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gative association

검색결과 6,134건 처리시간 0.034초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기질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s of Temperament on the Association between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Behavioral Problems in Preschool Children)

  • 이예진;신유림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7권3호
    • /
    • pp.369-381
    • /
    • 2019
  •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s of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activity and sociability on the relation between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behavior problems. Participants consisted of 1,667 preschool children from the fifth wave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EAS was used to measure the children's temperament. Mothers reported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behavior problem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magnitude of association between relation between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behavior problems was greater for high levels of negative emotionality and activity as well as low levels of sociability. The results support a diathesis-stress model in which high negative emotionality, activity and low sociability confer vulnerability for preschool children in a high stress family.

생태하천복원사업 전후 경제적 가치 비교분석 (Ex-ante and Ex-post Economic Value Analysis on Ecological River Restoration Project)

  • 이윤;장훈;윤태연;정영근;박희영
    • 지역연구
    • /
    • 제31권3호
    • /
    • pp.39-54
    • /
    • 2015
  • 본 연구는 서울시에서 추진한 청계천 복원사업에 대한 경제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심층출구면접조사 방식으로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여행비용법(Travel Cost Method, TCM)을 적용하였다. 가산자료의 특성을 감안하여 분석모형은 포아송모형(Poisson Model, PM), 음이항모형(Negative Binomial, NB), 절단된 포아송모형(Zero-truncated Poisson, ZTP), 그리고 절단된 음이항모형(Zero-truncated Negative Binomial, ZTNB)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추정계수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고 일반적인 소비자경제이론에 부합하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조사된 자료에서 과산포현상(Over-dispersion)이 발견되었으며 모형적합도검정을 통해서 절단된 음이항모형(Zero-truncated Negative Binomial, ZTNB)이 청계천 방문객의 수요를 추정하는 데 최적모형으로 선정되었다. 생태하천복원사업인 청계천복원사업의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기 위해 방문객의 연평균 방문횟수와 최적모형에서 추정된 계수를 통해서 분석한 결과 청계천의 경제적 가치는 2013년 기준으로 연간 약 1,902 원으로 추정되었다.

외국어 어휘 학습에서 학습자 요인의 영향: 부적 정서와 작업기억 (The Influence of Learner Factors on Foreign Language Vocabulary Learning: Negative Emotion and Working Memory)

  • 민승기;이윤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545-555
    • /
    • 2015
  • 한국 대학생들의 외국어 어휘 학습에 미치는 부적 정서(상태-특성 불안, 우울)와 작업기억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이것이 외국어 어휘 학습 콘텐츠 개발에 함의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132명에게 상태-특성 불안, 우울, 그리고 네 종류의 작업기억 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참가자들로 하여금-특정 외국어에 대한 개인 간의 차이를 최소화하고자-처음 보는 스와힐리어 단어를 학습하도록 하였다. 참가자들의 상태-특성 불안과 우울의 평균은 정상 수준이었다. 구조방정식모형에서 부적 정서에서 외국어 학습으로의 직접효과는 없었으며, 부적 정서에서 작업기억으로의 직접효과와 작업기억에서 외국어 학습으로의 직접효과는 유의미하였다. 이는 부적 정서에 의한 작업기억의 손상이 외국어 어휘 학습의 부진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의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을 위한 외국어 어휘 학습 콘텐츠를 개발할 때에, 학습자의 부적인 정서를 고려해야 할 필요성과 작업기억의 부담을 최소화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부정적 가족 생활사건, 배우자 지지와 정신건강 -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 (Negative Family life Events, Spousal Support and Mental Health: Focus on Gender Differences)

  • 강혜원;한경혜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8호
    • /
    • pp.55-68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negative life events on mental health and to explore possible main and moderating effects of spousal support on mental health with a focus on gender differences.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taken from a nationwide random sample of 1,504 married men and women ranging in age from 30 to 59 through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 program which was used to calculate frequency, mean, 1-test, multiple regression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by examining mental health of Korean men and women, women were more likely than men to experience higher levels of depression. Second,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in the sum of experience of negative life events, therefore the date of this study did not support the differential exposure hypothesis. In addition, men perceived more support from their spouses than women. Third, results show that especially the event concerning with job/financial problems has negative impacts on mental health of both men and women, and vulnerability to undesirable life events was not found. Fourth, spousal support is associated with better mental health regardless of gender, and it reduces the harmful effects of life events concerning with job/financial area for both men and women. Also, spousal support reduces the magnitude of the harmful effects of life events concerning with health of men. This study focused on the impact of negative life events and the couple process. It was possible to explore the strength of social support provided from spouse of most importance to the individuals. These results affirm the importance of supportive relationships between couples as a buffer, mitigating harmful effects of negative life events on mental health.

보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복합 근육 활성의 양성 및 음성 공변 메커니즘 (Positive and Negative Covariation Mechanism of Multiple Muscle Activities During Human Walking)

  • 김유신;홍영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73-184
    • /
    • 2018
  • 보행 과정에서 여러 근육이 동시에 수축하는 운동 모듈 또는 근육 시너지는 매우 중요한 중추신경계 운동조절 메커니즘이다. 본 연구는 걷는 동안 근육 간 양성 및 음성 공변 패턴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트레드밀 보행 시 발생하는 다리 근육 활성을 근전도 검사를 통해 측정하였다. 동시 수축근육 그룹, 즉 운동 모듈을 확인하기 위해 우리는 양쪽 4 개의 다리 근육(전경골근, 내측 비복근, 대퇴직근, 내측 슬괵근)에서 근전도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비음수행렬분해 및 주성분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후 근육 또는 운동 모듈 간의 다양한 조합으로부터 공변이 값을 계산하였고, 이원배치분산분석을 이용하여 각 조합들에서 발생하는 공변이 패턴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다양한 조합 사이에 유의미한 공변이 값의 차이가 발견되었다(p < 0.05). 같은 운동 모듈로 정의된 특정 근육 사이에서 발생하는 근 활성은 양성공변이를 보여주었으나 운동 모듈 사이에서는 음성 공변이를 보여주었다. 모든 근육 조합들 사이에서는 음성 공변이가 발생하였다. 운동 모듈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발생하는 음성 공변이는 운동 모듈이 복잡한 운동 조정의 제어 단위(control unit) 일 수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자의식적 부정정서가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Self-conscious Negative Emotions on the Non-suicidal Self-injury: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 백보겸;김지인;권호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385-395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죄책감, 수치심, 수줍음, 내부 적대감을 포함하는 자의식적 부정정서와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기제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J지역 3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652명으로, 이들에게 비자살적 자해, 자의식적 부정정서, 정서조절에 대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Process macro의 model 4를 사용한 매개분석 결과, 자의식적 부정정서는 자해행동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으며, 부정적 반추의 정서조절이 그 관련성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의식적 부정정서가 높을수록 비자살적 자해 행동이 증가하며, 부정적 반추가 부정정서를 더욱 강화시켜 자해 행동을 증폭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각된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부적 정서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Negative A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 임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185-196
    • /
    • 2018
  • 본 연구는 성인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부적 정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성인의 스마트폰 중독 상담을 위한 시사점을 찾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성인 300명(남 146명, 여 154명)에게 지각된 스트레스척도,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척도, 부적 정서척도, 스마트폰 중독진단척도를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스트레스는 스마트폰 중독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지각된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부적 정서는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지각된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넷째, 지각된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부적 정서의 이중매개효과는 유의미하였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성인의 스마트폰 중독 예방 및 상담과정에서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수정을 통한 부적 정서의 완화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또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에 따른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 능력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Children's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Skills According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 이한나;성미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380-39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에 따라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서울 및 인천지역 소재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와 그 어머니 116쌍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및 독립표본 t-검증에 의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성별에 따라 슬픔의 정서성에 차이가 나타나서 여아가 남아보다 슬픔의 정서성이 더 높았고, 형제가 없는 유아보다 형제가 있는 유아의 어머니가 부정적 정서표현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정적 정서성이 낮은 유아보다 부정적 정서성이 높은 유아의 어머니가 부정적 정서를 더 많이 표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대인간 문제해결 능력은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소비자의 유념성과 강박구매 (Consumers' Mindfulness and Compulsive Buying)

  • 한웅희
    • 유통과학연구
    • /
    • 제12권12호
    • /
    • pp.93-100
    • /
    • 2014
  • Purpose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negative affect on compulsive buying and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negative affect depending on the level of mindfulness. Compulsive buying is defined as chronic, repetitive purchasing that becomes an overlearned and automatic way to cope with negative feelings, and compulsive buyers may be particularly susceptible to cognitive narrowing when shopping. Mindfulness may be defined as a coordinative regulatory process to increase the level of attention by recognizing the present experiences non-judgmentally. Hence, mindfulness can be related with negative psychological results such as general mental distress, especially compulsive buying.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ulsive buying and mindfulness. In another word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internal regulatory mechanism (that is, mindfulness) on the mental disorder resulting from negative affect in the area of consumption (that is, compulsive buying).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One hundred and twenty-five college student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negative affect (High Negative Affect Group vs. Low Negative Affect Group) by the mean value of negative affect (=2.47).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wo other groups according to the degree of mindfulness (High Mindfulness Group vs. Low Mindfulness Group) by the mean value of mindfulness (= 3.47). To analyze the effect of negative affect on compulsive buying, the degree of compulsive buying of the High and Low Negative Affect Groups were compar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mindfulness by using factorial design,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negative affect (High vs. Low) and the mindfulness (High vs. Low) were analyzed. Results - The degree of the compulsive buying was higher when the degree of the negative affect was higher than lower (3.06High Negative Affect Group vs. 2.87Low Negative Affect Group, p=.014).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the compulsive buying was larger when the degree of the mindfulness was lower than higher. In other words,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negative affect and the mindfulness on the compulsive buying could be found (F(1,124)=10.098, p<.01). Conclusions -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howed that the compulsive buying is influenced by the negative affect and that the effect of the negative affect on the compulsive buying varies depending on the level of the mindfulness. These results can be interpreted to imply that consumers who are in a state of high mindfulness pay attention to every minute of experience and activate the coordinatory function and that, eventually, habitual and reflective responses such as compulsive buying are restricted. It is concluded that consumers' mindfulness can facilitate the self-regulatory responses and alleviate the influence of negative affect on compulsive buying. Based on these result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were discussed and the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areas were suggested.

맞벌이 부부의 일-가족 부정적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 및 직업관련 변수 (The Influences of Variables Related to Family and Employment on Work-Family Negative Spillover in Dual-Earner Couples)

  • 장윤옥;정서린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4권2호
    • /
    • pp.65-83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variables related to family and employment on work-family negative spillov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70 dual-earner with children. The research tool was questionnaires. For data analysis, factor analysis, Cronbach ${\alpha}$,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perform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among variables related to family, spouse support, parental satisfaction, marital satisfaction, perceived fairness in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daily housework hour and family strengths had an influence on $work{\rightarrow}family$ negative spillover in wives, and weekends housework hour, perceived fairness in the division of household labor, perception of the gender role, and satisfaction of the division in household labor had an influence on $work{\rightarrow}family$ negative spillover in husband. Second, among variables related to family, parental satisfaction, number of children influence on $family{\rightarrow}work$ negative spillover in wives, and spouse support, parental satisfaction, satisfaction of the division in household labor, marital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the gender role had an influence on $family{\rightarrow}work$ negative spillover in husband. Third, among variables related to employment, support from workplace, weekly working hour, monthly income, and job satisfaction had an influence on $work{\rightarrow}family$ negative spillover in wives, and support from workplace, monthly income, household income, and weekly working hour had an influence on $work{\rightarrow}family$ negative spillover in husband. Forth, among variables related to employment, support from workplace in wives, and job satisfaction in husband had an influence on $family{\rightarrow}work$ negative spillover. To conclude, there was some difference in the variables influencing $work{\rightarrow}family$, $family{\rightarrow}work$ negative spillover between wife and husband. So, We have to take this difference into consideration in establishing work-family life balance poli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