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Questioning Role of Teachers to Formal Justification Process in Generalization of a Pattern Task for the Elementary Gifted Class

초등학교 영재학급 학생들의 형식적 정당화를 돕기 위한 교사 발문의 역할

  • Received : 2016.01.17
  • Accepted : 2016.02.19
  • Published : 2016.02.28

Abstract

Mathematical formal justification may be seen as a bridge towards the proof. By requiring the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to prove the generalized patterned task rather than the implementation of deductive justification, may present challenges for the students. So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 (1) What are the difficulties the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may encounter when formal justification were to be shifted into a generalized form from the given patterned challenges? (2) How should the teacher guide the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process of transition to formal justification?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 (1) In order to implement a formal justification, the recognition of and attitude to justifying took an imperative role. (2) The students will be able to recall previously learned deductive experiment and the procedural steps of that experiment, if the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possess adequate amount of attitude previously mentioned as the 'mathematical attitude to justify'. In addition, we developed the process of questioning to guide the elementary gifted students to formal justification.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 영재학급 학생들(8명)이 패턴의 일반화 과제를 해결함에 있어 귀납 추론으로 일반식은 추측하였으나 그에 대한 형식적 정당화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분석하고 그 해결을 돕기 위한 교사 발문의 역할 모색과 발문 기법 제안을 목적으로 하였다. 학생들의 형식적 정당화를 돕기 위한 교사 발문 목록들을 3차에 걸친 현장 적용을 통해 확인한 결과, 초등학교 영재학급 학생들은 형식적 정당화로 이행을 할 때 정당화를 시도해야하는 이유, 연역적 탐구에 대한 인식 부족, 유연한 탐구 방법에 대한 심리적 저항감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면담 분석 결과 학생들이 정당화의 필요성과 귀납적 탐구 결과의 한계를 체감할 수 있도록 교사가 태도면에서 출발하여 방법면과 내용면으로 구체화해갈 수 있도록 체계적인 발문을 준비하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내용면에서의 4가지와 절차면에서의 3가지 발문 기법을 제안하면서 논의를 바탕으로 발문 일람표와 그 흐름도를 제시하고 교사 발문의 역할이 주는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성룡 (2003) 초등학생의 수학적 정당화에 관한 연구. 초등수학교육, 7(2), 85-99.
  2. 김민정, 이경화, 송상헌 (2008). 초등 수학영재의 대수적 사고 특성에 관한 분석. 학교수학, 10(1), 23-42.
  3. 김지영, 박만구 (2011). 수학 영재 교육 대상 학생의 기하 인지 수준과 증명 정당화 특성 분석. 초등수학교육, 14(1), 13-26.
  4. 김정하 (2010). 초등학생의 수학적 정당화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박준철 (2013). 수학적 정당화를 주제로 한 초등수학 영재프로그램 개발. 서울교육대학교석사학위 논문.
  6. 송상헌, 허지연, 임재훈 (2006) 도형의 최대 분할 과제에서 초등학교 수학 영재들이 보여주는 정당화의 유형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6(1), 79-94.
  7. 유미경, 류성림 (2013). 초등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패턴의 유형에 따른 일반화 방법 비교. 학교수학, 15(2), 459-479.
  8. 오세연 (2014). 초등 수학 영재의 수학적 정당화 과정과 교사 발문의 역할.-패턴 일반화 과제를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이국형 (2011). 교사의 발문과 권고가 영재학급 학생들의 문제해결 과정에 미치는 수학적 사고 특성 변화 분석.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10. 이경화, 최남광, 송상헌 (2007). 수학영재들의 아르키메데스 다면체 탐구 과정 - 정당화 과정과 표현 과정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9(4), 487-506.
  11. 이주희 (2004). 학습자의 반응에 기초한 교사의 발문이 수학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최병훈, 방정숙 (2012). 초등학교 4, 5, 6학년 영재학급 학생의 패턴 일반화를 위한 해결 전략 비교. 수학교육학연구, 22(4), 619-636.
  13. 한정민, 박만구 (2010). 수학적 창의성 관점에서 본 교사의 발문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3). 865-884.
  14. 片桐重男 (1992). 문제해결 과정과 발문 분석. 이용률, 성현경, 정동권, 박영배 역. 서울: 경문사.
  15. Polya, G. (1954). Mathematics and Plausible reasoning Volume II: Patterns of Plausible Inferen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6. Simon. M. A & Blume. G. W (1996). Justification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 A Study of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Journal of Mathematical Behavior. 15, 3-31. https://doi.org/10.1016/S0732-3123(96)90036-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