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blem-posing

검색결과 132건 처리시간 0.025초

An Important Component on Using the What-If-Not Strategy

  • Seo, Hye-Sook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권1호
    • /
    • pp.13-19
    • /
    • 1998
  • The What-If-Not strategy as proposed by Brown & Walter (1969)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strategies for problem posing. However, it has focused only on the aspect of algorithms for generating problems. The aim of this strategy and how it is used to accomplish the aim of the challenging phase are not clear. We need to clarify the aim of the What-If-Not strategy and to establish the process of the strategy for accomplishing the aim.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offer a new What-If-Not strategy by clarifying the aim of the challenging phase.

  • PDF

Differences in the Use of Heuristics When a Sixth Grader Solves a Problem

  • Park, Hyun-Ju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46-156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use of heuristics when a sixth grader solves a problem. Two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formulat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use of heuristics when a student solves two problems that are science-knowledge-based and not science-knowledge-based, and the different types of prompts. A male sixth grade student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of the information for the study was collected in three interviews. The interviews began with observing the student's solving problems. The student was asked how and why he solved problem that way. There were some interactions between the researcher and the student during the interview procedures. As results of this study, eight general heuristics were used in both solutions: Check examples for support of an idea: check examples for exceptions to an idea: restate the problem: compare to known examples or patterns: make a hypothesis; check the relevance of other information present; use analogy: and recognize patterns/similarity. There seemed to be more similarities than differences in the type of general heuristic that were used in the two problem solutions. The student was systematic and consistent in his use of the general use of heuristics. Five types of interviewer prompts were detected in the two problem solutions, directional cues, modeling, clarity, problem posing, metacognition and validation.

Robust Video-Based Barcode Recognition via Online Sequential Filtering

  • Kim, Miny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 /
    • 제14권1호
    • /
    • pp.8-16
    • /
    • 2014
  • We consider the visual barcode recognition problem in a noisy video data setup. Unlike most existing single-frame recognizers that require considerable user effort to acquire clean, motionless and blur-free barcode signals, we eliminate such extra human efforts by proposing a robust video-based barcode recognition algorithm. We deal with a sequence of noisy blurred barcode image frames by posing it as an online filtering problem. In the proposed dynamic recognition model, at each frame we infer the blur level of the frame as well as the digit class label. In contrast to a frame-by-frame based approach with heuristic majority voting scheme, the class labels and frame-wise noise levels are propagated along the frame sequences in our model, and hence we exploit all cues from noisy frames that are potentially useful for predicting the barcode label in a probabilistically reasonable sense. We also suggest a visual barcode tracking approach that efficiently localizes barcode areas in video frame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approaches is demonstrated empirically on both synthetic and real data setup.

개방형 문제와 선택형 문제 해결에 나타난 학생의 추론 비교 (A Comparison of Students' Reasoning Shown in Solving Open-Ended and Multiple-Choice Problems)

  • 이명화;김선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9권1호
    • /
    • pp.153-170
    • /
    • 2017
  • 본 연구는 학생들의 추론 활동이 활발할 것으로 기대되는 개방형 문제와 학생들이 익숙해하는 선택형 문제에서 학생들이 문제를 해결하면서 보이는 추론의 유형과 추론 과정이 어떠한지 분석하였다. 그리고 개방형 문제 해결에서 추론을 증진시키는 교사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았다. 선택형 문제에 비해 개방형 문제 해결에서 학생들은 더 다양한 추론 유형을 나타냈고, 추론이 연쇄적으로 진행되면서 확장되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개방형 문제에서는 학생들의 개연적 추론의 한 유형인 가추가 활발하였는데, 이에 따라 교사는 격려, 촉진, 안내의 역할을 하였다. 이에 교사는 수업과 평가에서 개방형 문제를 제시하고, 학생들이 추론에 어려움을 느낄 때 적절한 발문으로 학생들의 추론이 더욱 활발해지도록 돕는 역할을 해야 한다.

열린수학과 모델링 (Open mathematics education and Modelling)

  • 조완영;권성룡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8권2호
    • /
    • pp.663-677
    • /
    • 1998
  •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social change require new paradigm in Education. In a traditional paradigm, learners have been regarded as a passive being and knowledge could be transmitted to learner. But within this paradigm, it is difficult to confront the social change and to develop problem solving skills in various context. This results in a new, alternative perspective, Constructive paradigm. As an alternative to the traditional settings, Constructive paradigm emphasizes the learner centered instruction. The reform movement in mathematics education including NCTM's standards revolves around this paradigm and the open education movement in our educational system is based on it. Open education values learner's interest, autonomy and internal motivation in learning. However, open education has been misunderstood by most of the teachers. It should be understood as the change of paradigm. In this study, as a way of helping students connect mathematics to their everyday lives and construct meaningful mathematical knowledge and concept, mathematical modelling is suggested. It consists of posing and specifying the real problem, formulation and constructing a mathematical model, analyzing and solving a mathematical problem. interpreting the solution and comparing with reality and communicating results. In this process, technology like computer can be a powerful tool. It can help students explore various problems more easily and concretely.

  • PDF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Cabri3D의 교육적 활용 (Using the Cabri3D Program for Enhancing Problem Solving Ability)

  • 김남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6권4호
    • /
    • pp.345-36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3차원 공간도형의 학습에 유용한 동적 기하 소프트웨어인 Cabri3D 프로그램을 논의의 대상으로 하여 이를 공학적도구의 교육적 활용이라는 관점에서 수학 문제해결지도에 바람직하게 사용하는 방안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예비수학교사들을 대상으로 학교수학에의 Cabri3D프로그램 활용에 관한 탐구 수업을 진행한 후, 중등수학의 지도에서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해 이 프로그램이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구체적인 사례들을 수집하였다. 폴리아가 제시하는 문제해결의 각 단계에 Cabri3D가 보조도구로서 유용한 역할을 할 수 있는 문제 사례와 그 활용방법을 예시하면서 현장의 수학교사들이 공학적 도구를 수학교육에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관점을 갖게 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 PDF

문제중심 학습의 모델 설정 (A Study on Constructing the Model of Problem Based Learning in the View of Situated Learning)

  • 신현성;윤재연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401-413
    • /
    • 2007
  • 이 연구는 변화하는 산업사회의 요구에 알맞은 창의적이면서 자기 주도적인 교실의 수업환경을 개선하는 프로그램의 일환이며, 보다 구체적인 목표는 학교에 알맞은 문제중심 학습의 모델을 만들고, 이를 실험하여 그 효과를 논하는데 있었다. 기존의 PBL 모델을 파일럿 실험을 거쳐 우리 교실 환경에 알맞게 수정하고, 이 모델을 중학교 심화 반 36을 대상으로 8주간 실험했다. 그 결과 이 모델을 적용한 실험 반 학생이 문제해결 검사지 와 문제해결 태도 검사지에서 비교 반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다양한 상황 선정을 해석하여 상황의 단순화(수학적 의미부여)로 가는 능력이 탁월했다. 또, 이해를 생성하는 기법이 독특했으나, 문제 설정활동에서 학교성적 중간수준의 학생의 효과는 부정적이었다.

  • PDF

초등 수학교과서의 문제해결 역량 및 과제 유형 분석: 수와 연산 영역의 도전/생각 수학과 탐구 수학을 중심으로 (Analysis of problem solving competency and types of task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Challenging/Thinking and inquiry mathematics in the domain of number and operation)

  • 여승현;서희주;한선영;김진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0권4호
    • /
    • pp.431-449
    • /
    • 2021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과서가 반영하고 있는 문제해결 양상을 수와 연산 단원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문제해결의 하위요소를 중심으로 수학적 활동에 대해 코딩을 실시한 결과 실행이 강조되는 가운데 학년별로 강조되는 하위 요소들이 다르게 나타났고, 잠재집단분석을 통해서 과제의 유형을 분류해 보았다. 향후 교과서 개발과 교사지원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수학적 게임 변형을 통한 초등 예비교사의 수학적 탐구 경험 (Pre-Service Primary Teachers' Mathematical Investigation Through Transforming Mathematical Games)

  • 이동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6권1호
    • /
    • pp.143-157
    • /
    • 2016
  •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이 수학적 게임을 변형하는 과정에서 그들이 경험한 수학적 탐구 활동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예비교사들은 기존의 수학적 게임을 변형하거나 새로운 게임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수학적 문제 제기, 수학적 추측과 반박, 새로운 수학적 표현 생성 등의 수학적 탐구 활동을 경험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수학적 탐구의 경험은 예비교사들의 수학교육에 대한 관점의 변화를 유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수학적 게임 변형 활동이 예비교사에게 수학적 탐구의 기회를 제공하는 수단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n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for Tasks on Polar Coordinates

  • Oh, Hye Mi;Park, Jee Hyun;Kwon, Oh Nam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7권2호
    • /
    • pp.119-131
    • /
    • 2013
  • It is the first time that there is a subject, advanced mathematics in the 2009 revised high school curriculum. Therefore it is posing a challenge to the teachers who are teaching it. At the advanced level, it is important for learners to reflect on their mental mathematical activities. This research analysed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in solving the tasks specific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polar coordinates. We report how and through what process mathematical tasks that can create disequilibrium for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enable reflective thinking and expand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thoughts and recognition of defining reflective thinking in looking back on one's problem solving and thinking proces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