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obile phone dependence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32초

초등학생의 자기통제력 및 사회적 지지가 휴대전화 의존성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Self Control and Social Support on the Mobile Phone Dependenc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박정아;정지나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69-781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 control and social support on the mobile phone dependenc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were 392 children(187 boys, 205 girls) in 5, 6th grade from two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do. The mobile phone dependence was assessed by the Mobile Phone Dependence Scale(Ko Seong-Ja, 2012), self control was measured by the Self-control Scale(Nam hyeon-mi, 1999) and social support was assessed by the Social Support Scale(Han mi hyun, 1996).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Pearson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regression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obile phone dependence by sex of the children. Second, children's mobile phone dependence were correlated with self control and social support. Finally, children's self control, family support and peer support significantly explained the mobile phone dependence. But peer support appeared to have negative corelation on mobile phone dependence, but appeared to have static effect in regression result by suppressor variables. So it needs to explore statistical function of suppressor variables in follow-up studies. Also research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elf control enhancement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nd parents should communicate more frankly and affectively with their children in order to prevent children's mobile phone dependence.

The Effects of Social Withdrawal, Depression, and Self - Esteem on Adolescents' Mobile Phone Dependence

  • Bang, Sung-a;Park, Hwie-Se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11호
    • /
    • pp.203-209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social withdrawal, depression, and self - esteem affect adolescents' mobile phone dependency. For this study, I used data from the first grade of junior high school during the 7th (2016) Korean child and youth panel survey provided by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A total of 1,937 people were selected as the final target except those who do not have a mobile phone. The analysis method was SPSS 23.0 and AMOS 20.0.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higher the depression of adolescents, the higher the dependence on mobile phones. Second, the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on of adolescent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mobile phone dependence through self-esteem. In conclusion, I would like to provide policy data so that youths can develop and implement preventive programs that can prevent personality education and erroneous mobile phone dependency that can develop healthy and positive growth.

The Effects of Peer Attachment, Abuse, and Self - Esteem on Adolescent's mobile phone Dependency

  • Kim, Hyung-hee;Choi, Chiwon;Park, Hwiese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8호
    • /
    • pp.173-179
    • /
    • 2020
  • 본 연구는 또래애착과 부모 학대가 청소년의 휴대폰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의 영향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소에서 제공한 한국아동·청소년 패널 조사, 초등학교 1학년 7차 연도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총 1,937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변인간의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SPSS 26.0과 AMOS 26.0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또래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아지면서 휴대폰 의존도는 낮아졌으나, 학대가 심할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아지고 휴대폰 의존도는 높아졌다. 둘째, 또래애착과 학대가 휴대폰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긍정적인 성장·발달을 돕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 싶다.

후기 청소년기 또래애착과 휴대전화 의존의 관계: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s between Peer Attachment and Mobile Phone Dependency in Late Adolescence: The Moderating Role of Ego-resilience)

  • 이주리;송지원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111-126
    • /
    • 2017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role of Ego-Resilience between Peer Attachment and Mobile Phone Dependency in late adolescence.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056 third year high school adolescents (1,041 boys and 1,015 girls) from the Korea Youth Panel Study (KYPS), a national representative of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ce. Hierarchical Regression was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peer attachment, ego-resilience and mobile phone dependency were all significant. Second, ego-resilience takes the role of moderator for mobile phone dependency. In detail, ego-resilience relieves the mobile phone dependency caused by 'peer relationships' or 'conflict in peer relationships. Conclusion/Implications: Ego-resilience was found to control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attachment and mobile phone dependency. Therefore, in order to lower the dependence of mobile phones in adolescents with low peer attachment, a program that can enhance ego-resilience is needed.

휴대전화 의존이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Withdraw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bile Phone Dependency and the Sense of Community among Adolescents)

  • 김지영;이혜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4호
    • /
    • pp.273-279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과 공동체 의식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 개입에 대한 근거자료를 확보하는 것이다. 자료수집은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 초등 4학년 패널 자료 중 2016년 7차 연도 자료 1,97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휴대전화 의존은 공동체 의식의 감소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사회적 위축을 경유하여 공동체 의식에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청소년들의 휴대전화 의존 관련 감소된 공동체 의식을 향상하기 위해, 사회적 위축을 감소하는 적극적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휴대전화 의존 관련 공동체 의식 약화를 다룰 때, 의존과 사회적 위축, 공동체 의식 변인을 함께 고려하는 심리적 사회적 측면의 융복합적 개입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성인매체 몰입간의 관계에서 휴대전화 의존의 매개효과 검증 (The Mediating Effect of Mobile Phone Dependen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Neglecting Attitude and Adolescent's Adult Media Immersion)

  • 김진웅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171-179
    • /
    • 2019
  • 본 연구는 융복합시대에서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성인매체 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이 둘간에 휴대전화 의존이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지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제6차 한국 아동 청소년패널조사 중 중1패널을 활용하여 분석했다.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성인매체 몰입 간에 휴대전화 의존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Baron & Kenny의 분석방법을 활용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결과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 수준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성인매체 몰입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됐다. 둘째, 휴대전화 의존은 성인매체 몰입을 부분 매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한 정책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자녀 관계 개선을 위한 정책 법률적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학교사회복지사를 중심으로 학교 내에서 전문적 프로그램 실천이 필요하다. 셋째, 청소년의 성인매체 접근을 제한하는 관련 법령 개정이 필요하다.

The Effects of Mobile phone Dependence and Fandom Activities on the Satisfaction of life of Adolescents : Mediating Effect of Self-Resilience

  • Bang, Sung-A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11호
    • /
    • pp.255-262
    • /
    • 2019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한국 아동 청소년 패널조사(KCYS)의 중1 패널데이터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올바른 휴대폰 사용과 팬덤활동에 관한 실천적 정책적 방안을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분석방법으로 AMOS 23.0을 활용하였으며, 연구결과, 첫째,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휴대폰 의존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휴대폰 의존도는 자아탄력성에 의해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청소년들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사회정서발달 및 급변하는 문화 활동에 맞는 맞춤형 프로그램이 개발 보급되어야 할 것 임을 시사하고 있다.

베이지안 다변량 선형 모형을 이용한 청소년 패널 데이터 분석 (KCYP data analysis using Bayesian multivariate linear model)

  • 이인선;이근백
    • 응용통계연구
    • /
    • 제35권6호
    • /
    • pp.703-724
    • /
    • 2022
  • 다변량 경시적 자료 분석은 반복 측정된 자료에 존재하는 상관관계를 올바르게 추정하면서 자료를 분석해야 한다. 경시적 연구에서는 다변량 경시적 자료가 주로 생성되지만, 기존 통계적 모형은 대부분 단변량으로 분석되어 다변량 경시적 자료에 존재하는 복잡한 상관관계를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복잡한 상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공분산 행렬을 모형화하는 다양한 방법에 대해 고찰한다. 그 중 수정된 콜레스키 분해, 수정된 콜레스키 블록분해와 초구분해를 살펴본다. 그리고 일반화 자기회귀모수 행렬이 가지는 희박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베이지안 방법을 이용하여 청소년 패널 데이터를 분석한다. 청소년 패널 데이터는 다변량 경시적 자료이며, 반응 변수로는 학교 적응도, 학업 성취도, 휴대전화 의존도를 고려한다. 자기 상관 구조와 혁신 표준 편차 구조를 달리 가정하여 여러 모형을 비교한다. 가장 적합한 모형에 대해 학교 적응도와 학업 성취도에 대해 모든 설명 변수가 유의미하며, 휴대전화 의존도가 반응 변수일 때 사교육 시간을 제외한 모든 설명 변수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난다.

비구면 Glass렌즈 성형에 미치는 서냉조건 의존성 (Dependence of Annealing Condition on Aspheric Glass Lens Molding)

  • 차두환;안준형;김혜정;김정호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6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Vol.7
    • /
    • pp.469-470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and to find out the optimal annealing condition to mold an aspheric glass to be used for mobile phone module having 2 megapixel and $2.5{\times}$ zoom. Taking annealing rate and re-press temperature after molding as molding variables under the identical molding temperature and pressure, a glass lens was molded. And, Form Accuracy, Lens Thickness, Refractive Index, and Modulation Transfer Function(MTF) were measured in order to observe characteristics of molded lens, and then optimal annealing conditions were determined based on the resulting data. Properties of lens molded under the optimal conditions revealed Form Accuracy[PV] $0.2047\;{\mu}m$ in aspheric surface, and $0.2229\;{\mu}m$ in plane, and MTF value was 30.3 % under 80 lp/mm.

  • PDF

첨단산업의 환경동태성이 공급체인의 결속에 미치는 영향: 유연성과 의존성의 역할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Dynamism on Supply Chain Commitment in the High-tech Industry: The Roles of Flexibility and Dependence)

  • 김상덕;지성구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7권2호
    • /
    • pp.31-54
    • /
    • 2007
  • 첨단산업의 기업들은 환경의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것을 기업 성패에 중요한 요인으로 여기고 있다. 하지만 첨단산업의 환경 동태성이 공급체인 구성원 간 관계 결속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여, 환경 변화에 효과적인 대응을 어렵게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첨단산업에서 환경 동태성이 공급체인의 결속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에 대해 규명하고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첫째, 첨단산업의 고객, 경쟁, 기술 동태성이 공급체인의 결속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둘째, 공급체인의 유연성과 의존성이 이러한 영향에 어떠한 조절효과를 가지는 지 실증하고 있다. 구조방정식 모형에 의한 가설검정 결과 첨단산업의 고객 동태성은 공급체인의 결속을 약화시켰지만 경쟁 동태성은 강화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한편 유연성과 의존성은 고객과 경쟁 동태성에 유의적인 조절 효과를 가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