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eflective practice

검색결과 124건 처리시간 0.024초

예비과학교사의 수업 실행에서 반성적 사고를 촉진하는 프로그램이 반성 분야와 반성 수준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Reflective Thinking Facilitation Program on Reflection Areas and Levels i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eaching Practice)

  • 김현정;홍훈기;홍지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1087-110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예비과학교사들이 교육실습기간 중 수업 실행에서 보이는 반성의 분야와 수준에 대해 알아보았다. 모두 7명의 예비과학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 중 4명의 예비과학교사는 반성적 사고를 촉진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추가로 제공받았다. 예비과학교사들의 반성은 주로 수업 운영에 관련된 분야인 주의 집중 및 동기 유발 방식, 교수 활동에 대한 반성과 개선, 상호작용 등에서 나타났으며, 과학과 교육과정의 이해 및 재구성과 차시 예고에 대한 반성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반성적 사고를 촉진하는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예비과학교사들은 일반적인 교육실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예비과학교사들에 비해 반성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예비과학교사들이 반성을 보인 글들은 대부분 기술적 반성에 해당했으며, 반성적 사고를 촉진하는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예비과학교사들은 기술적 반성 뿐 아니라 높은 수준의 반성인 대화적 반성도 많이 나타났다. 그러므로 사전 교육프로그램과 반성저널쓰기, 교사들의 수업평가 및 피드백은 예비과학교사들의 반성의 빈도와 수준을 높이는 것으로 보인다.

초임 과학 교사에 대한 멘토링 효과 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Exploration Factors Affecting Maintenance of the Effect of Mentoring for Beginning Science Teachers)

  • 박지훈;남정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64권6호
    • /
    • pp.401-415
    • /
    • 2020
  • 이 연구에서는 초임 중등 과학 교사의 멘토링 효과의 지속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 참여한 초임 과학 교사인 멘티 교사는 2014년부터 2018년까지 협력적 멘토링에 참여하였던 멘티 교사 10명이고, 멘토링 진행 당시 제출하였던 1차시 및 5차시 수업 동영상, 멘티 및 멘토 저널, 2019년도에 촬영한 수업 동영상, 멘토링 프로그램 반성 설문지, 인터뷰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로부터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멘토링에서 경험한 멘티 교사의 반성적 사고의 경험은 멘토링 이후에도 지속되었으며, 이는 멘토링 효과의 지속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멘토링 당시 RTOP 점수의 상승이 있었던 그룹의 경우 반성적 사고와 반성적 실천이 나타났으며, 이들 대부분은 멘토링 이후에도 여전히 자신의 수업에 대한 반성을 바탕으로 구성주의에 기반한 수업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멘토링 당시 반성적 사고가 일어나지 않았던 멘티 교사의 경우 긍정적인 수업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멘토링에서의 반성적 실천은 이후 멘티 교사의 교수학습 방식에 영향을 미쳤다. 멘토링 당시 RTOP 점수의 상승이 있었던 그룹의 경우 멘토링 프로그램에서 배운 학생 중심 수업 모형을 자신의 수업에 적용하기 위해서 노력하였으며, 이 그룹에 속한 대부분의 멘티 교사들이 멘토링이 종료된 이후에도 그 학습 모형을 이용하여 수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반성적 사고와 반성적 실천이 멘토링 효과를 결정하는 핵심적인 요소가 될 뿐만 아니라, 멘토링 효과의 지속을 결정하는 요소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전문대학 공학계열 수업에서의 성찰저널 적용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Applying Reflective Journal to The Engineering Classes in College)

  • 홍유나;맹민재;정애경;이상회;김능연
    • 전자공학회논문지 IE
    • /
    • 제47권1호
    • /
    • pp.22-33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 공학계열 학생들의 학업성취와 자기조절학습전략의 향상을 위하여 성찰저널을 수업에 적용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성찰저널은 학생들의 학업성취와 자기조절학습전략, 특히 메타인지와 비판적 사고 등을 향상시키기 위한 인지도구로서 (1) 5점 Likert 척도로 된 자기평가, (2) 수업에세이, (3) 동료와의 대화, (4) 교수님과의 대화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구조화된 성찰저널'이다. 이러한 성찰저널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2009년 8월 24일부터 10월 16일까지 총 8주 동안 공학계열 1학년 94명(이론반 42명, 실험실습반 52명)을 연구반(성찰저널 적용 수업)과 비교반(성찰저널을 적용하지 않는 반)으로 구분하여 수업을 진행하고, 이러한 수업 유형에 따라 사전과 사후의 학업성취도와 자기조절학습전략의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공분산 분석(analysis of covariance)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성찰저널이 공학계열 신입생들의 학업성취도와 자기조절학습전략을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증명되었다.

수업디자인 모형을 적용한 기본간호학실습 수업 개선의 실행연구 (An Action Research to Improve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Course: Designing College Courses Model)

  • 김희영;김윤희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69-179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quality of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course. Methods: Participants were 132 students who took the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course at D university in N city. The study included processes of planning, action, observation, and reflection. Quant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0.0 program and qualitative data were evaluated through content analysis. Results: The 12-step designing college courses model by Fink was applied in the planning. In the acting stage, the course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in designing the course, students wrote reflective journals and the professor gave feedback to the reflective journal and the class observation journal was used for lessons. In the observation stage, the course evaluation was surveyed and analyzed, evaluations were positive with 47.1% of students positively evaluating the teaching strategy. In the reflecting stage, outcomes in course improvement were reflected on and, the number of students at the lower level-of-achievement decreased. Conclusion: Action research was a useful research method that could capture the quality improvement process in college courses. Expression of effort and passion to improve quality of education through action research in various ways and to share quality improvement strategies for nursing education are important.

반영적 추상화와 조작적 수학 학습-지도 (Reflective Abstraction and Operational Instruction of Mathematics)

  • 우정호;홍진곤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9권2호
    • /
    • pp.383-404
    • /
    • 1999
  • This study began with an epistemological question about the nature of mathematical cognition in relation to the learner's activity. Therefore, by examining Piaget's 'reflective abstraction' theory which can be an answer to the question, we tried to get suggestions which can be given to the mathematical education in practice. 'Reflective abstraction' is formed through the coordination of the epistmmic subject's action while 'empirical abstraction' is formed by the characters of observable concrete object. The reason Piaget distinguished these two kinds of abstraction is that the foundation for the peculiar objectivity and inevitability can be taken from the coordination of the action which is shared by all the epistemic subjects. Moreover, because the mechanism of reflective abstraction, unlike empirical abstraction, does not construct a new operation by simply changing the result of the previous construction, but is forming re-construction which includes the structure previously constructed as a special case, the system which is developed by this mechanism is able to have reasonability constantly. The mechanism of the re-construction of the intellectual system through the reflective abstraction can be explained as continuous spiral alternance between the two complementary processes, 'reflechissement' and 'reflexion'; reflechissement is that the action moves to the higher level through the process of 'int riorisation' and 'thematisation'; reflexion is a process of 'equilibration'between the assimilation and the accomodation of the unbalance caused by the movement of the level. The operational learning principle of the theorists like Aebli who intended to embody Piaget's operational constructivism, attempts to explain the construction of the operation through 'internalization' of the action, but does not sufficiently emphasize the integration of the structure through the 'coordination' of the action and the ensuing discontinuous evolvement of learning level. Thus, based on the examination on the essential characteristic of the reflective abstraction and the mechanism, this study presents the principles of teaching and learning as following; $\circled1$ the principle of the operational interpretation of knowledge, $\circled2$ the principle of the structural interpretation of the operation, $\circled3$ the principle of int riorisation, $\circled4$ the principle of th matisation, $\circled5$ the principle of coordination, reflexion, and integration, $\circled6$ the principle of the discontinuous evolvement of learning level.

  • PDF

영국의 패션, 텍스타일 디자인 실기 주도(Practice-led) 박사 논문에 관한 특성 연구 (A Research into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Textile Design Practice-Led PhD Theses in the UK)

  • 김혜은
    • 복식
    • /
    • 제65권6호
    • /
    • pp.48-62
    • /
    • 2015
  • Practice is essential in art and design. Through practice, artists gain tacit knowledge that is hard to acquire from conventional academic studies. This paper characterizes practice-led research in the study of fashion and textile design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practice-led research theses in the UK. According to relevant literature, which includes four exemplary case studies, the following features can be drawn: First, the methodology is different in each case and the use of practice is unconventional. Second, the research is not always aimed at making products. Third, the structure follows an iterative process. Fourth, the ratios of theory and practice are different and various theories are used. Fifth, a personal journal or diary is used for reflection as a major aid to research. Lastly, the process should be recorded by a thorough academic method. Practice-led research can have unexpected outcomes in theory and practice. It can be a good option for fashion practice research to develop a better evaluation method and reduce the gap between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협력적 탐구와 반성적 실천 맥락에서 예비교사 발문 사례 분석 (An Analysis of a Preservice Teacher's Questioning: The Effect of Practicum Program Based on Collaborative Inquiry Community)

  • 주미경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0권4호
    • /
    • pp.515-535
    • /
    • 2008
  • 본 연구는 교육실습 프로그램 개발연구의 일환으로서 개발 프로그램에 참여한 예비교사의 발문을 양적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실습과정을 통해 실습생의 교실담화에서 발문이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였다. 둘 째, 수업상황에서 제기하는 발문의 유형이 다양화면서 학생들에게 설명, 정당화 등과 같이 보다 고등수준의 수학적 사고에 몰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세 째, 재성을 동반하는 발문이 증가하였으며, 학생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발문과 학급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발문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위의 발문 유형에서의 변화 양상을 수업 수행 능력 개발 양상과 연결지어 설명하여 개발 프로그램이 예비교사의 수업 능력 개발에 기여하는 바와 사범대학 교육실습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PDF

Effects of Motor Imagery Practice in Conjunction with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on Stroke Patients

  • Ji, Sang-Goo;Cha, Hyun-Gyu;Kim, Ki-Jong;Kim, Myoung-Kwon
    • Journal of Magnetics
    • /
    • 제19권2호
    • /
    • pp.181-184
    • /
    • 2014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motor imagery (MI) practice in conjunction with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rTMS) applied to stroke patients could improve theirgait ability.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29 subjects diagnosed with hemiparesis due to stroke.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15 members who were performed MI practice in conjunction with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while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14 members who were performed MI practice and sham therapy. Both groups received traditional physical therapy for 30 minutes a day, 5 days a week, for 6 weeks; additionally, they received mental practice for 15 minutes. The experimental group was instructed to perform rTMS and the control group was instructed to apply sham stimulation for 15 minutes. Gait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 three-dimensional motion capture system, which is a real-time tracking device that delivers data via infrared reflective markers using six cameras. Results showed that the velocity, step length, and cadence of both group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practice (p<0.05).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groups in velocity and cadence (p<0.05) as well as with respect to the change rate (p<0.05) after practice. The results showed that MI practice in conjunction with rTMS i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gait ability than MI practice alone.

반성방법의 차이가 예비 지리교사의 수업전문지식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Reflective Thinking Methods on Improvement of Pre-service Geography Teacher's Teaching Knowledge)

  • 이소영;오정준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59-476
    • /
    • 2011
  • 본 연구는 반성방법의 차이에 따른 예비 지리교사의 수업전문지식 변화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l차 모의수업 결과를 토대로 통일한 수준에 있는 데 명의 예비교사들을 선정한 후, 각각 상이한 반성을 거쳐 2차 모의수업을 실시하도록 하였다. 이 때 각각의 수업에 대한 동료평가를 실시함으로써 예비교사들의 수업전문지식 구비정도를 파악했고, 1차 및 2차 수업 간의 점수를 비교함으로써 반성방법의 차이에 따른 수업전문지식의 변화 양상을 파악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1차와 2차 모의수업을 비교해본 결과 모든 예비교사의 평균점수가 상승했지만, 반성하지 않거나 자기반성을 행한 예비교사에 비해 전문가와의 협력적 반성을 행한 예비교사의 점수가 큰 폭으로 향상되었다. 다음으로 자기반성을 통해 반성적 성찰지를 작성한 예비교사의 경우 반성적 사고는 가능했지만 반성적 실천으로 이어지는 데에는 한계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내용지식의 향상은 전문가와의 협력적 반성을 행한 예비교사에게만 나타났다. 특히 영역과 학습자에 대한 이해 영역에서 유의미한 통계 값이 나타났다. 이를 통해 내용이나 상황영역 부문은 예비교사 스스로의 자기반성 및 반복적 수업 실연을 통해서도 향상될 수 있지만, 영역과 학습자에 대한 이해 영역은 조력자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도출할 수 있었다.

  • PDF

대학생의 성찰학습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그릿의 매개효과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Reflective Learning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 홍아정;황은희;조윤성;김용주;최미옥
    • 직업교육연구
    • /
    • 제36권4호
    • /
    • pp.1-20
    • /
    • 2017
  • 이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인지적, 심리적 선행요인을 확인하고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먼저, 대학생의 성찰학습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 한 후 성찰학습과 진로준비행동 사이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중 진로와 취업준비에 비교적 관심이 많고 실제적으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3, 4학년 30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성찰학습(성찰, 비판적 성찰)은 그릿(흥미일관성, 노력지속성)과 진로준비행동(정보수집활동, 도구구비활동, 목표달성활동)의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정적 관계를 가지며, 무성찰학습(습관적 행동, 이해)은 주요 변인 모두에서 유의하지 않는 관계를 갖는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추가적으로 성찰학습은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고, 그릿은 성찰학습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향상을 위하여 보다 원천적인 변인을 추가적으로 규명하고 확장하였으며, 대학 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진로 및 취업준비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 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대학생 스스로가 주변 환경과 상황을 비판적으로 성찰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키고 이를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관심 과제에 대한 흥미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위해 고등교육기관은 학생의 진로결정 및 취업과 관련한 보다 근본적이고 확장적인 실천 방법과 교육환경 제공이 중요함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