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lan-a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8초

Inhibitory effect of Korean Red Ginseng on melanocyte proliferation and its possible implication in GM-CSF mediated signaling

  • Oh, Chang Taek;Park, Jong Il;Jung, Yi Ra;Joo, Yeon Ah;Shin, Dong Ha;Cho, Hyoung Joo;Ahn, Soo Mi;Lim, Young-Ho;Park, Chae Kyu;Hwang, Jae Su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7권4호
    • /
    • pp.389-400
    • /
    • 2013
  • Korean Red Ginseng (KRG) has been reported to exert anticancer,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However, there has been no report on the effect of KRG on skin pigmenta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nhibitory effect of KRG on melanocyte proliferation. KRG extract (KRGE) at different concentrations had no effect on melanin synthesis in melan-A melanocytes. Saponin of KRG (SKRG) inhibited melanin content to 80% of the control at 100 ppm. Keratinocyte-derived factors induced by UV-irradiation were reported to stimulate melanogenesis, differentiation, proliferation, and dendrite formation. In this study, treatment of melan-A melanocytes with conditioned media from UV-irradiated SP-1 keratinocytes increased melanocyte proliferation. When UV-irradiated SP-1 keratinocytes were treated with KRGE or SKRG, the increase of melanocyte proliferation by the conditioned media was blocked. Granulocyte-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GM-CSF) was produced and released from UV-irradiated keratinocytes. This factor has been reported to be involved in regulating the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epidermal melanocytes. In this study, GM-CSF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SP-1 keratinocytes by UVB irradiation ($30mJ/cm^2$), and the proliferation of melan-A melanocytes increased significantly by GM-CSF treatment. In addition, the proliferative effect of keratinocyte-conditioned media on melan-A melanocytes was blocked by anti-GM-CSF treatment. KRGE or SKRG treatment decreased the expression of GM-CSF in SP-1 keratinocytes induced by UVB irradiation.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UV irradiation induced GM-CSF expression in keratinocytes and KRGE or SKRG inhibited its expression. Therefore, KRG could be a good candidate for regulating UV-induced melanocyte proliferation.

인삼의 부위별 페놀성 성분 함량 및 멜라닌 생성억제효과 (Quantitative Analysis of Phenolic Compounds in Different parts of Panax ginseng C.A. Meyer and Its Inhibitory Effect on Melanin Biosynthesis)

  • 황은영;최상윤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48-152
    • /
    • 2006
  • 국내산 인삼의 부위별 quercetin, p-coumaric acid, maltol, esculetin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잎에서는 quercetin과 esculetin이 주근에서는 p-coumaric acid가 다량 함유되어 있었다. 이중잎의 EA 분획물은 melan-a 세포주에서 뛰어난 멜라닌 생성억제 활성을 보였으며, 이의 주요성분인 quercetin과 esculetin이 tyrosinase 활성억제도, melan-a 세포주에서의 멜라닌 생성억제도, UV-흡수도 측정에서 모두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는 결과로 미루어 인삼의 잎은 피부미백을 목적으로 하는 기능성 소재로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Inhibitory Effect of Dalbergioidin Isolated from the Trunk of Lespedeza cyrtobotrya on Melanin Biosynthesis

  • Baek, Seung-Hwa;Kim, Jin-Hee;Kim, Dong-Hyun;Lee, Chan-Yong;Kim, Ji-Young;Chung, Dae-Kyun;Lee, Choong-Hw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5호
    • /
    • pp.874-879
    • /
    • 2008
  • Tyrosinase is a key enzyme for melanin biosynthesis, and hyperpigmentation disorders are associated with abnormal accumulation of melanin pigments, which can be reduced by treatment with depigmenting agents. The methanol extract of Lespedeza cyrtobotrya $M_{IQ}$ showed inhibitory activity against mushroom tyrosinase. The active compound was purified from the methanol extract of L. cyrtobotrya, followed by several chromatographic methods, and identified as dalbergioidin (DBG) by spectroscopic methods. The results showed that DBG exhibite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with an $IC_{50}$ of $20\;{\mu}M$. The kinetic analysis of tyrosinase inhibition revealed that DBG acted as a noncompetitive inhibitor. In addition, DBG showed a melanin biosynthesis inhibition zone in the culture plate of Streptomyces bikiniensis that has commonly been used as an indicator organism. Furthermore, $27\;{\mu}M$ DBG decreased more than 50% of melanin contents on the pigmentation using the immortalized mouse melanocyte, melan-a cell.

송이버섯 배양 균사체의 멜라닌 생성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s of Cultured Tricholoma matsutake Mycelia on Melanin Biosynthesis)

  • 최상윤;김나나;김영언;이연미;김순정;김재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40-242
    • /
    • 2011
  • 액체배양한 송이버섯 균사체와 배양액의 tyrosianse 억제활성과 melanocyte에서의 세포독성 및 멜라닌 생성억제효과를 검정한 결과 배양액 농축물은 큰 효과가 없었으나 송이버섯 균사체 추출물은 100 ppm에서 38.6%의 tyrosianse 억제활성을 나타내었을 뿐만 아니라 melan-a 세포에서 세포독성 없이 세포생존율 대비 19%의 멜라닌 생성량을 감소시켰다. 따라서 배양된 송이버섯균사체는 피부색소조절을 위한 소재로써 사용되어질 수 있는 큰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된다.

C57BL/6 마우스의 등에 시행한 자가 전층피부이식편을 이용한 색소침착 동물모델 (Animal Skin Pigmentation Model Using Full Thickness Skin Graft in C57BL/6 Mouse)

  • 이홍기;박종림;허은주;김석화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8권6호
    • /
    • pp.725-732
    • /
    • 2011
  • Purpose: Skin grafting is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methods in reconstructive plastic surgery field, but complications such as color change, contracture or hypertrophy are common problems. However, pathophysiology of the color change after skin graft is not yet determined and no animal model is established. Methods: Full thickness skin grafts were performed on the dorsum of C57BL/6 mice. Serial chronological gross inspection for color change and pigmentation were examined. Melanin pigments were traced by Fontana-Masson staining and semi-quant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In addition,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of S-100, Micropthalmia rel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and Melan-A antibodies were also performed to observe melanocytes and their changes. Results: After skin graft, color change and pigment spots were observed in the graft. Fontana-Masson staining showed melanin pigments in the epidermal and dermal layers in all mice. Immunohistochemistry staining to S-100, MITF, Melan-A antibodies showed melanocytes at the basal layer of epidermis and dermis. Conclusion: In conclusion, we have established an animal model for skin pigmentation after skin graft. We believe this study may be useful in understanding of the behavior of melanocytes after skin graft.

물푸레나무로부터 분리된 Esculetin와 Esculin의 미백 효능 (Depigmenting Effects of Esculetin and Esculin Isolated from Fraxinus rhynchophyllaHance)

  • 홍용덕;남미희;이창석;신송석;박영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89-94
    • /
    • 2014
  • 물푸레나무 수피 추출물은 주요 생활성 물질로서 esculetin과 esculin을 포함하고 있다. 이 가운데, Esculetin은 B16F10 melanoma cells에서 $IC_{50}$ value $2.8{\mu}M$의 아주 좋은 melanogenesis 억제 활성을 나타내며, 이를 통해 Melan-A cell에서 melanin 합성을 감소시킨다. 더욱이, esculetin은 mushroom tyrosinase에서도 $IC_{50}$ value $40{\mu}M$의 억제 활성을 나타내어 melanin biosynthesis를 저해한다. 위의 결과들로서, 우리는 melanogenic enzyme 활성 조절에 의해 melanin 생성을 저해하는 효과적인 피부미백 물질로서 esculetin을 제안하고자 한다.

남극 지의류 Ramalina terebrata로부터 분리된 라말린의 미백효과 (Inhibition of Melanogenesis by Ramalin from the Antarctic Lichen Ramalina terebrata)

  • 장윤희;류종성;이상화;박선규;하리 다타 바타라이;임정한;진무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47-254
    • /
    • 2012
  • 남극 지의류인 Ramalina terebrata에서 분리 정제된 라말린(${\gamma}$-glutamyl-N'-(2-hydroxyphenyl)hydrazide)은 이전 연구에서 강력한 항산화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라말린의 추가적인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비암세포 세포주인 멜란에이 세포를 이용하여 라말린의 멜라닌 합성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라말린은 세포 독성이 없는 농도에서, 멜란에이 세포에서 멜라닌 합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으며, 이러한 효과는 널리 사용되고 있는 미백제인 알부틴보다 우수하였다. 라말린은 무세포 타이로시네이즈의 활성을 직접 저해했을 뿐만 아니라, 세포 내의 타이로시네이즈의 활성도 저해하는 효과를 보였다. 라말린의 이러한 멜라닌 합성 저해의 기전 연구를 위하여, 멜라닌 합성에 중요한 단백질인 타이로시네이즈, TRP-1, TRP-2의 mRNA와 단백질 발현을 조사한 결과, mRNA양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단백질의 발현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0.2 % 라말린을 포함한 제형을 사람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3주 후에 피부 밝기가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라말린은 타이로시네이즈의 직접적인 저해뿐만 아니라 멜라닌 합성과 관련된 단백질의 발현을 저해함으로써 미백효과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효과를 인체시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따라서, 라말린은 멜라닌 합성을 저해하는 미백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제주도 자생 노루참나물 (Pimpinella komarovii)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멜라닌 억제 효과 (Antioxidant Effects and Melanin Inhibitory Effect of Natural Pimpinella komarovii Extracts in Jeju Island)

  • 강민철;이주엽;이정아;한종헌;김봉석;김기옥
    • KSBB Journal
    • /
    • 제23권1호
    • /
    • pp.77-82
    • /
    • 2008
  • 본 연구는 제주도의 자생식물인 노루참나물 (Pimpinella komarovii)의 산업적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에탄올 추출물 및 순차적 용매분획물을 얻어 항산화 활성 및 항염증 효과를 검색하고자 하였으며, 마우스 유래의 melan-a 세포에 처리하여 멜라닌 생합성 및 tyrosinas 억제활성을 통하여 유용자원으로서 미백 및 기능성 화장료로 활용가능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노루참나물 에탄올 추출물은 높은 항산화 활성 (DPPH 소거활성 $IC_{50}$ 값, $231.8{\mu}g/m{\ell}$ ; superoxide 소거 활성 및 xanthine oxidase 억제 활성 $IC_{50}$ 값, 각각 $23.6{\mu}g/m{\ell},\;587.8{\mu}g/m{\ell}$)을 나타내었으며, 순차적 분획물 중에서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멜라닌 생성 세포인 melan-a 세포에서 노루참나물 에탄올 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tyrosinase와 멜라닌 합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또한 LPS로 자극한 RAW 264.7 세포에서 노루참나물의 헥산 분획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가장 높은 NO생성 억제 활성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노루참나물 추출물이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미백 관련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가치가 있음을 보여준다.

미역쇠(Endarachne binghamiae)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Endarachne binghamiae Extract on Melanin Synthesis)

  • 전영식;정유정;염종경;김용기;김수남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26-53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동해안에서 채집된 88종의 해조류에 대하여 미백제로서 응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멜라닌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in vitro 실험을 통해 알아보았다. Melan-a 세포에 해조류 추출물을 처리하여 멜라닌 양을 측정한 결과, 고리매, 미역쇠, 왜모자반, 감태, 톳추출물에서 멜라닌 생성이 감소되었으며, 특히 미역쇠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가장 유효하게 농도의존적으로 멜라닌 생성이 감소되었다.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가 tyrosinase 활성 저해와 관련 있는지를 확인한 결과, 약한 활성을 가지지만 직접 작용하여 활성을 저해하지는 않으면서, 세포 내의 tyrosinase 활성을 농도의존적으로 저해하였다. 이는 세포 내 tyrosinase 활성저해가 직접적이 아닌 다른 기전에 의해 일어난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 기전 중의 하나인 ${\alpha}$-glucosidase활성을 측정한 결과 농도의존적으로 활성을 저해하였으며, 세포 내 tyrosinase 활성 저해와 높은 상관도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즉 미역쇠추출물은 N-linked glycoprotein인 tyrosinase의 glycosylation을 억제하여 tyrosinase의 세포 내 이동이나 활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미역쇠추출물은 피부 미백에 유효한 활성을 나타내는 천연 유용자원으로 활용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