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Quality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by Teac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and Teaching Intentions

교사의 전문성 인식, 교수 의도 행동에 따른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 Received : 20180431
  • Accepted : 2018.06.21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f teac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teaching intentions, and the quality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differed by teachers' education and career and how those variables were associated with one another. It was conducted in 50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two- to five-year-olds at 22 national/public, private, and employer-supported child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rnett's (1989) Caregiver Interaction Scale (CIS) translated by Choi and Shin (2015) was used to measure the quality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and the Current Status and Self-Desire for Professional Competence scale developed by Wang (2005) and translated and revised by Jeong (2016) was used to measure a teac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The Teaching Intention Scale (TIS) developed by Wilcox-Herzog and Ward (2004) and translated and revised by the researcher was used to measure teaching intentions. The researcher and the research assistant personally visited the centers to observe the teachers for the quality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and a questionnaire for teachers was used to determine a teac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and teaching intentions. For data analysis, t-test and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basis of the ques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quality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differed insignificantly by education or career. Second, teac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differed significantly by teachers' career but differed insignificantly by education: the longer career, the better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Third, teaching intentions differed insignificantly by education or career. Fourth, teachers with better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showed higher quality of teacher-child interaction. Fifth, The higher level of teaching intentions teachers showed the more sensitive interactions they made with children.

본 연구는 교사의 전문성 인식, 교수 의도 행동,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이 교사의 학력과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각 변인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소재한 국공립, 민간, 직장 어린이집 22곳에 재직 중인 만 2세~만 5세 교사 50명이었다.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해 최소영과 신혜영(2015)이 번안한 Arnett(1989)의 교사 상호작용 척도(Caregiver Interaction Scale: CIS)를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교사의 전문성 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Wang(2005)이 개발하고 정아람(2016)이 번안, 수정한 평정척도(Current Status and Self-Desire for Professional Competence)를 사용하였다. 교수 의도 행동은 Wilcox-Herzog와 Ward(2004)의 교수 의도 행동 척도를(Teaching Intention Scale: TIS) 본 연구자가 번안,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은 연구자와 연구 보조자가 직접 기관을 방문하여 교사 관찰을 실시하였고,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교수 의도 행동은 교사용 설문지를 통해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t-검증과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은 교사의 학력과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교사의 경력이 많을수록 전문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교수 의도 행동은 교사의 학력과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전문성 인식 수준이 높은 교사가 긍정적인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더 많이 하였다. 특히 교수 능력, 운영관리 능력의 전문성 인식 수준이 높은 교사가 좀 더 긍정적인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하였다. 다섯째, 교사의 교수 의도 행동 수준이 높을수록 교사-영유아의 민감한 상호작용 수준이 높았다. 결론적으로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은 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관계가 있었고, 교사의 교수 의도 행동은 교사-영유아의 민감한 상호작용과 관계가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미성, 문혁준(2013). 보육교사의 교사 효능감 및 전문성 수준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4), 277-296. https://doi.org/10.14698/jkcce.2013.9.4.277
  2. 김기철, 신애선(2016). 영아교사의 전문성, 민감성, 행복감과 영아-교사 상호작용의 관계 및 영향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6(2), 57-82.
  3. 김명순(2013). 보육교직원 역량강화와 처우개선 방안. 2014 보육현안과 과제 전망 컨퍼런스, pp. 31-44. 12월 12일. 서울: 코엑스 3층 컨퍼런스룸.
  4. 김명순, 권혜진, 김지연(2014). 보육과정 컨설팅 프로그램 개발 연구: 컨설팅 기초 연구 및 운영 매뉴얼. 보건복지부 최종보고서.
  5. 김명순, 신윤승, 채은화(2016).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효능감, 전문성에 대한 인식이 보육과정 수행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7(2), 43-56. https://doi.org/10.5723/kjcs.2016.37.2.43
  6. 김민정, 김지현(2015). 어린이집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6), 97-114.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097
  7. 김시연, 오재연(2014).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교사의 내적변인과 외적변인들 간의 구조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9(5), 23-50.
  8. 김신덕, 김규수(2006). 반성적 임상장학이 유아의 상호작용과 유아교사의 교수실제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1(4), 61-78.
  9. 김안나(2014). 유치원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전문성 및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질과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4(3), 153-175.
  10. 김양은, 김연하(2008). 교수 적극성 예측변인 분석: 교사 특성변인, 유아교육기관 근무환경, 교사 효능감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28(6), 207-227.
  11. 김영실(2009). 유아교사의 구성주의적 교육신념, 과학교수 효능감과 과학 교수 적극성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2. 김윤지(2003). 유아교육환경 평정척도 개정판(ECERS-R)의 국내적용을 위한 예비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3. 김의향, 신혜원(2014). 2급 예비보육교사 양성을 위한 표준교과개요 개정 고찰. 한국보육학회지, 14(3), 229-252.
  14. 김지영, 윤진주(2010). 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에 따른 이야기 나누기와 조형 활동의 수업 전문성평가. 한국영유아보육학, 60, 39-61.
  15. 김지은, 안선희(2009). 영아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4(2), 197-216.
  16. 김현주(2011). 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7. 김현지, 나동진(2006). 보육교사의 교사 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2(2), 111-128.
  18. 김현지, 신은수(2008). 보육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에 대한 연구: 교사의 개인적 변인(연령, 학력 및 전공, 자격유형, 과거 직업유형)을 중심으로. 한국교원연구, 25(3), 239-259.
  19. 김희경(2017). 어린이집 원장과 동일 기관 내 교사가 인식한 조직분위기가 교사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국공립.민간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0. 김희진, 김언경(2015).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유아의 조망수용능력 및 대인문제해결 능력 간의 관계. 교육과학연구, 48(2), 1-19.
  21. 문영경, 최선녀(2015). 교사의 교수효능감이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15(2), 1-20.
  22. 박경자, 황옥경, 문혁준(2013). 우리나라의 보육정책.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5), 513-538. https://doi.org/10.14698/jkcce.2013.9.5.513
  23. 박은혜(2009). 유아교사론. 서울: 창지사
  24. 박찬옥, 강순미(2008). 멘토링에 의한 교사-유아의 언어적 상호작용 변화 탐구. 유아교육학논집, 12(2), 213-231.
  25. 박창현, 나정(2012). 유아교육기관, 교사 및 유아집단 특성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 수준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6), 99-125.
  26. 백경순(2011). 교사-유아 상호작용 관련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어린이 문학교육연구, 12(1), 223-240.
  27. 백은주, 조부경(2004).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발달 수준 자기평가 도구 개발. 유아교육연구, 27(1), 277-300.
  28. 보건복지부(2017a). 2017 어린이집 평가인증 안내: 3차 지표 시범사업용. 서울: 한국보육진흥원.
  29. 보건복지부(2017b). 2017 어린이집 평가인증 안내: 3차 통합지표. 서울: 한국보육진흥원.
  30. 서유현(2002). 유치원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1. 송근영(2017). 보육과정 컨설팅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2. 송혜린(2003). 어린이집 질적 수준 및 교사의 놀이참여와 아동의 놀이행동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33. 신혜원, 김의향(2014).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따른 보육분야 3.4수준 교사양성 방향성 모색. 한국보육학회지, 14(4), 1-38.
  34. 신혜영, 이은해(2005).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효능감이 교사 행동의 질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6(5), 105-121.
  35. 안상미(2002).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6. 안수연(2000).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나타난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유아-유아 상호작용.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7. 유은영(2013). 유아교사의 과학수업 적극성에 영향을 주는 내적 신념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모형분석. 유아교육연구, 33(2), 5-26.
  38. 윤주연, 신혜원(2013). 교사의 전문성 인식, 유아의 성별 및 보육기간과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행동. 한국생활과학학회지, 22(5), 407-417.
  39. 이경(2002). 유치원교사와 보육교사의 전문성과 역할수행 인식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40. 이경화(2016).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이 상호작용적 교수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41. 이근주(2011). 영아반 보육교사의 영아발달지식이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5(4), 75-94.
  42. 이석순, 박은미(2014).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전문성 발달수준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8(4), 437-460.
  43. 이수련(2013).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관계 분석. 어린이미디어연구, 12(1), 221-239.
  44. 이숙자, 공병호, 성영화(2011).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보육교사변인간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1(1), 1-18.
  45. 이순영(2009).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3(1), 301-317.
  46. 이영자, 이정욱(1998). 유아교사가 적용하는 교수행동 유형의 경향 및 환경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16, 1-24.
  47. 이윤경, 김여경(2004). 교사-아동 상호작용 유형과 영.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질과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24(4), 55-73.
  48. 이현주(2015). 보육교사효능감이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전문성 인식의 매개효과. 한국보육학회지, 15(4), 93-112.
  49. 이혜상(2005).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10(1), 153-168.
  50. 이희선(2004). 보육교사의 교직 전문성에 대한 인식. 한국보육학회지, 4(2), 79-90.
  51. 장윤정, 황윤숙(2017). 유아교사의 전문성 인식 수준 및 민감성 수준에 따른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차이: 만 3-5세 담임교사를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17(2), 181-203.
  52. 정미라, 이미나, 강수경(2016). 유아교사의 전문성 지원환경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과 교직전문성 인식의 매개효과. 한국교원교육연구, 33(1), 1-27.
  53. 정아람(2016). 어린이집 조직풍토가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54. 정찬우, 김언주, 민현숙(2008).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의 효과에 관한 연구: 대전지역 9개 인증 보육시설(21인 이상)을 대상으로. 아동교육, 17(1), 269-279.
  55. 조부경, 백은주, 서소영(2001). 유아교사의 발달을 돕는 장학. 파주: 양서원.
  56. 조해연, 이기숙(2014). 어린이집 2세 학급의 물리적 환경, 보육과정, 교사 상호작용의 질이 영아의 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45(3), 115-136.
  57. 최미애(1999). 유치원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58. 최소영, 신혜영(2015). 유아의 놀이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2), 311-329.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2.311
  59. 한은숙, 허혜경(2016).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교수효능감이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연구, 유아교육연구, 36(2), 53-70.
  60. Arnett, J. (1989). Care givers in day-care centers: Does training matter?.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10, 541-552. https://doi.org/10.1016/0193-3973(89)90026-9
  61. Bredekamp, S., & Copple, C. (1997).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hington, DC: NAEYC.
  62. Caruso, J. J, & Fawcett, M. T. (1986). Supervis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 developmental perspective. NY: Teacher College, Columbia University.
  63. Holloway, S. D., & Reichhart-Erickson, M. (1988). The relationship of day care quality to children's free-play behavior and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3(1), 39-53. https://doi.org/10.1016/0885-2006(88)90028-2
  64. Katz, L. G. (1972). Developmental stages of preschool teachers. Elementary School Jouranl, 73, 50-54. https://doi.org/10.1086/460731
  65. Wang, H. (2005). Early childhood educator's perceptions of professional of competence in preschool settings(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ennsylvania.
  66. Whitebrook, M., Howes, C., & Phillips, D. (1990). Who cares: Child care teachers in America. Final eport of national Child Care Staffing Study. Oakland, CA: Child Care Employee Project.
  67. Wilcox-Herzog, A., & Ward, S. L. (2004). Measuring teacher's perceived interactions with children: A tool for assessing beliefs and intentions. Early Childhood Research & Practice, 6(2).

Cited by

  1. The Effects of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Happiness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vol.22, pp.6, 2018, https://doi.org/10.24231/rici.2018.22.6.414
  2.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수준이 문제행동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vol.39, pp.6, 2019, https://doi.org/10.18023/kjece.2019.39.6.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