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c A gene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3초

부산지역 환자로부터 분리된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MRSA)의 응고효소형 및 항균제 내성에 관한 연구 (Coagulase Thping and Antibiotic Resistance of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Isolated form Patients in Pusan)

  • 류지한;이훈구
    • 미생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16-220
    • /
    • 2000
  • 부산시 동아대학병원으로 내원한 83명의 환자 가건물로부터 methcillin 내성 Stphylococcus aureus(MRSA) 88 균주를 분리하고 응고 효소의 유형별 분석과 다약제 내성의 상호 관계를 연구하였다. 농(64.7%), 객담(26.2%), 기타 혈액, 장액 및 뇨로부터 균주가 분리되었고 mec A 유전자에 특이적인 primer 5'-AAAATCGATGGTAAAGGTT-GGC-3'와 5'-AGTTCTGCAGTACCGGATTTGC3'를 사용하여 PCR을 한결과 86균주에서 mec 유전자가 확인되었다. 응고효소형은 제 III형이 50%m IV형이 12.5%, III형이 6.8%, I, VII, VIII형이 4.5%로 제 II형이 가장 많았으며 제 V형은 전혀 분리되지 않았다. 응고효소형의 병동별 분포는 일반외과에서 제 II형이, 이비인후과 외래에서는 제 IV형이 우점종으로 분리되었다. 항균제 감수성 시험결과, vancomycin과 teicoplanin에서 전균주가 감수성을 나타내었었고 penionillin, cephalothin, erythromycin, gentamycin, imipenem, clindamycin, ciprofloxacin과 oxacillin등 8가지의 항균제에 대하여 동시내성을 나타낸 균주가 71주 (81%)였다. 항균제 내성과 응고효소형과의 상관관계는 없었다.

  • PDF

Molecular Characteristics and Exotoxins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 Bae, Jinyoung;Jin, Hyunwoo;Kim, Jungho;Park, Min;Lee, Jiyoung;Kim, Sunghyun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95-207
    • /
    • 2021
  •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is a bacterial pathogen capable of causing human diseases, such as soft tissue infection, bacteremia, endocarditis, toxic shock syndrome, pneumonia, and sepsis. Although the incidence rate of diseases caused by MRSA has declined in recent years, these diseases still pose a clinical threat due to their consistently high morbidity and mortality rates. However, the role of virulence factors in staphylococcal infections remains incompletely understood. Methicillin resistance, which confers resistance to all β-lactam antibiotics in cellular islets, is mediated by the mecA gene in the staphylococcal cassette chromosome mec (SCCmec). Differences in SCCmec types and differences in their sizes and structures serve epidemiological purposes and are used to differentiate between hospital-associated (HA)-MRSA and community-associated (CA)-MRSA. Some virulence factors of S. aureus are also providing a distinction between HA-MRSA and CA-MRSA. These factors vary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toxins, adhesion, immune evasion, and other virulence determinants. In this review, we summarized an overview of MRSA such as resistance mechanisms, SCCmec types, HA- and CA-MRSA, and virulence factors that enhance pathogenicity or MRSA epidemiology, transmission, and genetic diversity.

지역사회 내 일반인 및 동물에서 methicillin 내성 Staphylococcus aureus의 유전학적 특성 (Genetic characterization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from humans and animals within the community)

  • 조재근;김진현;성명숙;김기석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267-275
    • /
    • 2011
  •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S.) aureus (MRSA)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nosocomial pathogens worldwide and the emergence of this strain has become a major clinical problem.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revalence of MRSA and their genetic characteristics in 69 S. aureus isolated from humans and animals. In human isolates, higher antimicrobial resistance rates were observed against penicillin (80.6%), followed by erythromycin (11.9%) and tetracycline (9.0%). All of them were susceptible to clindamycin, enrofloxacin, novobiocin, pirlimycin,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and vancomycin. The resistance patterns in animal isolates were similar to those of human isolates. Two (2.9%) MRSA strains were isolated from human (n = 1) and animal (n = 1), and these isolates were confirmed as carrying the mecA gene. One isolate originating from human was resistant to 7 drugs and the other isolate derived from animal was resistant to 11 drugs. Staphylococcal cassette chromosome mec (SCCmec) variant IIIB was identified in animal isolate but SCCmec type of an isolate from human was not exactly determined. Two MRSA isolates showed unrelated PFGE pattern between them. Our results indicated although the frequency of MRSA isolates from humans and animals was low, a continuous surveillance and monitoring should be called for to prevent the contamination and spread of MRSA in the community.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time that SCCmec type variant IIIB was detected from animals in Korea.

Methicillin 내성 Staphylococcus aureus의 검출을 위한 분자유전학적 기법에 관한 연구 (Comparison between Dot Blot Hybridization and Southern Blot Hybridization in Detecting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 조태흠;김민정;오양효
    • 생명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58-367
    • /
    • 1999
  • Thirty strains of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were obtained from the clinical isolat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ursuit of the pathogens of nosocomial infection, these strains were studied for antibiotic sensitivity as well as its resistant pattern. Among the methods of hybridization which directly confirm the specific antibiotic resistant genes by means of the recently developed specific probe DNA, dot blot hybridization and southern blot hybridization were performed and these two methods were compared in their sensitivity and specificity. Strains that is sensitive to cephalothin to the subject of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were in 43%. Those that are sensitive to cefoperazone and cefuroxime were 26% and 23%, respectively. In case of MIC, MIC50 of cefoperazone was 8 $\mu\textrm{g}$/$m\ell$, and MIC90 was 128 $\mu\textrm{g}$/$m\ell$ to be the lowest. As the results of plasmid DNA electrophoresis, most of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strains had more than 4 plasmids. These plasmids digested by BamHI,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s distributed as 10 fragments with the size of 65 kb to 1.5 kb. Dot blot hybridization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existence of mecA gene to show the detection rate of 50%. Southern blot hybridization were done to see if DNA bands which amplify the activity of digoxigenium-labeled probe by PCR were actually PCR products of mecA gene and it showed the detection rate of 53%.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southern blot hybridization seemed to be better in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hen it is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dot blot hybridization.

  • PDF

감초 추출물이 항생제 내성균주의 항균활성에 미치는 영향 (Antimicrobial Effect of Extract of Glycyrrhiza uralensis on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 이지원;지영주;유미희;임효권;황보미향;이인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456-46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최근 전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항생제 내성균에 대해 그 항균효과를 천연의 약용식물을 이용하여 분자생물학적 수준에서 비교해보고 천연항균제의 개발에 우선하여 직접 식품에 첨가하여 그 효과를 검색하고자 하였다. 병원내감염의 주된 원인균으로 알려진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aureus)은 여러 항균제에 대하여 내성을 획득함으로써 질병의 치료를 어렵게 한다는 점에서 매우 심각한 문제이다. 이러한 내성균은 다양한 방법으로 동 식물에 빠르게 전파되고 있으므로 소비자가 내성균을 지닌 식품을 섭취해 잠재적인 내성균을 보유하게 되는 결과를 낳게 된다. 이러한 항생제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 Resistant S. aureus, MRSA)에 대해 천연 약용 식물 중 우수한 항균력을 가지는 감초를 순차 분획하여 각 분획물을 이용한 MRSA에 대한 항균 활성을 알아본 결과 hexane, chloroform 분획물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냈으며, 동일농도의 생육저해비교 실험에서 대부분의 내성균주에 대해 대조군과 유사한 효과를 나타낸 penicillin에 비해 감초분획물이 대수기를 넘는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 중 chloroform 분획물이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RT-PCR을 통하여 표준균주와 내성균주의 내성 정도와 내성 유전자를 관찰해본 결과 KCCM 40510은 내성획득유전자인 mecA, mecRI, mecI, femA에 발현이 높게 나타나 고도내성균임을 알 수 있었으며, 고도내성을 나타내는 균주를 이용하여 감초의 chloroform 분획물을 농도별로($50,\;100,\;250\;{\mu}/mL$) 처리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유전자 발현이 억제됨을 볼 수 있었다. 특히 고도내성균주인 KCCM 40510은 메티실린 내성을 상승시키는 mecA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시키는 mecRI 유전자의 pathway와 상응하는 것으로 보여지므로 감초가 이러한 고도내성균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SEM을 통한 형태학적 관찰을 통해 분획물 처리 시 세포벽이 파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이러한 감초추출물을 직접 식품에 첨가하여 내성 균주에 대한 억제 효과도 확인한 결과 추출물 200mg/100mL 농도에서 포도상구균에 대해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었다.

Complete Genome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pseudintermedius Z0118SP0130 Isolated from a Companion Dog

  • Haeseong Lee;Jae-Young Oh;Jong-Chan Chae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542-544
    • /
    • 2023
  •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pseudintermedius Z0118SP0130 was isolated from eye specimen of a companion dog in South Korea. The complete genome of Z0118SP0130 consisted of a 2,663,277 bp chromosome and there was no plasmid. The strain was identified as the sequence type 45 and contained a mecA gene which comprised of staphylococcal cassette chromosome mec type Vb (5C2&5). Antimicrobial resistance to erythromycin, clindamycin, quinupristin-dalfopristin,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mupirocin, oxacillin, streptomycin, and gentamicin was observed in the strain.

부산지역 치과환경에서 분리된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 Isolates from Dental Clinic Environments in Busan, Korea)

  • 정혜인;정소영;박인달;배일권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20-225
    • /
    • 2016
  • 본 연구는 치과 병의원 진료실 주변환경과 치과종사자의 휴대전화에서 분리된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 (CNS)의 분리율과 항균제 내성양상 및 분자 역학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2014년 12월부터 2015년 1월까지 부산지역 10개의 치과 병의원에서 총 154개의 샘플을 수집하여 MALDI-TOF분석법을 통해 동정하였다. 항균제 감수성검사는 디스크 확산법을 시행하였고 mupA, mecA 유전자 보유현황 및 SCCmec type은 PCR과 염기 서열분석에 의해 결정하였다. 154개의 샘플 중 10개(6.5%)에서 CNS 균주(Staphylococcus epidermidis 5주, Staphylococcus capitis 2주, Staphylococcus warneri 2주, Staphylococcus haemolyticus 1주) 가 분리되었다. 항균제 감수성검사에서 penicillin 10주, mupirocin 6주, gentamicin 5주, tetracycline 3주 및 cefoxitin과 erythromycin 2주가 내성이었고 clindamycin, ciprofloxacin, teicoplanin, trimethoprim-sulfamethoxazole에 내성인 세균은 없었다. 2개의 CNS균주(S. warneri, S. haemlyticus)에서 mecA 유전자가 검출되었고 1개의 CNS균주(S. epidermidis)에서 mupA가 확인되었다. Methicillin 내성 CNS균주 가운데 1주는 SCCmec I형이었고 1균주는 SCCmec의 유전형이 구분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약제 내성을 보이는 CNS균주가 더 이상 우리나라 치과병의원 환경에서 드물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충남지역 종합병원 중환자실 환경과 환자로부터 분리한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MRSA)의 분자유전학적 특성 (Molecular Genetic Characteristics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Patients and Environment of General Hospital Intensive Care Unit in a Chungnam Province, Korea)

  • 김혜숙;박성배;김상하;김성현;현성희;김영권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10-11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2017년 6월부터 7월까지 국내 충남 소재 2차 의료기관의 임상검체에서 분리 된 20개 균주와 ICU환경으로부터 분리 한 4개를 포함해 총 24개의 MRSA 균주에 대한 분자유전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SCCmec typing과 mec complex typing을 수행하였다. 임상검체에서 분리된 MRSA 20균주의 SCCmec typing 분석 결과 SCCmec type II가 8건, type IVa가 1건, Not-typeable이 11건으로 나타났다. 의료기관 중환자실 환경에서 분리 된 MRSA 중 한 균주는 mecA 유전자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나머지 세 균주는 SCCmec type II, III, IVa가 각각 한 건으로 나타났다. 임상검체와 중환자실 환경검체에서 분리된 MRSA는 SCCmec typing 결과 그 기원이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나, 의료기관 환경에서 분리된 1건의 경우 그 기원이 서로 일치하여 의료종사자의 손, 가운 등을 매개체로 하여 환경내의 MRSA가 환자에게 전파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좀 더 많은 수의 병원감염 관련 균주를 대상으로 추적조사를 실시 한다면 임상 현장에 감염관리와 관련한 더욱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세균성 피부염 개에서 분리된 Staphylococcus pseudintermedius에서 항생제 감수성 검사와 내성 유전자 획득의 비교 (Comparison of Harboring the Resistance Gene and Disc Diffusion Susceptibility Test Result in Staphylococcus pseudintermedius from the Bacterial Dermatitis)

  • 장혜진;손형원;강효민;한재익;나기정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58-161
    • /
    • 2015
  • 세균성 피부염은 항생제 치료가 필요한 흔한 질환이다. 최근 항생제 내성 세균이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개 피부염 병변에서 분리한 S. pseudintermedius의 항생제 내성 유전자 발현을 조사하고, 이를 디스크 감수성 시험결과와 비교하였다. 총 7개의 S. pseudintermedius 균주가 연구에 포함되었다. 세균 동정은 16S rDNA 염기 서열 분석으로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분리한 S. pseudintermedius 모두가 1개 이상의 항생제 내성유전자(mecA, blaZ and aac[6']/aph[2"])를 보유하였다. 전체 분리균주가 blaZ 유전자에 양성을 보였으나, 두 개 균주만이 amoxicillin/clavulanate에 내성을 나타냈다. Gentamicin 내성을 나타낸 5개 균주 중, 1개는 aac(6')/aph(2") 유전자에 대한 PCR 검사에서 음성을 나타냈다. 이 결과는 내성 유전자 검출 PCR 기법과 디스크 감수성 시험 기법이 항생제 내성을 검사하는 데에 있어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가짐을 제시한다.

우유에서 분리된 포도상구균속 세균의 항생제 감수성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Staphylococci sp. Isolated from Bovine Milk)

  • 김지훈;고문주;김가희;이승훈;최성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41-34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우유 시료에서 포도상구균속 세균을 분리하고 각 균종을 동정하고 항생제 감수성을 검사하였다. 2009년 1월부터 2009년 10월까지 경기 북부지역 15개 축산 농가에서 287개의 우유 시료를 수집하여 총 79개의 포도상구균속 세균을 분리 동정하였다. 가장 우세한 비율로 분포하는 세균은 S. aurues (43.03%)였으며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i (CNS) 중에서는 S. chromogenes (24.05%)가 가장 우세하게 분포하였다. 9종의 항생제에(ampicillin, chloramphenicol, ciprofloxacin, erythromycin, gentamicin, oxacillin, teicoplanin, tetracyclin, vancomycin) 대한 감수성 검사를 실시한 결과 대다수의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 비율이 높았으나 ampicillin (56.96%)과 oxacillin (39.23%)에 대한 내성 균주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31종의 oxacillin 저항성균주 중 8개의 균주가 methicillin 내성에 관여하는 mecA 유전자를 보유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