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North Korean's Modern Adaptation of the Classic Folktale

설화 <해와 달이 된 오누이>에 대한 북한의 현대적 수용 방식 고찰

  • 박재인 (건국대 통일인문학연구단) ;
  • 한상효 (건국대 통일인문학연구단)
  • Received : 2016.05.19
  • Accepted : 2016.06.22
  • Published : 2016.06.30

Abstract

The North Korean animation is a puppet movie that is adapted The Brother and Sister Who Became the Sun and the Moon, a traditional Korean lore. The quality of this animation is acknowledged because of not only North Korea's considerably advanced animation technology but also the animation's retention of the folklore's traditional essence rather than intention to disseminate ideological propaganda. Nevertheless, the animation reveals the trasformation of its original purpose from general educative intentions for children to the educative concept of salvation by heaven is replaced by salvation by people and cultural education insteadof salvation by heaven. The appearance of the hero Jangsoe is the key adaptation of this animation, and it suggests the main principal of salvation lies in man rather than in heaven. Such adaptation complies with the requirements of children's literature suggested by the North Korea's literary history office. Furthemore the hero Jangsoe as the examplary figure of revolutionary self-reliance ideology and as a leader. Theory of self-reliance literature stipulates that children's literature is used for ideological education that develops people to be successors of revolutionary feats and become active workers for the construction of socialism and communism, therefore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purpose of the adaptation to reflect the educational aim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nge in meaning form the original folktale through such adaptation, and highlights problems related to limiting the meaning implied in "heaven's salvation" in the original story only to the vague meaning of religious hope. This vague implied meaning is considered as "an awareness activity to examine their own existence in the universe". With regard to this, the concept of heaven's salvation that is prevalent in the classic stories can be interpreted as a positive self-belief that enables the use of rationality in any helpless situation that cannot be understood with existing empirical knowledge. It considers that heaven expresses the power that exists in the human mind through self-viability and self-belief. This creates the power of reason in the character to fight against the evil disguised as the mother, in the absence of the real mother.

북한에서는 한민족의 전통 구비설화를 개작하여 아동들을 위한 동화로 활용한다. 한민족의 대표적인 설화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역시 그들의 사관에 따라 변형되었다. 북한 애니메이션 <오누이와 나무군>은 본래의 설화형태에서 오누이가 하늘로부터 구원되고 해와 달이 되는 결말이 다른 모습으로 대체되어 있다. <오누이와 나무군>의 각색은 북한의 문예사관이 반영된 형태이자, 북한의 옛이야기 수용문화를 잘 이해하게 한다. 이에 본고는 분단이전의 설화자료를 통해 이 설화의 원형을 파악하고, 남북의 현대적 매체로 재창작된 작품들을 대상으로 그 서사 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북한의 독특한 관점이 발견되는 애니메이션의 개작 범위와 그로 인해 전환된 의미에 대해 분석하여 서사적 가치에 대해서 논하였다. 이 애니메이션은 오누이가 위압적인 호랑이의 공격을 이겨내고 승리하는 과정을 충실히 담아내어, 여타 남북의 현대적 창작물에 비해 이 설화의 본래 의미를 풍요롭게 구현하고 있다. 다만 본래 설화의 결말 속 하늘의 상징성이 축소되어, 아무도 지켜주지 못할 때 오누이의 내면에서 긍정적 신념이 발동되는 가능성의 정도가 약화되는 한계점을 보인다. 그럼에도 구체적인 성공과정으로 오누이의 역량에 대해 사실적으로 이해하게 하는 특장을 지녔다는 점은 부인할 수 없으며, 오누이 성공의 또 다른 형상으로 본래 설화의 의미를 잘 담아내고 있는 색다른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통일된 미래사회에서 이 애니메이션은 당시 북한의 사회문화를 이해할 수 있게하는 중요한 자료이자,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핵심을 잘 담고 있으면서도 오누이의 성공을 실제 삶과 가까운 범위로 이해하고 능동적 실천력을 공감하게 하는 아동문학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