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adaptation

검색결과 683건 처리시간 0.024초

모유수유클리닉 이용군과 비이용군의 모유수유 문제, 지식 및 적응 비교 (Comparison of Lactation Problems, Knowledge, and Adaptation on Breastfeeding between Users and Non-Users of Lactation Clinic)

  • 윤명희;신혜숙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0권2호
    • /
    • pp.112-120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lactation problems, knowledge, and adaptation of breastfeeding between users and non-users of a lactation clinic. Methods: The descriptive study design was utiliz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446 breastfeeding mot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lactation clinics, postpartum care centers, mother's culture centers, public health centers, pediatrics and obstetrics & gynaecology outpatient clinics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Chungcheongnam province from August 20 to September 30, 2011. The questionnaires to measure lactation problems, knowledge and adaptation of breastfeeding were us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 18.0 for Windows. Result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reast feeding problems(t=5.71, p<.001) and breastfeeding knowledge(t=2.87, p=.004) between users and non-users of a lactation clinic.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provide a foundation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 for mothers in breastfeeding, and an evidence to expand the role of nurses as breastfeeding specialists.

정서행동문제를 가진 학령기 아동을 위한 학교적응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School Adaptation Program for School-Age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 조해련;김신정;권명순;오진아;한우재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1권2호
    • /
    • pp.141-150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a school adaptation program (SAP) for school-age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who attended public elementary schools. Methods: SAP, developed by the authors, addresses school adaptation and academic efficacy and consists of 10 sessions based on five categories (i.e., school life, classroom activity, relationship with friends, relationship with teacher, and school environment). Sixteen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 problems answered questionnaires before and after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test on school adaptation (t=-2.78, p=.015) and academic efficacy (t=-4.62, p<.001) after the 10 sessions of SAP.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SAP can could serve as a practical program for school nurses and teachers. Further studies based on SAP in various school settings are recommended.

대학생의 그릿 군집 유형에 따른 성격 5요인, 학업적응 및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 (The Differences of Big-Five Personality Factors, Academic Adapt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Grit Cluster Types in College Students)

  • 김은혜;김민정;김지혜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75-89
    • /
    • 2020
  • Ob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college students' big-five personality factors, academic adapt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cluster types based on the grit.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90 college students. All variables were evaluated by self-report of college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by one-way ANOVA and two-step clustering statistics using SPSS 21.0. Results: First, a cluster analysis on a sample of 190 college students revealed four clusters: the more highly grit group, higher tenacity group, higher consistency of interests, and the less grit group.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190 college students'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academic adapt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cluster types based on the grit. Conclusions: These findings can be used as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further research and educational practices for promoting the grit in college students. Also it suggests the need for health education to increas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설화 <해와 달이 된 오누이>에 대한 북한의 현대적 수용 방식 고찰 (A Study on the North Korean's Modern Adaptation of the Classic Folktale)

  • 박재인;한상효
    • 고전문학과교육
    • /
    • 제32호
    • /
    • pp.193-224
    • /
    • 2016
  • 북한에서는 한민족의 전통 구비설화를 개작하여 아동들을 위한 동화로 활용한다. 한민족의 대표적인 설화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역시 그들의 사관에 따라 변형되었다. 북한 애니메이션 <오누이와 나무군>은 본래의 설화형태에서 오누이가 하늘로부터 구원되고 해와 달이 되는 결말이 다른 모습으로 대체되어 있다. <오누이와 나무군>의 각색은 북한의 문예사관이 반영된 형태이자, 북한의 옛이야기 수용문화를 잘 이해하게 한다. 이에 본고는 분단이전의 설화자료를 통해 이 설화의 원형을 파악하고, 남북의 현대적 매체로 재창작된 작품들을 대상으로 그 서사 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북한의 독특한 관점이 발견되는 애니메이션의 개작 범위와 그로 인해 전환된 의미에 대해 분석하여 서사적 가치에 대해서 논하였다. 이 애니메이션은 오누이가 위압적인 호랑이의 공격을 이겨내고 승리하는 과정을 충실히 담아내어, 여타 남북의 현대적 창작물에 비해 이 설화의 본래 의미를 풍요롭게 구현하고 있다. 다만 본래 설화의 결말 속 하늘의 상징성이 축소되어, 아무도 지켜주지 못할 때 오누이의 내면에서 긍정적 신념이 발동되는 가능성의 정도가 약화되는 한계점을 보인다. 그럼에도 구체적인 성공과정으로 오누이의 역량에 대해 사실적으로 이해하게 하는 특장을 지녔다는 점은 부인할 수 없으며, 오누이 성공의 또 다른 형상으로 본래 설화의 의미를 잘 담아내고 있는 색다른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통일된 미래사회에서 이 애니메이션은 당시 북한의 사회문화를 이해할 수 있게하는 중요한 자료이자,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핵심을 잘 담고 있으면서도 오누이의 성공을 실제 삶과 가까운 범위로 이해하고 능동적 실천력을 공감하게 하는 아동문학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중년여성의 갱년기 극복력에 대한 융복합 연구 (Convergence study of Menopausal Resilience of Middle-aged Women)

  • 김영화;최혜경;오은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5호
    • /
    • pp.373-383
    • /
    • 2018
  •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갱년기 극복력에 영향을 미치는 복합적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대상자는 국내 전북지역의 친목 및 종교 활동에 참여하는 중년 여성 227명이다. 측정도구는 자기 효능감, 가족지지, 사회적지지, 폐경기 적응정도, 극복력에 관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3.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규칙적인 운동(${\beta}=-.15$, p<.01), 자기 효능감(${\beta}=.29$, p=<.001)과 사회적 지지(${\beta}=.29$, p<.001), 갱년기 적응정도(${\beta}=.17$, p<.01)가 영향요인으로 이들 변인들은 극복력에 대해 35.3%(F=18.65,p=<.001)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따라서 갱년기에 있는 중년여성들에게 자기 효능감 강화와 사회적 지지가 포함된 간호중재를 통해 갱년기 위기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극복할 수 있도록 계획 할 수 있기를 제언한다.

세계보건기구 기능제약평가목록 2.0 : 12항목-버전의 한글도구 개발과 신뢰도 검사 (Cultural Adaptation and Reliability Testing of Korean Versio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Disability Assessment Schedule 2.0 : 12-item versions)

  • 이해정;김다정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475-488
    • /
    • 2011
  • Purpose: The aims of the study were to develop and to establish reliability in Korean versions of World Health Organization Disability Assessment Schedule 2.0(KWHODAS 2.0): 12 item-self(12-self) and 12 item-interviewer(12-interviewer) versions. Methods: KWHODAS 2.0: 12-item versions were developed in idiomatic modern Korean with a process involving independent translation, synthesis of the translations, independent back translation, and review by an expert committee to achieve equivalence with the original English. 88 participa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33 of participants filled the 12-self version twice to examine test-retest reliability and 55 of participants were assessed simultaneously by four interviewers using the 12-interviewer version. Intra-rater reliability was evaluated using the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ICC) and inter-rater reliability was evaluated using both the ICC and k statistic. Results: Test-retest reliability for the 12-self version was excellent with $ICC_{(2,1)}$ value ranged from 0.94(CI 0.88-0.98) to 0.96(CI 0.90-0.98). Inter-rater reliability for the 12-interviewer version showed excellent agreement with $ICC_{(2,1)}$ from 0.94(CI 0.91-0.96) to 1(CI 1.0-1.0). K value was observed from 0.95 to 1. Conclusion: KWHODAS 2.0: 12-self and 12-interviewer versions were successfully translated and both scales showed excellent reliability. It is now suitable for use in clinical and research applications.

단주과정에 있는 여성의 자기실현에 관한 생애사 연구 (Life History Study on the Self-realization of Woman in the Abstinence Process)

  • 강선경;이중교;차명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505-518
    • /
    • 2020
  • 본 연구는 단주과정에 있는 여성의 자기실현에 관한 생애사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여성 알코올 중독에 관한 정황들을 탐색하여 치료 및 회복을 위한 논의의 지평을 확장시키고 사회복지적인 개입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7년 이상 단주 중인 여성 알코올 중독 회복자가 참여했으며, 생애사 분석을 위한 텍스트는 Mandelbaum이 제안한 생애사 분석틀에 의거하여 '삶의 영역', '전환점', '적응'으로 나눴다. 자료분석 결과 <삶의 영역>은 '개인적인 삶의 차원', '자족차원의 삶의 차원', '사회적인 삶의 차원'의 총 3개의 영역으로 분석되었다. <전환점>은 '술을 마시고 폭력을 행사하는 아버지로부터 탈출', '상사의 폭행을 피해 직장을 포기함', 'AA(단주 자조모임) 참여로 서서히 치유의 길을 걸어감'으로 드러났다. <적응>은 '공부를 잘하는 적응전략', '술을 마심으로써 분노를 삭이는 적응전략', 'AA로의 의탁과 자기실현을 생각하는 적응전략' 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기실현에 입각한 사회복지 실천 및 정책 차원의 논의를 제시하였다.

류마티스성 관절염 환자의 적응에 미치는 근이완술에 효과 (The Effects of Muscle Relaxation to The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Adaptation)

  • 정향미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1-47
    • /
    • 1994
  •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examine the effects of muscle relaxation to the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phys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adaptation, and to verify that the technique Is an effective tool for improving the patients' adaptation. This research utilized a qusi-experimental design that compares the pre-experiment measures and the post-experiment measur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7 out-patients who were diagnosed for rheumatoid arthritis in P university hospital and K clinic between September 12, 1993 and November 30, 1993.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patients treated on Monday, Wednesday and Friday.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patients treated on Tuesday, Thursday and Saturday The pre-experimental survey utilized the following tools. The physiological adaptation was measured by a graphic rating scale for pai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was measured by Zung's depression scale and Rosenberg's self-esteem scale : and the social adaptation was measured by Derogatis' psychosocial adjustment scale.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muscle relaxation treatment for 15 minutes per day for the period of 2 weeks, the control group received no treatment and had quiet time. The post-experiment measurement was carried out similar to the pre-experiment survey, SPSS $PC^+$ i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reliabilities of the measurement tools were examined by Cronbach's ${\alpha}$ coefficients. The homogeneiti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tested by t-test and chi-square test, hypotheses were tested by t-test. This research found tha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groups were statistically homogenious. The phys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adaptation between the groups in the pre-experimental survey were also statistically homogeniou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Concerning the Physiological adapta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lower pain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Thus, muscle relaxation was effective to relieve the pain of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t=-2.95, p=.006). 2. Concerning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lower depression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Thus, muscle relaxation was effective to reduce the patient's depression(t=-4.00, p=.001). 3. Concerning social adapta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higher score for the health maintenance and disease control than the control groups. Thus, muscle relaxation was effective for the health maintenance and disease control (t=2.09, p=.004).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 muscle relaxation is a nursing intervention that can promote the phys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adaptation of the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in terms of short-term and cognitive changes. However, more fundomental changes in behavior and long-term physiology could not be found through such a short-term relaxation treatment.

  • PDF

결손가족 중학생과 일반가정 중학생의 긍정심리자본과 학교생활적응의 비교 (The Relation of Resilienc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chool Adapt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of Broken Family)

  • 김수진;김명식;여숙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9호
    • /
    • pp.525-535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결손가정 중학생과 일반가정 중학생의 긍정심리자본과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를 검증해보고, 일반가정과 결손가정 중학생의 긍정심리자본이 학교생활에 주는 영향을 비교 및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결손가정 중학생이 일반가정 중학생에 비해 자기효능감, 희망, 탄력성과 낙관성 등의 긍정심리자본이 낮게 나타났다 둘째, 결손가족 중학생이 일반가정 중학생에 비해 학교생활적응 수준도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셋째, 일반가정과 결손가정 중학생 모두 긍정심리자본과 학교생활적응 수준 간에 높은 정적 상관이 있었다. 넷째, 일반가정 중학생의 경우 긍정심리자본 중 자기효능감, 희망, 낙관성이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으나, 결손가족 중학생의 경우 긍정심리자본 중 희망만이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결손가정 중학생의 학교생활 적응과 자기효능감, 희망, 탄력성과 낙관성 등의 긍정심리자본이 모두 긍정적 상관에 있지만, 여러 긍정심리자본 중 희망만이 학교생활 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주며, 이 양상은 일반가정 중학생과 매우 다르다고 할 수 있다. 향후 결손가정 중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을 위한 상담에서는 여러 가지 상담적 개입이 중요하지만, 특히 삶에 대한 희망을 증진시키도록 노력하고 개발해야 한다는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이 규명되었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 모형 (Construction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college adaptation in nursing students)

  • 김영선;서지영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6권6호
    • /
    • pp.1439-1452
    • /
    • 2015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확인하고 구체적인 경로와 그 영향력을 규명하여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모형을 개발하고자 시도되었다. 구조모형에 사용된 변수로는 모애착, 자아개념, 스트레스, 임상실습스트레스, 심리적 안녕감, 대처와 대학생활 적응이었다. 연구결과 수정모형의 적합도는 ${\chi}^2=231.1$ (p <.001), ${\chi}^2/df=2.36$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GFI=.91, AGFI=.86, NFI=.91, PNFI=.73 RMSEA=.07, CFI=.95로 권장수준을 만족하였다. 변수들 중 애착, 자아개념,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심리적 안녕감은 직접으로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주었다. 자아개념은 대처방식과 심리적 안녕감을, 스트레스는 심리적 안녕감을 경유하여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주었다. 또한 이들 변수는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71% 설명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스트레스감소와 함께, 심리적 안녕감과 대처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자기관리능력 및 자아성장을 추구할 수 있는 학생관리 프로그램 개발 등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