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 as researcher

검색결과 152건 처리시간 0.022초

초등 예비교사들이 과학 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Difficulties in Science Lessons)

  • 윤혜경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3권1호
    • /
    • pp.74-84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et an implication on teacher education program, by exploring the difficulties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have with their science lessons. 37 pre-service teachers were requested to write an anecdote about their science lessons during their 4 week practicum. By analyzing these anecdotes, the difficulties were grouped into several categories by the researcher, and then reconfirmed by the pre-service teachers themselves.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ere far more difficulties with practical work (cases: 48), than with content knowledge teaching (cases: 17). Among practical work related difficulties, the most frequent cases were: 1) when they have unexpected result different from scientific theory (cases: 10), 2) when they teach process skill and usage of lab equipments (cases: 8), and 3) when they do not have enough preparation for practical work (cases: 7). Unlike the result of preceding research on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there was no affective aspect problems. These difficulties also can be divided into 'problems' and 'dilemmas'. Whereas 'problems' can be settled by removing obstacles, 'dilemmas', a conflict-filled situation, require choices between competing values or aims. The use of scientific language, the decision on the level and amount of knowledge they teach, and disposal of unexpected experiment results caused such dilemmas in science lessons. The research results imply practical work should be more strengthened in the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program. And both teacher educators and pre-service teachers need to understand that practical teaching is a complex enterprise accompanying some 'dilemmas'. The role of science teachers as managers of dilemmas could be considered.

  • PDF

5세 도담반의 실내놀이지원을 위한 실행연구 (An Action Research to Support Indoor Free Play in the Dodam Class Consisting of Five-Year-Olds)

  • 심소영;권연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9-47
    • /
    • 2021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teacher's role as play supporter in a carry out play generated curriculum and develop and implement an action plan in order to indoor free play. Methods: Participants were 14 kindergartners (9 boys, 5 girls) and one teacher. Processes of planning-implementation and observation- reflection were repeated in a cyclical procedure and the 3rd action plan was conducted based on strategies to support children's play. Results: Children experienced the following: Continuing and immersive play, play filled with experiments and challenges, play to make together, attitude to enjoy novelty and respect differences, and play of trial and error. And the researcher changed the following: Be sensitive to the child's words and actions, finding the 'real interest' of children in 'waiting', acquiring the perception that 'children are the masters of play', seeing the value of learning in children's expressive play, and gain confidence in play support.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suggested the need for teacher to have patience and demonstrate reflective thinking in order to support children's play.

교사의 자서전을 통한 수학 수업 연구 (Autobiographies of Teachers as Qualitative Inquiry on the Teaching Mathematics)

  • 김상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8권4호
    • /
    • pp.435-453
    • /
    • 2008
  • 본 논문은 수학 수업에 대한 새로운 연구 방법으로서 교사의 자서전을 소개하고 그에 따른 연구 사례를 밝히고자 하였다. 첫째로 수학 수업 연구의 질적 연구 방법으로서 교사의 자서전 도입의 가능성이라는 측면에서, 자서전 연구의 성격을 밝히고 수학 수업 연구 방법으로서 자서전 연구가 갖는 의의와 난점을 논의하였다. 둘째로 본 연구가 설정한 자서전 연구 방법에 의한 연구 사례로서, 초보교사에서 경력교사로 가는 동안의 자서전을 통하여 수학 수업에 대한 교사의 숙고 과정을 살펴보았다.

  • PDF

Perceptions of preservice teachers on AI chatbots in English education

  • Yang, Jaeseok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4권1호
    • /
    • pp.44-52
    • /
    • 2022
  • With recent scientific advances and growing interest in AI technologies, AI-based chatbots have been viewed as a practical learning aid for English language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n the potential benefits of employing AI chatbots in English instruction and its pedagogical aspects. 28 preservice teachers majoring in English education were asked to use Kuki chatbots for a week with a guidance of a researcher and then report on their perceptions of AI chatbots in terms of perceived usefulness after use, applicability, and educational benefits and drawbacks. Emerging codes and themes were identified and evaluated using Thematic Analysis(TA) based on qualitative data from surveys and interviews. The findings show that six emerging themes were identified, encompassing perspectives on teacher, learner, communication, linguistic, affective, and assessment. The overall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AI-based chatbots can play a significant role as learning tools for stimulating interactive communication in a target language. Most preservice primary teachers acknowledge that AI chatbots can be useful as teaching and learning aids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Furthermore, when applying various learner data to chatbot technology, such as learner assessment and diagnosis, a guided approach is necessary to perform a conversation appropriate for the learner's level and characteristics. Finally, as chatbots have a variety of benefits in terms of affective aspects, they may improve EFL learners' confidence in speaking English and learning motivation.

OECD 교원양성 국제비교 연구(ITP)가 한국의 중등교원양성제도 개혁에 주는 시사점 (Exploring the OECD ITP(Initial Teacher Preparation) Program and Its Implications for Future Teacher Education and Induction Policy)

  • 전수빈
    • 비교교육연구
    • /
    • 제28권4호
    • /
    • pp.1-21
    • /
    • 2018
  • OECD ITP 프로젝트는 일종의 블랙박스를 들여다본 연구와 같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다양한 국제학업성취평가 결과 비교를 통해 각국은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교원양성교육 개혁과 신임 교원의 입직연수 지원제도를 포함한 다양한 전문성 개발제도의 개혁을 시도해왔다. 2015년부터 OECD 회원국들 가운데 자발적 참여 의사를 밝힌 국가들을 중심으로 국가 간 심층 비교연구인 교사 양성제도 국제비교 연구(ITP)를 시행해 왔다. 본고에서는 ITP 프로젝트의 진행 과정을 소개하고, 참여국의 교원양성제도에 대한 국가배경보고서를 분석하여 참여국 간 교원양성제도 상의 특징을 비교해 보았다. 또한 과제 참여국의 교원양성 제도를 비교하여 교원 양성제도를 둘러싼 공통적 쟁점들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6개국의 교원양성제도의 공통점과 차이점 여섯 가지를 도출하였다. 또한 이러한 비교 분석한 결과는 우리나라의 교원양성제도를 개혁하는데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해 주었다. 첫째, 국가 수준의 전문성 기준(professional standards)을 개발하여 교원 양성, 연수, 평가, 승진에 이르는 제도의 연속성과 일관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교원양성제도 개혁의 속도와 강도를 조금 더 높일 필요가 있다. 셋째, 좀 더 다양한 이해집단이 교원양성제도 개혁과 운영에 참여할 필요가 있다.

학습공동체에 참여한 수학교사의 정체성 형성 과정에 대한 사례연구: 실천공동체 이론을 중심으로 (Case study on identity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achers involved in learning community: Based on the theory of "Community of Practice")

  • 윤정은;권오남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8권1호
    • /
    • pp.1-26
    • /
    • 2024
  • 수학 수업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교사 연수 및 개별적인 노력의 한계가 보고되며, 대안적인 교사 전문성 체제로 학습공동체가 주목받고 있다. 학습공동체는 공동 목표를 바탕으로 상호 참여를 통해 수학 교과 내용, 교육학, 교육과정에 대한 레퍼토리를 형성하는 하나의 실천공동체(Community of Practice, CoP)이고, 따라서 교사들의 학습은 실천공동체 이론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고등학교 교사 학습공동체에 참여한 수학교사들의 정체성 형성 과정을 실천공동체 이론을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성찰 저널, 협의록, 수업 영상 전사본의 귀납적 분석을 통해 수학교사들의 학습공동체 참여 경험을 도출하였고, 참여 관찰 기록지를 토대로 개별 인터뷰를 진행한 후 이를 유형적으로 분석하여 각 수학교사의 정체성 형성 과정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수학교사는 학습공동체 참여를 통해 수학 교수·학습에 관한 실천 형성, 지속적인 반성과 성찰을 통한 교수 실행 개선, 공동체 몰입을 통한 함께의 가치 인식을 경험했고, 이 경험을 바탕으로 주변적 궤적, 내부지향 궤적, 내부자 궤적, 경계적 궤적, 외부지향 궤적 등을 보이며 다양하게 정체성을 형성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습공동체의 효과적 운영을 위한 시사점이 논의되었고 후속 연구가 제안되었다.

영유아교사의 급식 운영 실태와 급식 지도 분석 (An Analysis of Meal Guidance and Meal Manage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김지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4487-4495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교사의 급식 운영 실태와 급식 지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171명의 영유아교사이다. 연구도구는 유아교육현장의 급식 운영 실태와 급식 지도를 측정하는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x^2$, F검증, Duncan 사후 검증을 실시한 결과 첫째, 교사의 근무기관 유형에 따라 급식 시간 운영과 급식 제공 분량, 급식 배분형태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교사가 담당하는 학급 원아의 연령에 따라 급식 시간 운영과 급식 제공 분량, 급식 배분 형태, 늦게 먹는 유아의 지도 유형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영유아교사는 급식 지도 내용 중에서 '식사 후 내용', '식사 전 내용', '식사 중 내용' 순으로 강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의 근무기관에 따라 '식사 후 내용'에서 차이가 있었고, 교사가 담당하는 학급 원아의 연령에 따라서는 '식사 전 내용'과 '식사 중 내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것으로 보아 교사의 근무기관 유형과 담당학급 원아의 연령은 급식 운영 실태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으며, 유아교사가 영아교사보다 대체적으로 급식지도를 잘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바이다.

교사의 전문성 인식, 교수 의도 행동에 따른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The Quality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by Teac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and Teaching Intentions)

  • 주현정;신혜원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15
    • /
    • 2018
  • 본 연구는 교사의 전문성 인식, 교수 의도 행동,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이 교사의 학력과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각 변인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소재한 국공립, 민간, 직장 어린이집 22곳에 재직 중인 만 2세~만 5세 교사 50명이었다.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해 최소영과 신혜영(2015)이 번안한 Arnett(1989)의 교사 상호작용 척도(Caregiver Interaction Scale: CIS)를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교사의 전문성 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Wang(2005)이 개발하고 정아람(2016)이 번안, 수정한 평정척도(Current Status and Self-Desire for Professional Competence)를 사용하였다. 교수 의도 행동은 Wilcox-Herzog와 Ward(2004)의 교수 의도 행동 척도를(Teaching Intention Scale: TIS) 본 연구자가 번안,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은 연구자와 연구 보조자가 직접 기관을 방문하여 교사 관찰을 실시하였고,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교수 의도 행동은 교사용 설문지를 통해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t-검증과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은 교사의 학력과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교사의 경력이 많을수록 전문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교수 의도 행동은 교사의 학력과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전문성 인식 수준이 높은 교사가 긍정적인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더 많이 하였다. 특히 교수 능력, 운영관리 능력의 전문성 인식 수준이 높은 교사가 좀 더 긍정적인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하였다. 다섯째, 교사의 교수 의도 행동 수준이 높을수록 교사-영유아의 민감한 상호작용 수준이 높았다. 결론적으로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은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관계가 있었고, 교사의 교수 의도 행동은 교사-영유아의 민감한 상호작용과 관계가 있었다.

TPACK에 대한 예비 교사의 인식 분석 (The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TPACK)

  • 장봉석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93-300
    • /
    • 2021
  • 이 연구는 테크놀로지 교수 내용 지식(TPACK)에 대한 예비 교사의 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충청북도에 위치한 A대학교의 재학생 307명이 테크놀로지 교수 내용 지식(TPACK) 척도에 응답한 결과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과정에서 IBM SPSS 21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독립표본 t검증, 일원변량분석, 중다회귀분석(Enter 방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평균 차이 분석 결과, 교수 지식(PK), 교수 내용 지식(PCK), 테크놀로지 교수 지식(TPK), 테크놀로지 교수 내용 지식(TPACK)에서 여학생 평균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년별 평균 차이 분석 결과, 내용 지식(CK)의 경우 1학년, 3학년과 4학년의 평균이 2학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다. 셋째, 테크놀로지 교수 내용 지식(TPACK)에 대해 β값이 교수 지식(PK)은 .11, 교수 내용 지식(PCK)은 .11, 테크놀로지 교수 지식(TPK)은 .715로써 통계적으로 유의한 예측 변인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TPACK 실행 매뉴얼 및 워크북 개발과 다양한 테크놀로지 실습 기회 제공 등의 논의점을 제시하였다.

교사의 환경교육 해석과 학습자 변화에 대한 기대 -두 중학교에서의 문화기술적 사례 연구- (Teachers' Perspectives o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xpectations for Learners' Changes : An Ethnographic Case Study in Two Korean Middle Schools)

  • 김찬국;이동수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5권1호
    • /
    • pp.101-114
    • /
    • 2002
  • This study is an ethnographic case study aiming at understanding the environmental education (EE) classes of 'Discretionary Activity' which has recently been introduced into Korean middle school curricula. To s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es, researcher described the phenomena unique to two schools. Two middle school teacher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s research participants. Qualitative approaches were used to understand the status quo of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teachers's perspectives on EE and their expectations for learners' changes. Data were gathered using the methods of participant observation during two school terms and in-depth interview with two teachers and nine students. Ethnographic analysis/interpretation methods such as domai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o verify the research methodology and conclusions, triangulation, members checking and peers debriefing were used. Research questions emerging through the circulative research process include 1) what are the teachers' perspectives on EE and how do the teachers' perspectives affect their EE teaching? 2) what are the teachers' expectations for learners' changes and how are teachers/researcher able to perceive learners' changes? Two research participants have different life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on environment and EE. The perspectives had influence on the selection of the contents and the styles of their teaching. Teachers' expectations for learners' changes were also different according to the styles of the teach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