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8.18.12.185

Mediating Effect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Negative A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Lim, Jeeyoung (호서대학교)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Current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negative a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of adults and to explore suggestions for counseling adults with smartphone addiction symptoms. Three hundred adults(146 males, 154 females) were administered perceived stress scale,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scale, negative affect scale, and smartphone addiction scale.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erceived stress had positive influence on smartphone addiction. Second, negative affect showed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Thir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did not show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Forth,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negative affect showed doubl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was suggested to include stress management and relief of negative affect through modification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the treatment program for adults at high risk of smartphone addiction.
Keywords
Stres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Negative Affect; Smartphone Addic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5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동일, 정여주, 이주영, 김명찬, 이윤희, 강은비, 금창민, 남지은, "성인용 간략형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 개발," 상담학연구, 제13권, 제2호, pp.629-644, 2012.
2 강희양, 박창호, "스마트폰 중독 척도의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31권, 제2호, pp.563-580, 2012.
3 김교헌, 변서영, 임숙희, "성인용 스마트폰 중독 척도의 개발," 사회과학연구, 제27권, 제1호, pp.131-154, 2016.
4 한국정보화진흥원, 스마트폰중독 진단척도 개발 연구, 2011.
5 M. D. Griffith, "A component model of addiction within a biopsychosocial framework," Journal of Substance Use, Vol.10, pp.191-197, 2005.   DOI
6 R. A. Thompson,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development,"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Vol.3, pp.269-307, 1991.   DOI
7 황은비, 김향숙, "군 생활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삶의 의미의 조절 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3권, 제12호, pp.403-429, 2016.
8 하진미, 손정락, "수용전념치료(ACT)가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수준이 높은 대학생의 자기통제력, 우울 및 스마트폰 중독 수준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중독, 제1권, 제1호, pp.1-16, 2016.
9 H. W. Perkins, "Stress-motivated drinking in collegiate and postcollegiate young adulthood: Life course and gender patterns,"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Vol.60, No.2, pp.219-227, 1999.   DOI
10 김정호, 김선주, 스트레스의 이해와 관리,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7.
11 구민준, 성인의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 : 마음챙김과 회복탄력성의 효과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12 D. F. Jacobs, "A general theory of addictions: A new theoretical model," Journal of Gambling Behavior, Vol.2, No.1, pp.15-3, 1986.   DOI
13 이선주, 김귀애, 홍창희, "인터넷 사용동기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청소년의 병리적 인터넷 사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여성, 제16권, 제3호, pp.265-284, 2011.
14 이종환, 임종민, 손한백, 곽호완, 장문선, "행동중독 준거기반 스마트폰 중독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제28권, 제2호, pp.425-443, 2016.
15 김수현, "스마트폰에 대한 지각특성이 스마트폰 채택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9호, pp.318-326, 2010.   DOI
16 정새롬, 여대생의 대학생활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우울의 매개효과,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7 이현숙, 배상윤, "일부 대학생의 스트레스, 자아요인 및 정서요인이 스마트폰중독정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5호, pp.326-336, 2017.   DOI
18 N. Garnefski, T. V. D. Kommer, V. Kraaij, J. Teerds, J. Legerstee, and E. Onste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emotional problems: Comparison between a clinical and a non-clinical sample," European Journal of Personality, Vol.16, pp.403-420, 2002.   DOI
19 N. Garnefski, V. Kraaij, and P. Stinhoven, "Negative life event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problem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30, No.8, pp.1311-1327, 2001.   DOI
20 김소희, "스트레스 사건,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학생생활상담, 제26권, pp.5-29, 2008.
21 김혜련, 초등학생이 지각한 일상 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부정적 정서조절양식의 매개효과,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22 이정아, 정현희,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인지적 취약성과 우울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단기 종단 연구," 상담학연구, 제13권, 제2호, pp.935-952, 2012.
23 하혜신, 남녀 청소년에 따른 부적응도식, 생활스트레스,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 우울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24 전호선, 장승옥, "스트레스와 우울이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성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제21권, 제8호, pp.103-129, 2014.
25 봉은주, 김윤경,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8권, 제7호, pp.121-129, 2017.   DOI
26 조혜영, 스트레스가 성인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력, 신경증과 외향성의 매개 효과,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27 김영은, 영아기 자녀를 둔 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자기통제력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28 이현숙,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 : 스트레스 정도,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7권, 제4호, pp.163-172, 2016.   DOI
29 정구철, 조민국, "스트레스와 인터넷 및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학습된 무력감과 지연행동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8호, pp.175-185, 2017.   DOI
30 김민경,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우울이 스마트폰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아통제력의 중재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시설환경, 제12권, 제2호, pp.117-125, 2014.
31 F. B. Bryant and J. Veroff, 인생을 향유하기-행복체험의 심리학(권석만, 임영진, 하승수, 임선영, 조현석 역), 학지사, 2010.
32 이향종,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우울간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낙관성 및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가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33 김지연, 초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과의 관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34 박지윤,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 성향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35 S Wemm, A. Fanean, A. Bake, E. R. Blough, S. Mewaldt, and M. Bardi, "Problematic drinking and physiological responses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Alcohol, Vol.47, No.2, pp.149-157, 2013.   DOI
36 삼성서울병원, 2016년도 정신질환실태조사, 서울: 삼성서울병원, 2017.
37 한국정보화진흥원,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보고, 서울:한국정보화진흥원, 2017.
38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Fifth Edition (DSM-5), Washington DC: Author, 2013.
39 최우경, 김진숙,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자살 생각과의 관계: 인지적 정서조절의 조절효과와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제13권, 제1권, pp.255-272, 2012.
40 이지현, 이정윤,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자살 생각과의 관계: 부모 및 또래와의 관계와 인지왜곡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제10권, 제2호, pp.1113-1126, 2009.
41 S. Cohen, T. Kamarck, and R. Mermelstein, "A global measure of perceived str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Vol.24, pp.385-396, 1983.   DOI
42 S. Cohen and G. Williamson, "Stress and infections disease in humans," Psychological Bulletin, Vol.109, pp.5-24, 1983.
43 박준호, 서영석,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한국판 지각도니 스트레스 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일반, 제29권, 제3호, pp.611-629, 2010.
44 E. Diener, H. Smith, and F. Fujita, "The personality structure of a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9, pp.130-141, 1995.   DOI
45 안신능, 자기 개념에 따른 자기 불일치와 삶의 만족도의 인과적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46 A. F. Hayes,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Guilford Press, 2013.
47 P. Shrout and N. Bolger,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Vol.7, pp.422-445, 2002.   DOI
48 이지영, 권석만, "정서조절과 정신병리의 관계: 연구현황과 과제,"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 제18권, 제3호, pp.461-493, 2006.
49 R. B. Kline,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2nd ed.), New York: Guilford, 2005.
50 이동용, 학업스트레스와 공격성과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3-4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51 신아영, 정서 마음챙김이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지적 정서조절, 신체증상 및 웰빙에 미치는 효과 : 여대생을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52 김정호, "체계적 마음챙김을 통한 스트레스관리: 서 마음챙김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건강, 제6권, 제1호, pp.23-58, 2001.
53 P. B. Kline,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Y:Guilford Press, 2011.
54 문예지, 대학생의 자기 불일치와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의 관계: 지각된 이상적 스트레스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55 박성준, 장문선, 곽호완, 이상인, "스마트폰 중독 경향군의 애플리케이션 사용유형에 따른 실행기능, 대인관계, 공감능력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인지 및 생물, 제29권, 제1호, pp.1-19, 2017.
56 J. Chen, Y. Liang, C. Mai, X. Zhong, and C. Qu, "General deficit in inhibitory control of excessive smartphone users: Evidence from an event-related potential study," Frontiers in Psychology, Vol.14, April, 2016. https://doi.org/10.3389/fpsyg.2016.00511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