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검색결과 184건 처리시간 0.025초

수학 영재 학생들의 문제 만들기에 대한 연구 (Examining the Problem Making by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 나귀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9권1호
    • /
    • pp.77-9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19명의 중학교 2학년 수학 영재 학생들의 문제 만들기의 특징을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선행 연구에서 제안된 분석 틀을 중심으로 영재 학생들의 문제 만들기에서 나타난 확장성과 정교성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영재 학생들이 문제 만들기에서 변경한 조건들을 상세하게 분석하여 영재 학생들의 문제 만들기를 '수평적 문제 만들기'와 '수직적 문제 만들기' 및 하위 범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중학교 영재 학생들의 수학 문제 만들기는 확장성과 정교성의 측면에서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재 학생들은 새로운 문제를 만들 때 원래 문제보다 복잡성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문제를 만들며, 원래 문재에 제시된 조건들을 개별적으로는 고려하지만 종합적으로는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 영재의 문제만들기: 사례 연구 (Problem Posing by Mathematically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A Case Study)

  • 백대현;이진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2권3호
    • /
    • pp.259-271
    • /
    • 2010
  • 중학교 1학년 수학 영재의 문제만들기 활동에 관한 본 연구의 전반적인 두 가지 목적은 문제만들기 활동을 위하여 나눗셈 정리와 관련하여 소재로 제시한 문제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고 구체적인 해결 방법과 관련된 문제를 만드는데 나타난 접근 방법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수학 영재가 만든 문제를 '정형적인' 문제와 '비정형적인' 문제로 구분하고 나눗셈 정리와 관련하여 제시한 3단계 수준의 문제와 결합하여 모두 6가지 문제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문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영재의 문제 만들기 활동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페르마 점'을 활용한 중학교 수학 영재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 - learning materials for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by using Fermat Point -)

  • 윤준호;윤종국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0권3호
    • /
    • pp.335-35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페르마 점'을 활용하여 중학교 일선에서 영재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영재 담당 교사들을 위한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그 적용 사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먼저 영재 교수 학습 모형, 영재프로그램의 유형에 관한 문헌을 고찰한 후 교수 학습 자료의 소재 및 주제로 페르마 점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자료를 현장에 적용한 후 수업에 대한 피드백을 통해 자료를 수정 보완하였으며 이를 현장에 적용하였을 때 나타나는 학생들의 수학적 사고과정을 분석하였다.

수학영재의 심화학습을 위한 이항계수 연구 (A Study on Binomial Coefficient as an Enriched Learning Topic for the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 윤마병;전영주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291-308
    • /
    • 2016
  • 본 연구는 수학영재의 심화학습을 위한 주제로 사용해 볼 수 있는 이항계수의 정의와 성질을 탐구하고, 이로부터 수학적 귀납법, 이항정리, 조합의 정의, 도로망 상황 모델 등을 이용한 이항계수가 포함된 등식의 문제해결방법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내용들이 수학영재 학생들에게는 충분히 탐구의 대상이 될 수 있어 수학영재 교육의 심화학습 주제로 적절하게 다루어질 수 있다는 것과, 수학의 깊은 의미를 경험할 수 있는 학습주제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학생들에게 지도한 예시로 소개한다.

Using Spreadsheets with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 Arganbright Deane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0권1호
    • /
    • pp.33-47
    • /
    • 2006
  • Finding good ways to support the further development of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is a challenge for all mathematics educators. Simply moving able students on more rapidly to the next level of traditional mathematical instruction seems to be a limited approach, while providing supplementary enrichment material or specialized mathematical software requires us to ensure that doing so is truly worthwhile for the students. This paper presents an approach that the author has used with students of diverse capabilities in both technologically advanced and developing nations investigating mathematical ideas using a spreadsheet.

  • PDF

중등 수학영재들의 도덕 판단 능력 분석 (An Analysis of Ethical Judgement Ability of the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in Middle School)

  • 문병태;송상헌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1권3호
    • /
    • pp.279-294
    • /
    • 2011
  • 본 연구는 중등 영재학급 학생들 중 수학영재들의 도덕 판단 능력 수준을 확인하고 수학적 행동 특성 중에서 어떠한 요인이 도덕 판단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학적 행동 특성 검사와 도덕 판단 능력 검사의 실시 결과를 바탕으로 SPSS 12.0을 사용하여 이 둘 간의 상관 분석과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KDIT 점수가 가장 높은 학생을 대상으로 면담을 통하여 양적 실험 결과를 뒷받침하는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학생과의 면담은 구조화된 질문지를 통하여 어떤 수학적 행동특성 요인이 자신의 도덕 판단 능력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았다.

  • PDF

초등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수학자 이미지에 대한 인식 비교 (Comparison of Perception Differences about Stereotype of a Mathematician between the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and Non-gifte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 김현정;류성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7권1호
    • /
    • pp.17-40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초등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수학에 대한 태도와 수학자에 대한 인식을 조사 비교하여 수학 교과 및 수학자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한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조사 결과 초등수학영재가 일반학생보다 수학자에 대해 좀 더 많이 알고 있었지만 미래에 수학자가 되고 싶은지에 대한 질문에는 적극적이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수학자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였고, 특히 국내 수학자에 대한 인식이 많이 부족하였다. 따라서 학생들의 수학자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도록 교육과정 상 학생들이 수학과 수학자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기 위한 정서적 처치와 관련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An Enrichment Program for the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in First Grade

  • Lee, Kang-Sup;Hwang, Dong-Jou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8권3호
    • /
    • pp.203-213
    • /
    • 2004
  • We developed an enrichment program material for the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in the first grade. The contents were selected and organized based on creative competency improving, increasing of interest, inquiry various activity,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and the enrichment contents from modern mathematics.

  • PDF

초등수학 영재교육원 학생들의 프랙탈 구성 방법 분석 (A Case Study of Constructions on Fractals of the Mathematically Gifted)

  • 김상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9권2호
    • /
    • pp.341-354
    • /
    • 2009
  • 본 논문은 영재교육원 초등수학분야 6학년 수업 시간에 진행되었던 프랙탈 활동을 중심으로 그에 따른 학생들이 보여준 프랙탈 구성 방법에 대한 사례연구이다. 첫째로, 프랙탈 카드, 색칠 규칙, 점종이를 활용하여 프랙탈 구성 규칙 만들기, 자연물을 프랙탈 구성 규칙으로 표현하기의 구성 활동 과정을 밝히고, 둘째로 초등수학 영재원의 5명 학생이 보여준 변형 과정을 분석하였다. 학생들은 프랙탈 구성 과정에서 기본 규칙의 높은 단계로 반복하기보다는 다른 비율, 사건과 곡선을 도입하여 변형 규칙으로 새로운 프랙탈 상을 얻으려고 하였다. 또한 프랙탈 상을 구현하는 것만이 아니라, 프랙탈의 특성인 '초기값 민감성'과 '소수 차원'을 제기하여 수학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끝으로 영재 수업과 그에 따른 학생들의 학습 과정에서 제기된 프랙탈 구성 방법을 논의하고, 더불어 영재 수업에서 수학적 의사소통의 중요성과 학생들의 수학적인 접근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 PDF

수학 영재 관찰.추천 도구의 개발과 모의 적용 사례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Recommendation Tools through Performance Assessment for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 신보미
    • 영재교육연구
    • /
    • 제20권1호
    • /
    • pp.31-59
    • /
    • 2010
  • 여러 선행 연구는 관찰평가를 통해 학생의 영재성에 대한 예측력 높은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수학 영재 판별에 활용될 만한 관찰 추천 도구를 개발하거나 그 적용 상황의 특징 등을 분석한 연구가 거의 없어, 이를 수학 영재 판별에 현실적으로 활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수학 영재 관찰 추천 도구 개발을 구체화하는데 목적을 두고, 관찰평가 과제와 관찰평가표를 개발한 다음 그 중 일부를 중학교 1학년 학생 4명을 대상으로 모의 적용하여 관찰대상과 관찰평가 교사들이 보이는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 연구에서 개발한 과제별 평가 항목을 통해 학생의 영재성에 대한 정보를 보다 폭넓고 구체적으로 얻을 수 있었으며, 학생들의 과제 해결 순서, 속도, 태도 등에서 드러나는 수학 영재성을 포착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