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and Effects of Instruction Model for Using Digital Textbook in Elementary Science Classes

초등 과학 수업에서 디지털 교과서 활용 수업모형 개발 및 효과

  • Received : 2017.11.13
  • Accepted : 2017.12.05
  • Published : 2017.12.30

Abstract

Digital textbooks enable learning that is appropriate to the characteristics and level of learners through various interac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struction model that can more effectively use digital textbooks in elementary science classes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instruction model for helping learners complete their learning by using digital textbooks needs to receive diagnostic assessment and feedback on entry behavior, to build a self-directed learning environment, and to interact with teachers, students, and digital textbooks as scaffolding.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 instruction model using digital textbooks reflecting these characteristic. The instructional model consists of preparation, practice and solidity step. In the preparation step, the learner performs a diagnostic evaluation using digital textbooks. Based on the results, feedback provided at each level can complement the entry behavior and maintain interest in learning activities. In the practice step, self-directed learning is implemented using diverse functions of digital textbooks and various types of data. In the solidity step, learners can internalize the learning contents by reviewing video clips which are provided by teachers, performing problem-solving activities, and accessing outcomes accumulated by learners in the community online.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model, we selected the "Weather and our Life" unit.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101 students in the 5th grade in B Elementary School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50 students learned using a smart device that embodies digital textbooks applied with the instruction model. In the comparative group, 51 students were taught using the paper textbook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learning achieve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low academic ability compared with the comparative group with low academic ability.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in the experimental group. Thir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number of interactions with the learner, teacher, and digital textbook was higher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conclusion, the digital textbooks based on the instruction model in elementary science classes developed in this study helped to improve learners' learning achievement and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s.

디지털 교과서는 다양한 상호작용을 통하여 학습자의 특성과 수준에 적합한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교수학습 자료이다. 이 연구에서는 초등 과학 수업에서 디지털 교과서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업모형을 개발하고 그 효율을 확인하고자 한다. 초등 과학 수업에서 학습자들의 완결학습을 도와주기 위한 수업모형은 출발점 행동 진단과 피드백, 자기주도적 학습 환경 구축 그리고 학습자의 학습을 돕는 교사, 학생, 디지털 교과서와의 상호작용이 필요하다. 이러한 특징을 반영한 디지털 교과서 활용 수업모형은 준비단계, 실행단계, 다지기단계로 구성하였다. 준비단계에서 학습자는 디지털 교과서를 이용한 진단평가 결과에 따라서 제공되는 수준별 피드백 자료를 통해 출발점 행동을 보완하고 학습 활동에 대한 흥미를 유지한다. 실행단계에서 학습자는 디지털 교과서의 다양한 기능과 여러 형태의 자료를 활용하여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을 진행한다. 다지기단계에서 학습자는 교사가 구성한 다지기 영상 및 다지기 문제 풀이 활동 그리고 학습자가 커뮤니티에 누적해 놓은 결과물을 재확인함으로써 학습내용을 내면화할 수 있다. 개발한 수업모형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초등 과학 5학년 2학기 '날씨와 우리 생활' 단원을 선정하여 수업자료를 제작하여 초등학교 5학년 101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설계하였다. 실험집단 50명에게는 개별적으로 스마트기기를 제공하여 디지털 교과서 활용 수업모형을 적용한 수업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 51명은 서책형 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교과서 활용 수업모형을 적용한 수업은 서책형 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에 비해 학업 능력이 낮은 집단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디지털 교과서 활용 수업모형을 적용한 수업은 서책형 교과서를 활용한 수업보다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 향상에 효율적이었다. 셋째, 디지털 교과서 활용 수업모형을 적용한 수업에서는 서책형 교과서를 활용한 수업보다 학습자, 교사, 디지털 교과서와의 상호작용 횟수가 많았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 과학 수업에서의 디지털 교과서 활용 수업모형은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와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성주, 김현진, 최숙기, 김정렬, 방정숙, 김국현, 조성화(2014). 스마트교육으로 미래교육을 연다(초등교육). 서울: 북스힐.
  2. 고득환, 김민진, 김처강, 박홍제, 설정철, 이재환(2010). 대한민국 디지털 교과서 : 중학교 과학.사회.영어편. 서울: 도서출판 기역.
  3. 구자옥, 안희수(2005). 지구자원으로서의 물 ; 인터넷 실시간 자료를 이용한 고등학교 지구과학 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 홈페이지 구축. 한국지구과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199-206.
  4. 교육부(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
  5. 김미용, 배영권(2013). 스마트교육 수업 설계 모형 개발. 한국콘텐츠학회, 13(1), 467-481. https://doi.org/10.5392/JKCA.2013.13.01.467
  6. 김성숙, 김효남(2015). 디지털 교과서 적용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업성취도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21(1), 1-10.
  7. 김옥령(2010).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수학성취도와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김용진(2016). 학생능동수업 가이드북. 한국과학창의재단.
  9. 김재춘, 박소영, 손병길, 이정기, 정제영, 조성준, 현영호, 선종근(2013). 참고서가 필요 없는 '교과서 완결 학습' 체제 구축 연구의 방향. 교과서연구, 71, 7-15.
  10. 김종윤(2007). e-Learning 활용 문제중심 학습이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와 문제 해결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김진민, 이형철(2010). 인터넷 자원기반 문제중심학습이 초등학생의 과학과 학업성취도 및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5(1), 75-87.
  12. 김찬종, 구자옥, 김경진, 김상달, 김종희, 김희수, 명전옥, 박영신, 박정웅, 신동희, 신명경, 오필석, 이기영, 이양락, 이은아, 이효녕, 정진우, 정철, 최승언(2008). 지구과학 교재 연구 및 지도. 파주: 자유아카데미.
  13. 백영균(2002). ICT 활용 교육론. 서울: 문음사.
  14. 성태제(2014). 교육평가의 기초. 서울: 학지사.
  15. 손준호(2014). 지구과학 수업에서 진단 및 형성평가활용을 위한 스마트 맞춤 평가(SPA) 시스템의 개발 및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9(1), 1-14. https://doi.org/10.15523/JKSESE.2016.9.1.1
  16. 송윤희, 강명희(2011). 초등사회과 서책형 교과서와 디지털 교과서 활용 수업의 효과 비교. 한국교육공학회, 27(1), 177-211.
  17. 송인섭(2006). 현장 적용을 위한 자기주도학습. 서울: 학지사.
  18. 이두화(2004).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지구과학영역의 선택 기피 현상의 원인에 대한 고찰.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 이미자(2012). 교사와 학생이 지각하는 디지털 교과서의 교수학습 적합성 평가 및 개선방안. 한국교원교육연구지, 29(1), 441-467.
  20. 이은경, 강성주(2008). 학생-학생 언어적 상호작용분석을 통한 문제 해결형 탐구 모듈에서의 SWH 활용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2), 130-138.
  21. 이용섭, 홍순원(2010).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과학수업이 과학 탐구능력, 학업성취도 및 교수학습 인식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3(2), 109-117.
  22. 이종환(2014). SPSS를 이용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의 이해와 적용. 고양: 공동체.
  23. 임희준, 오필석(2014).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초등과학 수업에 대한 비평적 접근. 과학교육연구지, 38(2), 270-285.
  24. 전병문, 김기수(2011). 중학교 기술.가정과 '기술의 발달과 미래 사회' 단원에서 디지털 교과서 활용 수업이 학업성취도와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1(2), 181-198.
  25. 정미경(2002). 문제중심수업이 초등학생의 인지양식에 따라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6. 정영식, 서진화(2015). 스마트 교실을 활용한 '뒤집힌 교수학습모형' 개발. 한국정보교육학회 논문집, 19(2), 175-186.
  27.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13). 디지털 교과서 교수-학습모형 분석 이슈리포트. 연구자료 RM 2014-11.
  28. Bergmann, J. & Sams, A.(2015). 거꾸로 교실(정찬필, 임성희 역). 서울: 에듀니티.
  29. Dick, W. Carey, L. & Carey, J. O.(2009). 체제적 교수 설계(최수영 역),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30. Lau, J.(2008). Students' experience of using electronic textbooks in different levels of education. Design of Electronic Text, 1(1).
  31. Wu, C.-F., Chen, P.-.C. & Tzeng, S.-F.(2014). A study of the effects of electronic textbook-aided remedial teaching on students' learning outcomes at the optics unit.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Information Technology, 6(4), 205-212. https://doi.org/10.5121/ijcsit.2014.6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