및 교육의 형태, 부모의 컴퓨터 활용교육 찬부(贊否)에 따라 유아의 정보능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시사점과 제안점이 논의되었다.

창의성 계발을 위한 대학과 중등학교간 과학과 연계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시범적용 연구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Middle School Science Program for Fostering of Students' Creativity Through Partnerships Between University and Local Schools)

  • 최병순;김범기;강성주;신재섭;인미영;신애경;김영신;진정미
    • 대한화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510-518
    • /
    • 2004
  • 이 연구는 다양한 창의적 교수 전략을 이용하여 학생들의 창의력 계발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을 조사 분석하여 향후 확대 실시를 위한 개선점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중학교 7학년 과학과 내용 중 일부를 다양한 교수 전략을 이용하여 창의력 프로그램으로 개발하고, 이를 3학급 93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약 3개월 동안 처치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 학생들의 창의력이 전통적인 과학 수업을 받은 학생에 비하여 크게 향상 되었다. 특히 창의력 하위 요소 중 개방성 요소에서 큰 향상이 있었다. 과학 성적에 따른 창의력 변화를 분석한 결과, 과학 성적이 높을수록 창의력에 큰 향상이 있었다. 창의력 프로그램과 그 적용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모든 교사와 대다수의 학생들이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내어, 학교 현장에 적용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프로그램 적용상의 문제점을 분석한 결과, 수업시간의 부족, 학급당 인원의 과다, 학생들의 적극적 참여 결여 등의 문제점이 드러났다. 따라서 창의력 계발을 위한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함께 이러한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 방안이 사전에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초등학생의 보건관리 만족도와 태도에 관한 연구 - 양호교사 유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Health Care Satisfaction and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nurse teacher -)

  • 박동권;박영수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49-71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rve as a basis for school health care of better quality, by mak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health care satisfaction and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onsideration of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nurse teacher.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919 selected six graders in 16 elementary schools in the city of Tongduchun, Koyang and Euijungbu, Yangju-kun and Yeunchun-kun. A survey was conducted with questionnaire designed for measurement of health care satisfaction and attitud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collected from June 1 through 15, 2000,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1) As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investigated, the subjects included 513 boys(55.8%) and 406 girls(44.2%). The schools where 390(42.4%) students attended were located in municipal area, and the schools where 529(57.6%) students attended were located in kun area. 608(66.2%) students had a nurse teacher at their schools, while 311(33.8%) students had no nurse teacher. 498(54.2%) had an experience to use the health room this year, but 421(45.8%) had no such an experience. Their mean school life satisfaction was scored $3.42{\pm}.71$, above the average. And their health condition was rated $3.81{\pm}.87$, which implied they tended to be in good health. 2) The mean satisfaction at the health room operation was scored $3.33{\pm}.71$, above the medium level. What they were most satisfied with($4.02{\pm}1.08$) was, among the health room facilities, that there were beds. But they expressed the least satisfaction($2.83{\pm}1.17$) at the location of health room. The presence or absence of nurse teacher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ir satisfactionat health room operation, because the students in schools with nurse teacher showed greater satisfaction($3.42{\pm}.72$) than the others in schools with no nurse teacher did($3.15{\pm}.66$). 3) Concerning their attitude to use the health room in case of disease or accident occurrence, a lot of students in schools with a nurse teacher, who had ever suffered from indigestion, headache or traumatic injury, used the health room. In schools with no nurse teacher, there was a tendency to talk to their class teachers(p<.001). The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for health counseling was generally on a medium level. The counselor whom they wanted to discuss health problem with was family or friend in the largest cases. Few students discussed with class teachers in case there was a nurse teacher in school. Instead, some of them discussed with friend, family or nurse teacher,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p<.001). 4) The mean satisfaction at health, sanitation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was rated $3.20{\pm}.90$, above the average. The classroom lighting gave them the best satisfaction with $3.67{\pm}1.07$, but the satisfaction at toilet cleanness and disinfection was not good with $2.83{\pm}1.19$.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nurse teacher, those who had a nurse teacher expressed better satisfaction at water supply facilities including hot water than the others who had no nurse teacher did(p<.001).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other items. 5) The health education satisfaction was rated $3.19{\pm}.99$, which was on a medium level. By item, the mean satisfaction level was $3.36{\pm}1.19$ at nurse teacher's explanation about treatment, $3.13{\pm}1.15$ at the frequency of health education, and $3.08{\pm}1.16$ at the explanation on the cause of disease. By the presence or absence of nurse teacher, the students with nurse teacher showed significantly better satisfaction at every factor0(p<.001). 6) Regarding health education attitude, their recognition of the need for school health education was scored $3.89{\pm}.96$. Those who had a nurse teacher felt it more necessary($3.96{\pm}.92$), yet the others who had no nurse teacher felt its necessity a little less($3.74{\pm}1.01$). The most preferred thing for them to learn in health education was first aid, followed by sex education, obesity prevention, safety accident prevention in school and outdoors, smoking-related health, good use of leisure time, and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 in the order nam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nurse teach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 education(p<.01), but no significant disparities were found in the other factors. The most preferred person who would offer health education was a lecturer from the outside(45.8%) and nurse teacher(45.4%). Their preference for class teacher as a person in charge of health education was just 8.8%. But the presence or absence of nurse teacher didn't produce any differences to their preference for a person in charge of health education.

  • PDF

비정규 과학교육 활동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 '주니어 공학기술 교실' 사례를 중심으로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cognition of the Informal Science Education Program: 'Korea Junior Engineering Achievement' Case)

  • 장경애;윤혜경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4권4호
    • /
    • pp.329-336
    • /
    • 2005
  • 최근 들어 학생들은 비정규 과학 활동을 접할 기회가 많아지고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과학 공연과 경연에 참여할 수 있으며, 과학관을 방문하고, 대중매체를 통해 다양하고 풍부한 과학의 이미지와 영상자료들을 접한다. 또 과학자들로부터 직접 강연을 들을 수도 있으며, 여러 기관에서 진행하는 행사를 통해 과학 체험 활동을 하기도 된다. 2004년부터 한국공학한림원에서는 민간 기업과 기업의 연구소가 지역의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현대 과학기술과 관련된 제작활동을 지도하는 '주니어 공학기술 교실'을 운영해왔다. 이 연구는 '주니어 공학기술 교실(KJEA)' 프로그램에 참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비정규 과학 학습을 효과적으로 발전시키는데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주니어 공학기술 교실' 사업에 참여한 40개 초등학교 중 8개 초등학교 4학년, 5학년, 6학년 학생 807명을 대상으로 '주니어 공학기술 교실(비정규 과학 학습)에 대한 선호도와 그 이유', '주니어 공학기술 교실(비정규 과학학습)에 대한 태도', '주니어 공학기술 교실 프로그램에 대한 흥미', '주니어 공학기술 교실의 성과'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생들은 이와 같은 형태의 비정규 과학 학습 활동에 대해 매우 높은 선호도를 보였으며 그 이유로 직접 해 볼 수 있는 참여과 프로그램의 신기성과 같은 프로그램의 특성이 중요하게 부각됐다. 이러한 결과는 '주니어 공학기술 교실' 형태의 비정규 과학 학습 기회의 확대가 필요하고 동시에 효과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양질의 프로그램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가장 중요함을 시사한다.

  • PDF

중학생의 환경오염과 학교급식 음식물쓰레기 감량에 대한 태도 (An Attitude about Reduc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School Lunch Leftovers in Middle School Students)

  • 최명윤;한명주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64-171
    • /
    • 2009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the recognition of food waste, school lunch leftovers and satisfaction toward school lunch in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Four hundred students were surveyed beginning April, 2007.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primary means in which students learned about environmental pollution were 'video media' (54.7% males, 39.2% females) and 'by teachers' (23.2% males, 33.0% females). The primary effects on food habits after participating in the school lunch program were 'having a balanced diet' (23.3%) in the females, and 'decreased intake of junk food' (24.9%) in the males. The serving sizes for cooked rice, soup, and meat were higher in the females (3.46, 3.46, and 2,91, respectively) than the males (3.18, 3.29, and 2.73, respectively). The primary school lunch leftovers for one week were cooked rice (4.55), meat (4.35), kimchi (3.84), fish (3.60), vegetables (3.38), and soup (3.08).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the school lunch meal indicated that good taste had high importance, but low performance. Nutritional balance, food safety, cleanliness of tableware and supplies, clean uniforms of employees, and cleanliness of the dining area had both high importance and performance.

어린이집 장애영유아 통합보육에 관한 연구 동향 (Research Trends in Inclusive Child-care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 조귀희;문예은;이주연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1-49
    • /
    • 2020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research trends of inclusive child-care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suggest som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on inclusive child-care. Methods: There were a total 330 previous research papers about child-care inclusion, which means the practice of educating and caring for children aged 0 to 5 years old with disabilities alongside their typically developing peers at child-care centers. The studies were analyzed in terms of main research topic, subject, and research methods. Result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a quantitative increase of the research since 2003 and a sharp increase of total research in this area since 2006 were found. Second, as a result of the main topic analysis, recognition and attitude research was the most frequently conducted, followed by the research about child-care programs, teacher and family support, and the effect of inclusive child-care. Third, more than half of the researches were done by teachers. Lastly,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mainly used. Conclusion/Implica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o extend the research on inclusive child-care effect, intervention programs, non-disabled children, infants, and qualitative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