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n Analysis on the Factors of Information Literacy Ability for Young Children  

Kwon, Jung-Sim (덕성여자대학교 유아교육)
Kang, Sang (원광대학교 유아교육과)
Shin, Ji-Hae (한라대학)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6, no.2, 2010 , pp. 1-15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using computers for an Information Literacy Abilities of Young Children(ILAYC) and development of the ILAYC, with regard to following factors: computer use at home, learning in educational facilities for early childhood, and parents' recognition toward computer-assisted education. The data were obtained from random sampling of 4-year old children in educational facilities for early childhood located in J city.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order to measure ILAYC, using the questionnaire for teachers from September 3 to 27, 2009. The t-test to investigate computer utilization ability and information literacy ability for young children revealed that the ILAYC was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ir computer use at home, while the ILAYC varied with learning in educational facilities and parents' recognition toward computer-assisted education. These are resulted from parents' different recognition toward computer-assisted education when they select an educational facility for early childhood.
Keywords
information literacy; attitude toward computer use; computer operation ability; information searching ability; information utilization abilit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선영 (2002).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의 인터넷에 대한 인식과 인터넷 정보 활용에 관한 조사연구.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권민균, 최명숙(2004). 아동의 인터넷 활동 및 선호에 대한 조사 : 연령과 성 차이를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13(2), 137-150
3 경향신문, 2006년 2월 3일, 1면. '3-5세 유아 절반, 인터넷 한다.'
4 교육인적자원부 (2000). 유치원 교육과정.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5 김선영 (2001). 유아 컴퓨터 교육을 위한 교사들의 컴퓨터 활동 및 인터넷 정보 활용에 관한조사연구.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윤정 (1994). 유아의 협동 학습 활동에 따른 컴퓨터 흥미도의 변화.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연희, 박응임 (2006). 부모의 유아교육기관 유형별 선택요인 및 만족도. 대한가정학회지, 44(8), 89-99.   과학기술학회마을
8 김유미 (2001). 아동의 생활환경이 인터넷 경험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김진영, 김정원, 전선옥 (2001). 유아.부모.교사를 위한 부모교육. 서울: 창지사.
10 남윤연 (2004). 유아의 정보통신기술 활용태도 및 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원격유아교육정보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대한민국정부 (2006). 정보화에 관한 연차보고서. 정보통신부.
12 박경숙 (2005). 컴퓨터 교육 프로그램 활동이 유아의 사회. 정서 발달에 미치는 효과. 아동학회지, 14(1), 223-236.
13 서상영 (2006). 인터넷을 활용한 효과적인 수학학습: 인터넷 커뮤니케이션 유형분석. 경희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손미 (1999). 자원기반 학습을 통한 자기주도학습 및 정보 활용능력 신장, 초등교육연구, 13(1), 213-234.
15 송선화 (2003). 인터넷을 활용한 효과적인 영어학습: 인터넷 커뮤니케이션 유형분석.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심혜영 (2004). 가정에서의 유아컴퓨터 사용에 대한 부모의 인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양연임 (2000). 컴퓨터로 쓰기에 나타나는 초기 쓰기 발달 양상.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유구종, 김종연 (2002). 유아교육기관 인터넷 활용 교육의 현황 및 문제점. 열린 유아 교육연구, 7(1), 77-98.
19 유구종, 이대균 (2000). CD-ROM과 CD-I, 인터넷 매체 활용 교육활동 프로그램 운영에 따른 유아 수행평가 비교연구. 유아교육연구, 20(4), 107-126.
20 윤미미 (2002). 인터넷을 활용한 영어교육 현황과 개선방향 모색: 구성주의 관점에서의 인터넷 사이트 분석을 통하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이민혜 (2006). 인터넷을 활용한 통합영어 수업모혛 및 효과에 관한 연구: 초등학교 방과후 교실 1, 2, 3학년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이현주 (2006). 초등학생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하루 인터넷게임시간 및 인터넷게임 중독. 교육방법연구, 18(2), 119-137
23 Haugland, S. W.(2000). What role should technology play in young children's learning?(Part II). Early childhood classrooms in the 21st century: Using computers to maximize earning. Young Children, 55(1), 12-18.
24 화랑유치원 (1999). 컴퓨터 활용을 통한 유치원 정보화 교육 활성화 방안. 대전광역시 서부교육청 지정 시범유치원 운영보고서.
25 홍혜경, 정용은 (2005). 유아의 정보능력 측정 도구 개발 연구. 유아교육연구, 25(1), 47-64.
26 Clements, D. H. (1987). Effect of Logo and CAI environments on cognition and creativity,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8(4), 309-318.
27 Haugland, S. W., & Ruiz, E. A. (2002). Empowering children with Technology: Outstanding Developmental software for 2002,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30(2), 125-132.   DOI   ScienceOn
28 Kadan, M(1990). Issues on computer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Seefeldt(Ed.), Continuing issu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pp.261-275).
29 Tan, L. E. (1985). Computers in pre-school education.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9, 319-336.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