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검색결과 524건 처리시간 0.023초

사회-정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과학영재에 대한 고찰 (Review on Science and Invention-gifted Students Having Social and Emotional Problem)

  • 류은주;김정은;백성혜
    • 영재교육연구
    • /
    • 제21권3호
    • /
    • pp.659-682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과학 발명 영재학생들의 사회-정서적 어려움의 정도를 알아보고 이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 해보는 것이다. 연구 결과 영재학생들은 낮은 자아 존중감으로 또래 관계 맺기, 의사소통과 협동에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며 자신의 스트레스 처리능력, 다중처리능력에 대한 자신감이 부족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영재교육원, 가족, 학교로부터의 과도한 기대로 인해 자신의 영재성에 대한 의심, 자아 정체성의 혼란, 진로에 대한 고민을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현재 영재교육의 학업적 성취와 인지활동 위주의 교육에서 벗어나 영재들이 사회-정서적 어려움을 해결하고 영재성을 키울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영재교육에 학생들이 사회-정서적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지속적이고 개별화된 영재상담 프로그램의 운영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성취 영재를 위한 초등 과학 개별화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Elementary Science Differentiated Instruction-Learning Program for the Gifted Underachievers)

  • 정성희;천옥명;강성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4권4호
    • /
    • pp.394-405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a differentiated instruction-learning reflecting various characteristics and demands of the gifted underachievers, and thereby help to develop the study attitude and study achievement of the gifted underachievers. To achieve the purpose, a case study on five gifted underachievers who are in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was conducted. By collecting and analyzing a variety of data including standardized tests, interviews with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and observation journals, this researcher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demands of the gifted underachievers. For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differentiated strategies were designed according to students' interest and concern, their multiple-intelligence, and their learning styles. As a result of the application of them, a program with a total of 20 sections was finally developed. The result of the application for the differentiated instruction-learning program revealed improvements in their academic achievement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ir learning motives were improved. The program was also found to affect their self-concept and their attitude toward learning. The study showed that developing an education program for the gifted underachievers should begin from the analysis of each student's characteristics. Also, it was found that a differentiation strategy could become an alternative to apply various characteristics and demands of the gifted underachievers to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The gifted underachievers' intellectual and definitive characteristics were changed even by the short-term mediation. Therefore, the new issue about educating the gifted is to provide a differentiated instruction-learning program fitting their characteristics and demands and help them exert their potential as best as they could.

PEOE 수업모형을 적용한 수업이 학습자의 장·단기 파지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EOE-Based Class on Learners' Long- and Short-Term Retention and Affective Area)

  • 최성봉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4호
    • /
    • pp.878-890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PEOE class model that can enhance students' scientific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the middle school science subject and analyze the effects of it on students' long- and short-term retention, scientific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characteristics. And the paper has g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through the pre-test, post-test, and delay test to examine the effects of PEOE-based class on learners' long- and short-term retention, it i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significant level of .05. In other words, the class using PEOE influences learners' short-term retention significantly, but it is even more effective in transmitting the concept that students acquire into their long-term memory.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through the pre-test and post-test to examine the effects of PEOE-based class on learners' scientific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it i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significant level of .05 in general. However, 'elaboration' and 'originality', the subfactors of scientific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do not indicate significant effects.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through the pre-test and post-test to examine the effects of PEOE-based class on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characteristics, it i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significant level of .05 as a whole. However, 'openness' and 'future-oriented self-understanding', the subfactors of self-directed learning characteristics, do not exert significant effects. Based on the above study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PEOE-based class is more effective for learners' academic achievement in science, scientific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characteristics than lecture-method instruction regarding the middle school science unit of 'The Properties of Air and Weather Change'.

온라인 학습판단 시스템을 활용한 e-러닝 동영상 수업의 효과연구 : 초등학교 사회과 수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e-learning video class using the online learning judgement system : Focused on the social studies classes in Elementary school)

  • 김지현;정재범;조재춘;임희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41-148
    • /
    • 2019
  • 초등 e-러닝 동영상 수업에서 교육적 효과성을 비교 분석 하고자 한다. 교육용 동영상의 활용빈도가 높은 초등학교 현장에서 동영상 자료에 대한 학습판단은 중요하지만 판단을 하기에는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현장의 문제점을 해결해 보고자, 초등학교 5학년 사회과 수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에는 온라인 학습판단 시스템을 이용하여 동영상 학습을 하였고 비교 집단에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동영상 학습을 진행 하였다. 실험 결과, 온라인 학습판단시스템을 활용한 수업은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를 신장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또한 학습자의 학습 만족도에도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교수자의 수업 만족도는 교수자들의 수가 적어 유의미한 통계 분석 결과가 도출되지 않았으나 평균값은 실험집단의 교수자의 수업 만족도가 높으며, 편차는 실험집단의 교수자 결과가 작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초등 과학 수업에서 디지털 교과서 활용 수업모형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s of Instruction Model for Using Digital Textbook in Elementary Science Classes)

  • 송진여;손준호;정지현;김종희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62-277
    • /
    • 2017
  • 디지털 교과서는 다양한 상호작용을 통하여 학습자의 특성과 수준에 적합한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교수학습 자료이다. 이 연구에서는 초등 과학 수업에서 디지털 교과서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업모형을 개발하고 그 효율을 확인하고자 한다. 초등 과학 수업에서 학습자들의 완결학습을 도와주기 위한 수업모형은 출발점 행동 진단과 피드백, 자기주도적 학습 환경 구축 그리고 학습자의 학습을 돕는 교사, 학생, 디지털 교과서와의 상호작용이 필요하다. 이러한 특징을 반영한 디지털 교과서 활용 수업모형은 준비단계, 실행단계, 다지기단계로 구성하였다. 준비단계에서 학습자는 디지털 교과서를 이용한 진단평가 결과에 따라서 제공되는 수준별 피드백 자료를 통해 출발점 행동을 보완하고 학습 활동에 대한 흥미를 유지한다. 실행단계에서 학습자는 디지털 교과서의 다양한 기능과 여러 형태의 자료를 활용하여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을 진행한다. 다지기단계에서 학습자는 교사가 구성한 다지기 영상 및 다지기 문제 풀이 활동 그리고 학습자가 커뮤니티에 누적해 놓은 결과물을 재확인함으로써 학습내용을 내면화할 수 있다. 개발한 수업모형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초등 과학 5학년 2학기 '날씨와 우리 생활' 단원을 선정하여 수업자료를 제작하여 초등학교 5학년 101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설계하였다. 실험집단 50명에게는 개별적으로 스마트기기를 제공하여 디지털 교과서 활용 수업모형을 적용한 수업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 51명은 서책형 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교과서 활용 수업모형을 적용한 수업은 서책형 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에 비해 학업 능력이 낮은 집단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디지털 교과서 활용 수업모형을 적용한 수업은 서책형 교과서를 활용한 수업보다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 향상에 효율적이었다. 셋째, 디지털 교과서 활용 수업모형을 적용한 수업에서는 서책형 교과서를 활용한 수업보다 학습자, 교사, 디지털 교과서와의 상호작용 횟수가 많았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 과학 수업에서의 디지털 교과서 활용 수업모형은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와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었다.

통합 치위생 실습모형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nclusive Dental Hygiene Practice Model)

  • 박인숙;우승희;최미혜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55-160
    • /
    • 2010
  • 국민의 구강건강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치과위생사의 역량강화를 위하여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통한 학습자의 문제 해결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한 본 연구는 2009학년도 2학년 41명을 대상으로 2009년 8월 31일부터 2009년 12월 7일까지 15주 동안 기존 실습 교과목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이를 개선하기 위한 통합치위생실습모형을 개발하여 적용시켜 치위생실습을 진행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통합 치위생 실습 모형 적용 전 후를 비교분석한 결과 학습동기, 자기주도적 학습력, 만족 도 전반적인 과정 모두 적용 전보다 적용 후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학습동기에서는 학습동기의 관련성, 만족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001), 자기주도적 학습력에서는 학습자로서의 자기 확신, 학습에 대한 호기심, 학습에 대한 책임수용에서 유의 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 만족감에서는 학습 전보다 학습 후가 만족감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p<0.001). 2. 학업수준에 따른 학습동기의 변화와 자기주도학습력의 변화, 수업만족도의 변화를 알아본 결 과, 통합치위생실습 모형이 하위집단 학생들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 타났다. 3. 통합치위생실습을 통해 기존 단편적인 실습 교육에서 벗어나 실제 환자를 대상으로 예방구 강관리를 시행하는 실물 위주의 교육과 실천학습을 통해 학습자는 자신감을 회복을 비롯한 학업성취도를 높이는 등 긍정적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습자의 개인구강관리능력 향상을 위한 학습효과 개선을 위해서는 통합 치위생 실습모형을 실기 교과목에만 한정할 것이 아니라 이론 교과에도 적용하여 이론과 실기 교과목이 연계되어 포괄적인 구강관리 능력을 함양시켜야 하고, 국가고시 합격률 결과만을 위해 주입식 교육만을 행할 수밖에 없는 여건만을 고집할 것이 아니라 학습자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새로운 교수 학습법을 개발하고 적용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초등학교 빛과 그림자 단원에 적용한 인지 가속 수업 전략의 효과 (The Effects of Cognitive Acceleration Instructional Strategies Applied to Unit of 'The Light and Shadow' in Elementary School)

  • 정순화;김선자;박종욱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8권3호
    • /
    • pp.321-330
    • /
    • 2009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eaching-learning lesson plan using cognitive acceleration instructional strategies applied to the unit, 'The Light and Shadow' in elementary school. Two classes of the second grade elementary students (N=63) in Chungcheongbukdo districts were assigned to control and treatment groups each, and were taught about 'The Light and Shadow' for 8 class hours. For the treatment group, teaching-learning lesson plan using cognitive acceleration instructional strategies developed by this research was applied. The traditional instruction by textbook and teacher's guides was used for the control group. All students were tested with the test for concept of the shadow and the test for academic achievement about the unit. As the result of the post-test, the scores of the treatment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However, it was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The scores of the treatment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in the delayed-post-test for concept of the shadow. No significant interaction was observed with respect to the students' gender, instruction and pre-level for the concept of the shadow. Data analysis indicated that the scores of the treatment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in the post-test and delayed- post-test for the concept of the shadow in the area of object permanence. Our research work shows the effectiveness of the teaching-learning lesson using cognitive acceleration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for concept of the shadow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suggests the necessity for this kind of teaching-learning program in the fields.

  • PDF

독서치유 전문사서 육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및 양성방안 연구 (A Study on the Curriculum Design and Training Method for Fostering Librarians Specialized in Reading Healing)

  • 차성종;황금숙;김수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77-109
    • /
    • 2018
  • 본 연구는 전문사서의 한 분야로 '(가칭)독서치유 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과 양성체계를 개발하여 사서의 역량을 강화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추진되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사례조사, 1, 2차에 걸친 델파이조사 등의 연구방법을 통해 독서치유 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및 운영체계를 설계하여 제시하였다. 최종적으로 개발된 교육과정은 독서치유 전문사서의 직무 정의를 기반으로 1급, 2급 독서치유 전문사서와 보수교육 교육과정으로 각각 구성하였다. 양성체계는 크게 과정이수형의 1급, 2급 자격증 과정을 기본으로 하여, 등급별로 해당하는 학력 경력 요건과 교육과정 이수 요건의 두 가지 요건을 모두 갖추어야 하는 체계로 설계되었다.

단백질 합성 과정 종이 모형 개발과 고등학교 생물 수업에서의 활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Paper Model of Protein Synthesis Process in High School Biology)

  • 변선영;심규철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4권2호
    • /
    • pp.268-27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단백질 합성 과정을 효과적으로 학습하기 위한 단백질 합성 과정 종이 모형을 개발하여 고등학교 생물 수업에서 그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대전에 위치한 고등학교 2학년 117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실험 집단(59명)은 본 연구에서 개발한 단백질 합성 과정 종이 모형을 활용한 수업을 적용하였으며 통제 집단(58명)은 전통적 설명식 수업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단백질 합성 과정 종이 모형을 적용 수업의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향상 효과가 있었으며 학습 흥미 또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단백질 합성 과정과 같이 추상적이거나 비가시적이어서 이해하기 어려운 학습 내용의 경우 종이 모형과 같은 구체적 경험을 활용한 수업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학습 내용에 적절하면서도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새로운 모형 개발과 더불어 학교 현장에서 이를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 PDF

거꾸로 교실(Flipped Classroom)의 교육적 활용가능성 탐색을 위한 교사 인식 조사 (Investigation of Teachers' Awareness of Flipped Classroom to Explore its Educational Feasibility)

  • 박태정;차현진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81-97
    • /
    • 2015
  • 최근 학계와 교육현장의 관심과 주목을 받고 있는 거꾸로 교실은 학업성취도, 학습태도, 협력학습, 자기 주도 학습 능력 등에 긍정적 효과를 가지고 있다는 많은 교육적 장점에도 불구하고 상당수의 실행상의 문제점과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는 거꾸로 교실에 대한 교사 및 예비교사의 인식 조사를 통해 거꾸로 교실의 교육적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그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및 사례 등을 기반으로 거꾸로 교실의 교수 학습모형 및 가이드라인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다음, 실제 현장 적용 시 충족되어야 할 교육적 선행 조건을 탐색하여 이를 바탕으로 예비교사 156명과 현직교사 42명을 대상으로 교육적 적용 방향 및 인식에 대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전체 80% 이상의 참여 교사들이 거꾸로 교실을 활용할 의사를 보여주었고 사전학습활동 자료 및 가이드라인이 제공되기를 희망하였다. 교사들은 거꾸로 교실을 적용하기에 최적의 학습대상은 중학생과 대학생으로 여겼으며, 최적의 과목은 사회, 과학, 국어, 영어 순으로 나타났으며, 사전학습활동 자료 형태로 동영상을 손꼽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