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mpact of Reflective Thinking Methods on Improvement of Pre-service Geography Teacher's Teaching Knowledge

반성방법의 차이가 예비 지리교사의 수업전문지식에 미치는 영향

  • 이소영 (대구대학교 대학원 지리학과) ;
  • 오정준 (대구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Received : 2011.06.23
  • Accepted : 2011.08.25
  • Published : 2011.08.31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figure out the impact of different reflective thinking methods on pre-service geography teachers' teaching knowledge. Four pre-service teachers in the same level were selected through the first simulated instruction, Then, different reflective methods were given them to carry out the reflection. Afterwards, they carried out their second simulated instruction. The change of average score of pre-service teachers was analyzed through the peer reviews and Paired samples T-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en the first peer review score were compared with second peer review, average score of all pre-service teachers improved. But, pre-service teachers who got cooperative reflection with a specialist had the widest variation in the increase level of average score comparing to those without reflection or reflective journal writing. Second, reflective journal writing through self-reflection led to their reflective thinking, but it did not induce them to reflective practice. Finally, pre-service teacher who got cooperative reflection with experienced teachers got the significant improvement in PCK through the T-test. In particular, it had significant statistical value in instruction section and understanding of students section. It demonstrates that the contextual section could be improved by self-reflection or repetitive class practices, while instruction section and understanding of students section needed consulting by assistants.

본 연구는 반성방법의 차이에 따른 예비 지리교사의 수업전문지식 변화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l차 모의수업 결과를 토대로 통일한 수준에 있는 데 명의 예비교사들을 선정한 후, 각각 상이한 반성을 거쳐 2차 모의수업을 실시하도록 하였다. 이 때 각각의 수업에 대한 동료평가를 실시함으로써 예비교사들의 수업전문지식 구비정도를 파악했고, 1차 및 2차 수업 간의 점수를 비교함으로써 반성방법의 차이에 따른 수업전문지식의 변화 양상을 파악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1차와 2차 모의수업을 비교해본 결과 모든 예비교사의 평균점수가 상승했지만, 반성하지 않거나 자기반성을 행한 예비교사에 비해 전문가와의 협력적 반성을 행한 예비교사의 점수가 큰 폭으로 향상되었다. 다음으로 자기반성을 통해 반성적 성찰지를 작성한 예비교사의 경우 반성적 사고는 가능했지만 반성적 실천으로 이어지는 데에는 한계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내용지식의 향상은 전문가와의 협력적 반성을 행한 예비교사에게만 나타났다. 특히 영역과 학습자에 대한 이해 영역에서 유의미한 통계 값이 나타났다. 이를 통해 내용이나 상황영역 부문은 예비교사 스스로의 자기반성 및 반복적 수업 실연을 통해서도 향상될 수 있지만, 영역과 학습자에 대한 이해 영역은 조력자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도출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