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ing the OECD ITP(Initial Teacher Preparation) Program and Its Implications for Future Teacher Education and Induction Policy

OECD 교원양성 국제비교 연구(ITP)가 한국의 중등교원양성제도 개혁에 주는 시사점

  • Received : 2018.07.15
  • Accepted : 2018.09.20
  • Published : 2018.09.30

Abstract

The OECD ITP project has looked at the black box of each participating countries' teacher education system. In the 2000s, various countries have tried to reform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systems for teachers, including teacher education and induction, as an initial yet crucial step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Since 2015, OECD member countries have been conducting an international comparison study on teacher education and induction programs(i.e. ITP). The ITP project is an in-depth comparative study among the member countries that have expressed willingness to participate voluntarily. This paper introduces the progress of the ITP project and analyzed the national background report on the teacher education and induction system of the participating countries and compared the features of the systems. In addition, this study explores the common issues surrounding the teacher education and induction system. Moreover, the researcher has tried to derive some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teacher education and induction system in Korea.

OECD ITP 프로젝트는 일종의 블랙박스를 들여다본 연구와 같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다양한 국제학업성취평가 결과 비교를 통해 각국은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교원양성교육 개혁과 신임 교원의 입직연수 지원제도를 포함한 다양한 전문성 개발제도의 개혁을 시도해왔다. 2015년부터 OECD 회원국들 가운데 자발적 참여 의사를 밝힌 국가들을 중심으로 국가 간 심층 비교연구인 교사 양성제도 국제비교 연구(ITP)를 시행해 왔다. 본고에서는 ITP 프로젝트의 진행 과정을 소개하고, 참여국의 교원양성제도에 대한 국가배경보고서를 분석하여 참여국 간 교원양성제도 상의 특징을 비교해 보았다. 또한 과제 참여국의 교원양성 제도를 비교하여 교원 양성제도를 둘러싼 공통적 쟁점들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6개국의 교원양성제도의 공통점과 차이점 여섯 가지를 도출하였다. 또한 이러한 비교 분석한 결과는 우리나라의 교원양성제도를 개혁하는데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해 주었다. 첫째, 국가 수준의 전문성 기준(professional standards)을 개발하여 교원 양성, 연수, 평가, 승진에 이르는 제도의 연속성과 일관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교원양성제도 개혁의 속도와 강도를 조금 더 높일 필요가 있다. 셋째, 좀 더 다양한 이해집단이 교원양성제도 개혁과 운영에 참여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