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rt-up performance

검색결과 469건 처리시간 0.029초

고분자 연료전지시스템의 기동 및 정지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rt-up and Shut-down Characteristics for PEMFC System)

  • 이정운;서원석;김영규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9-32
    • /
    • 2008
  • Testing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performance of a residential fuel cell system when subjected to DSS and WSS operation, especially for start-up and shut-down characteristics. In terms of start-up time, it took about 70min to start output power generation and stably to reach 1kW at cold start. Measurement of the characteristics of heat and power generation were carried out at start-up and shut-down time. Fuel gas is used for heating both reformer and stack from start-up to the beginning of power generation. In terms of start-up and shut-down characteristics, it was important to control the reformer temperature precisely. The average output water temperature during the rated output operation(960W) was $63.2^{\circ}C$ constantly.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are being used to develop a new test protocols for residential fuel cell system.

  • PDF

창업기업의 기업가정신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동적역량 매개효과 중심으로 (The Impacts of Startups Entrepreneurship on Business Performance: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Dynamic Capabilities)

  • 안태욱;강태원
    • 벤처창업연구
    • /
    • 제14권4호
    • /
    • pp.39-49
    • /
    • 2019
  • 정부는 창업기업의 성공적인 성과를 위해 창업인프라 구축과 창업 지원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치고 있다. 그러나 실질적인 창업기업의 성공률을 높지 않다. 창업기업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올바른 기업가정신을 갖추고 기업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특히 기회탐색, 자원획득, 자원재구성 능력은 창업기업의 성장에 있어 매우 필요한 동적 역량들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창업기업의 기업가정신, 동적역량이 경영성과의 미치는 효과와 관계를 검증하는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7년 미만 창업기업 CEO를 대상으로 최종 361개 표본을 수집하여 SPSS18와 AMOS21를 사용하여 연구모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업가정신의 혁신성, 위험감수성, 진취성은 동적역량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가정신의 혁신성과 위험감수성은 경영성과에 유의미한 정(+)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진취성은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셋째, 동적역량은 경영성과에 유의미한 정(+)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동적역량의 매개효과 검증에서 진취성과 경영성과 사이에 매개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즉, 본 연구에서 진취성이 경영성과에 직접적인 긍정의 영향을 미치지 않을 때 실질적인 창업기업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영한다면 경영성과와 성장에 영향을 미친다는 유의미한 연구결과를 밝혔다. 이는 창업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동적역량이 중요한 변수임을 시사하고 있다.

창업 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창업 정보시스템에 필요한 IT서비스 기능 연구 (The Study of IT Service Functions for Start-up Information System Supporting Start-up Competency)

  • 박민우;문현실;김재경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21-136
    • /
    • 2017
  • Recently, many people are interesting for Start-up and government also try to support their business because it can contribute economic growth. However, in Korea, despite there are many education and supporting programs for them, many Start-ups are failed to retain their business because they actually do not know what they do. Although prior studies for Start-up have pointed that education for them is very important for success, education programs for them only focus on theories rather than practices. Moreover, Start-ups need tools for supporting to business plans or information for their business. Therefore, in this study, we propose IT service functions for Start-up information system supporting Start-up competency. For this purpose, we conduct Delphi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with experts on start-up. In experiments, we divided stage of business into three stages; business planning, implementation, growth and diversification. And we draw important tasks from experts in each stage. As a result, we find some tasks to concentrate for Start-up information systems. And we also find tasks which are not important for company founders. Through these results, we expect that the development of functions for supporting those important tasks will help increase the efficiency of Start-up companies and the survival rate of them.

극저온 환경에서의 정 출력 제어를 적용한 마이크로터빈의 새로운 시동 로직 개발 (New Start-Up Logic for Microturbine by Constant Power Control under an Extremely Low Temperature)

  • 노민식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1249-1255
    • /
    • 2006
  • This paper presents a constant power control logic for perfect starting a microtubine in vehicle. Under extremely low temperature, performance of the start-up system is severely dropped than that of room temperature because of increasing of load of mechanical parts including engine core and drop of the lead-acid battery capacity. Unfortunately, performance drop of lead-acid battery makes severe problems that cause a malfunction of fuel and lubrication system and power fail of digital devices. So we propose the new start-up logic by constant output power control of lead-acid battery using PWM inverter controller for preventing above problems and keeping good performance of start-up system for microturbine. Also, we prove usefulness of new start-up logic through experimental results under $-32^{\circ}C$ ambient temperature.

Effe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Founders and Governmental Support on Start-up Performance through Entrepreneurship and Network

  • PARK, Hee-Sang;SEO, Young-Wook;KIM, Gyu-Bae
    • 융합경영연구
    • /
    • 제7권4호
    • /
    • pp.20-32
    • /
    • 2019
  • Purpose -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regarding the preceding factors required for success of start-u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one of the paths by which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founders and governmental support lead to enhanced start-up performance, via entrepreneurship and network building.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Data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surveys of 332 founders throughout South Korea, and statistical analyses of this data were performed using SPSS 22.0 and Smart PLS 2.0. To verify our hypothesis, path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Results -The variables, entrepreneurial self-esteem and experience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entrepreneurship and networks. Secondly, governmental support did not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ship, but it did have positive effect on networking. Thirdly, entrepreneurship and networking were confirme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both the utilization of opportunities and financial performance, which are variables indicating start-up performance. Conclusion - Although founder's characteristics are important for success of start-up, it is also critically important to actively utilize governmental support. Notably, many founders suffer from inadequate networks. They would be able to enhance their start-up performance by utilizing various governmental support programs to reinforce their network capabilities.

정부의 창업지원사업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창업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Government Star-up Support Project on Business Performance: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Start-up Satisfaction)

  • 황균정;경성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6호
    • /
    • pp.85-90
    • /
    • 2021
  • 본 연구는 정부 주관 창업지원사업을 시설지원, 자금지원, 교육지원, 멘토링지원 등 4가지 분야에 초점을 맞춰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창업만족의 매개효과에 대해 규명하였다. 본 연구는 이를 검증하기 위해 광주·전남 지역에서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지원하는 창업지원사업을 수행한 창업자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창업지원사업의 시설, 교육, 자금 및 멘토링 지원은 창업자들의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고, 창업지원사업과 경영성과간의 관계에 있어서 창업만족의 부분매개 역할도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정부 주관 창업지원사업에서 시설, 교육, 자금, 멘토링과 같은 지원프로그램이 창업자들의 경영성과를 향상시킬 수는 있는 적합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청년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성과에 미치는 지원 요인에 관한 연구 (Impact of Youth Start-Up Business Incubating System On the Start-Up Business Performance)

  • 황보윤;김재형;방중혁
    • 벤처창업연구
    • /
    • 제8권1호
    • /
    • pp.149-160
    • /
    • 2013
  • 본 연구는 정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청년 창업지원 사업 및 지원시스템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서울시 청년창업지원시스템(청년창업1000프로젝트)이 청년창업가의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설문조사를 통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청년창업1000프로젝트에 수혜를 받은 20세이상 40세 미만의 청년창업가를 표본으로, 청년창업가 특성(수혜시기, 창업 시 자본금 규모, 입주 전 지적재산권 보유개수) 및 창업지원 서비스 요인에 대한 만족도(창업활동지원금, 홍보 및 판로개척지원, 입주자간 협업지원 등)가 창업성과(창업성공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청년 창업가의 창업시 자본금 규모, 입주전 지적재산권 보유개수, 창업활동 지원금 지원, 홍보 및 판로개척지원, 입주사간 협업 지원들이 창업성과와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업가의 특성 및 지원서비스와 창업성과와의 회귀분석 결과는 청년 창업가의 졸업기수, 사무실 규무, 지적재산권 기존 보유 개수, 창업활동 지원금 지원, 입주사간 협업 지원들이 청년 창업기업의 창업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청년창업가의 창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으로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적 지원 방안의 기초자료가 된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있다.

  • PDF

음식업 창업자들의 경영성과 요인 실증분석 (An empirical analysis of business performance factors of restaurant business start-up)

  • 이성호;박노국
    • 벤처창업연구
    • /
    • 제7권3호
    • /
    • pp.151-159
    • /
    • 2012
  • 연구는 음식업 분야의 창업자들의 창업 요인, 제품/서비스 수준, 그리고 경영 성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조사대상 업소의 선정과 측정은 전국에 분포하고 있는 전 업종을 대상으로 진행되어야하나, 강원도 지역으로 한정한 점과 창업 요인을 네 가지 요인으로 제한 점, 그리고 경영 성과를 다른 재무적 성과 지표를 제외시키고 순이익 증가와 고객 증가만을 측정하였다는 한계를 지닌다. 다음 연구에서는 설문에 의한 실증분석과 병행하여 산업 분야별 특성을 고려한 객관성이 있는 연구를 위해서는 성공적이라고 평가되는 대상군과 성공적이지 못한 대상군을 대상으로 한 심층적인 사례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 PDF

초기 창업기업 창업지원정책의 효과성 분석: 창업업종 및 창업성장단계 조절효과 (Effectiveness Analysis of Startup Support Policy of Early Start-ups: Moderating Effect of the Industry and Growth Stage of the Start-ups)

  • 정경희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1호
    • /
    • pp.59-70
    • /
    • 2020
  • 본 연구는 초기 창업기업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창업지원정책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현재의 창업지원정책에 대한 효과성을 측정하여, 이를 토대로 향후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창업지원정책이 초기 창업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 창업기업의 특성으로 창업업종 및 창업성장단계에 따라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은 초기창업패키지 사업에 선정된 최근 3년간 창업기업 297개의 실제 테이터를 수집하여, 변수 간 영향력은 다중회귀분석, 조절효과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지원정책과 창업성과의 영향 관계 확인 결과, 매출은 창업자금, 창업멘토링, 창업인프라(공간) 모두 유의한 영향을 보였으며, 반면 창업교육은 매출증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고용은 창업멘토링만이 유의한 영향 관계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창업업종과 창업성장단계의 조절효과 확인 결과, 창업업종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상호작용 효과는 창업교육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업종별 매출 관계는 지식서비스는 창업교육이 매출향상에 도움을 주며, 제조는 창업멘토링과 창업인프라(공간) 지원 여부와 관계없이 모두 매출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성장단계별 매출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예비단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으며, 창업단계는 창업멘토링 지원, 성장단계는 창업자금 지원이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고용은 창업성장단계에 따라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초기 창업기업 대상 창업지원정책의 효과성을 분석하여, 창업기업 특성에 따른 차별적 정책지원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향후 정책적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전통시장 청년몰 청년상인의 기업가정신 및 정부지원 프로그램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창업준비성, 상인과의 협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Entrepreneurship and Government Support Program on the Entrepreneurship of Youth Merchants in Traditional Markets : Mediating Effects of Start-up Preparation and Collaboration with Merchants)

  • 김재현;남정민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5호
    • /
    • pp.221-233
    • /
    • 2020
  • 본 연구는 전통시장 청년몰 청년상인의 창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해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도출된 주요 변수들의 관계를 증명하고, 결과를 바탕으로 주요 요인들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통시장 청년몰 창업성과에 미치는 요인을 정부지원 프로그램, 기업가정신으로 구분하고 정부지원 프로그램과 창업성과 및 기업가정신과 창업성과 간의 영향력을 매개하는 변수로 창업준비성과 상인과의 협력을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기업가정신은 창업준비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부지원 프로그램, 기업가정신, 창업준비성은 창업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모형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기업가정신이 창업준비성을 매개하여 창업성과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정부지원 프로그램이 현재의 일관적인 지원이 아닌 청년상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지원해야 함을 시사하며, 청년상인 모집과 선발, 육성단계에서 철저한 검증 및 기업가정신 및 창업준비성이 높은 청년상인을 선발해야 함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