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ationships between Peer Attachment and Mobile Phone Dependency in Late Adolescence: The Moderating Role of Ego-resilience

후기 청소년기 또래애착과 휴대전화 의존의 관계: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 이주리 (중앙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 송지원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아동청소년학과)
  • Received : 2017.10.15
  • Accepted : 2017.12.10
  • Published : 2017.12.31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role of Ego-Resilience between Peer Attachment and Mobile Phone Dependency in late adolescence.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056 third year high school adolescents (1,041 boys and 1,015 girls) from the Korea Youth Panel Study (KYPS), a national representative of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ce. Hierarchical Regression was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peer attachment, ego-resilience and mobile phone dependency were all significant. Second, ego-resilience takes the role of moderator for mobile phone dependency. In detail, ego-resilience relieves the mobile phone dependency caused by 'peer relationships' or 'conflict in peer relationships. Conclusion/Implications: Ego-resilience was found to control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attachment and mobile phone dependency. Therefore, in order to lower the dependence of mobile phones in adolescents with low peer attachment, a program that can enhance ego-resilience is needed.

Keywords

References

  1. 고순정 (2005). 아동의 애착과 자아탄력성 및 사회성과의 관계. 한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순규 (2006). 빈곤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 발달모형: 보호요인의 부가, 매개, 조절효과 모형을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구세희 (2014). 스마트폰의 애착 형성 요인과 중독 경향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권오형 (2017).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방식이 휴대전화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 한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권지은 (2003). 부모 및 또래 애착, 문제해결방식과 자아탄력성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보연 (2012). 고등학생의 인터넷 게임 중독 및 스마트폰 중독과 수면부족 및 스트레스와의 관계.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송이 (2014). 여중생의 SNS 이용동기가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영경 (2013).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인터넷 중독 및 도박행동과의 관계. 한국청소년연구, 24(1), 127-156.
  9. 김유진, 김영희 (2009). 일상생활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이 아동의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2), 123-142.
  10. 김은영, 임신일 (2014). 스마트폰 과다사용 증상에 대한 청소년들의 인식. 청소년학연구, 21(6), 255-279.
  11. 김정희 (2006). 청소년의 생활스트레스 및 자아탄력성과 인터넷 중독성향과의 관계.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남영옥, 이상준 (2005).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유형에 따른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과 정신건강 비교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7(3), 195-222.
  13. 남지현 (2006).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인터넷 중독의 관계. 청주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노선미 (2015). 청소년의 부모애착 및 또래애착이 스마트폰 과다사용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아시아경제 (2016. 12. 18). 매년 10시간, 수업시간에 스마트폰 중독 예방교육.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6121723004998093에서 2017년 9월 28일 인출
  16. 문수정, 백지숙 (2016). 청소년기 부모애착, 또래애착이 자아탄력성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초기, 중기, 후기 청소년 비교연구. 청소년시설환경, 14(3), 149-160.
  17. 박승민, 송수민 (2010). 청소년의 인터넷 과다사용에 미치는 개인적, 환경적 영향요인 연구. 인간이해, 31(2), 251-266.
  18. 박지영, 김귀애, 홍창희 (2012). 청소년의 휴대전화 중독적 사용과 이용 동기, 또래관계 및 정서적 요인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1(1), 151-169.
  19. 서인균, 이연실 (2016). 청소년기 스마트폰 중독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청소년복지연구, 18(3), 217-241. doi:10.19034/KAYW.2016.18.3.10
  20. 서주현, 유안진 (2001).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과 친구관계의 특성. 아동학회지, 22(4), 149-166.
  21. 서지혜 (2012). 고등학생의 개인, 부모, 또래 및 스마트폰 이용 동기 요인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구조적 관계 분석.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성윤지 (2013). 청소년의 소외감이 스마트폰 과다사용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손은하 (2012). 스마트폰 중독과 예방에 대한 인식 연구: 스마트폰 이용자와의 질적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아영아 (2010). 청소년의 인터넷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인터넷 환경요인의 조절효과. 신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유성경, 심혜원 (2002). 적응 유연한 청소년들의 심리적 보호요소 탐색. 교육심리연구, 16(4), 189-206.
  26. 유성경, 홍세희, 최보윤 (2004). 가정의 위험요소와 적응의 관계에서 자아 탄력성, 애착, 실존적 영성의 매개 효과 검증. 교육심리연구, 18(1), 393-408.
  27. 윤두연 (2005). 청소년의 또래집단 성향이 휴대폰 사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윤명숙, 이재경 (2010). 부모애착이 초기 청소년 우울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분석. 사회과학연구, 26(2), 69-92.
  29. 이만제, 장해순 (2009). 대인불안, 외로움, 소외감이 대학생의 휴대전화 중독성향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6(11), 71-96.
  30. 이수하 (2005). 부모애착 및 또래애착과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이원희, 조아미 (2007). 청소년 집단 간 규범적 비행 (흡연과 음주),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의 차이. 청소년복지연구, 9(1), 17-37.
  32. 이하늘, 이숙 (2010). 중학생의 휴대폰 사용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한국부모놀이치료학회지, 1, 63-88.
  33. 이혜선, 강차연 (2007). 중학생의 휴대폰 과다사용과 애착 및 행동문제와의 관계. 학생생활연구, 20, 79-95.
  34. 장익진 (2016). 고등학생들의 스마트폰, 라이프스타일, 그리고 학업성취도. 교사교육연구, 55(3), 409-426.
  35. 장혜진 (2002). 휴대전화 중독적 사용집단 청소년들의 심리적 특성: 자기개념, 애착, 자기통제력, 충동성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장휘숙 (1997). 청년기의 애착과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의 관계. 인간발달연구, 4, 88-106.
  37. 전원희, 조명주 (2016).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6), 739-747. doi:10.5392/JKCA.2016.16.06.739
  38. 정경아, 김봉환 (2014). 고등학교 남학생들의 자아탄력성이 스마트폰 사용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1(11), 55-74.
  39. 정용찬 (2015). 스마트폰 보급 확산과 세대간 미디어 이용 특징 변화. KISDI STAT Report, 15(1), 1-8.
  40. 조윤숙, 이경님 (2010). 청소년의 소외감, 우울과 가족환경 및 학교생활 부적응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8(8), 27-37.
  41. 조현영 (2009). 청소년 (중학생, 고등학생)의 부모애착과 대인불안 간의 관계: 또래애착의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주석진 (2011). 청소년이 지각한 학업 및 부모관련 스트레스와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에서 탄력성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검증. 청소년학연구, 18(11), 61-83.
  43. 차미숙 (2006). 외로움이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 위험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중재 요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차은진, 김경호 (2015). 중학생의 또래애착이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44, 79-108. doi:10.17997/SWRY.44.1.4
  45. 이유미 (2017. 4. 30). 청소년, 스마트폰 하루 사용량 5시간…부모세대와 큰 차이 없어. 이데일리. http://www.edaily.co.kr/news/news_detail.asp?newsId=02102486615901368&mediaCodeNo=257&OutLnkChk=Y에서 2017년 8월 29일 인출
  46. 최연실, 최혜진, 안연주 (2011). 부모양육태도, 자기통제력 및 또래관계가 청소년의 인터넷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5(4), 113-133.
  47. 한미현, 유안진 (1996). 아동의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 지각의 행동문제. 아동학회지, 17(1), 173-188.
  48. 한희진, 윤미선 (2009). 청소년의 휴대폰 과다사용에 대한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의 영향력. 교육문제연구, 34, 81-100.
  49. 허지혜 (2013). 청소년의 친구관계와 자아존중감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0. Aiken, L. S., West, S. G., & Reno, R. R. (1991). Multiple regression: Testing and interpreting interactions. Newbury Park: Sage.
  51. Armsden, G. C., & Greenberg, M. T. (1987).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ir relationship to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6(5), 427-454. doi:10.1007/BF02202939.
  52. Block, J. H., & Block, J. (1980). The role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y in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In Development of cognition, affect, and social relations: The Minnesota Symposia on Child Psychology, 13, 39-101.
  53. Block, J., & Kremen, A. M. (1996).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2), 349. https://doi.org/10.1037/0022-3514.70.2.349
  54. Garmezy, N., & Streitman, S. (1974). Children at risk: The search for the antecedents of schizophrenia: I. Conceptual models and research methods. Schizophrenia Bulletin, 1(8), 14-90. https://doi.org/10.1093/schbul/1.8.14
  55. Kline, R. B. (2005). Methodology in the social sciences: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Y: Guilford Press.
  56. Laible, D. (2007). Attachment with parents and peers in late adolescence: Links with emotional competence and social behavior.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3(5), 1185-1197. doi:10.1016/j.paid.2007.03.010
  57. Lu, X., Watanabe, J., Liu, Q., Uji, M., Shono, M., & Kitamura, T. (2011). Internet and mobile phone text-messaging dependency: Factor structure and correlation with dysphoric mood among Japanese adult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7(5), 1702-1709. doi:10.1016/j.chb.2011.02.009
  58. Luthar, S. S. (1991). Vulnerability and resilience: A study of high-risk adolescents. Child Development, 62(3), 600-616. doi:10.2307/1131134
  59. Masten, A. S., Best, K. M., & Garmezy, N. (1990). Resilience and development: Contributions from the study of children who overcome adversity.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2(4), 425-444. doi:10.1017/S0954579400005812
  60. Shaffer, H. J. (1996). Understanding the means and objects of addiction: Technology, the internet, and gambling. Journal of Gambling Studies, 12(4), 461-469. doi:10.1007/BF01539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