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felong education system in university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22초

THE REDEFINITION OF SUPPORT SYSTEM FOR LIFELONG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AL DISABLED BASED ON UNIVERSITY: LEADING THE ESTABLISHMENT OF AN INTEGRATED COMPOSITION SYSTEM BETWEEN COOPERATION WITH LOCAL RELATED ORGANIZATIONS AND FOSTERING QUALIFICATIONS FOR PROFESSIONALS THROUGH CONNECTION WITH CURRICULUM BEYOND THE LEVEL OF USE OF PHYSICAL SPACE

  • Kim, Young-Jun;Kim, Wha-Soo;Rhee, Kun-Y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4호
    • /
    • pp.52-60
    • /
    • 2021
  • This study is conducted with the aim of redefining the university-based lifelong education support system for developmental disabled. The research method consisted of procedures in parallel with literature analysis and expert meetings. As for the contents of the study, a composition system that recognized the problems and solutions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al disabled based on universities was primarily presented. Through this, it was suggested that universities can form an academic found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a lifelong education support system for the developmental disabled along with the convergence field. In addition, a structural model related to this was presented along with the aspect that universities could develop a curriculum for lifelong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al disabled according to the school foundation. Also, a composition system was suggested that universities can develop lifelong education curriculum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lead the cooperation of local related organizations such as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and lifelong education centers for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analyzed that leadership in the university-based lifelong education support system for developmental disabled can contribute to fostering professional manpower qualifications and establishing cooperation with local related organizations in an integrated composition system.

Establishment of Chosun University's Lifelone Education Support System for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Department-Led Educational Innovation

  • Kim, Young-Jun;Kim, Wha-Soo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1호
    • /
    • pp.154-159
    • /
    • 2022
  • The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procedures and plans to establish a university-based lifelong education support system for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t Chosun University. The research method consisted of expert consultation. Chosun University not only has various units of major(department) that can deepen and integrate knowledge and technology related to lifelong education for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but also has various leadership and various infrastructures that can lead the practice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n Gwangju and Jeonnam areas. The content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five procedures and plans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maintenance and convergence of majors (departments) units,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department-led regional-linked education programs through extracurricular education, the introduction of majors in connection with extracurricular education program-linked courses, the selection of core departments, the establishment of cooperative courses between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s, and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centered on lifelong education center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analyzed that the academic foundation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he guarantee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the lead of linkage between local related organizations can be expected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support system for lifelong education for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t Chosun University.

성인 임파워먼트 증진 관점에서 본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 분석 (Analysis on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System Support Project From the Perspective of Adult Empowerment Enhancement)

  • 황재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245-252
    • /
    • 2018
  • 평생학습사회와 학령인구의 감소로 인해 대학의 구조적인 변화가 성인친화적인 대학의 체제 개편으로 이어지고 있다. 2008년 이후로 평생학습중심대학 육성사업, 평생학습 단과대학사업 등의 대학 중심의 평생교육 활성화사업이 2015년 양대 사업을 통합한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으로 가속화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평생학습사회에서 고등교육에 대한 성인의 학습욕구를 기반으로 성인친화적 교육과정, 성인학습자 지원시스템, 다양한 학습성과의 평가, 성인학습자의 임파워먼트와 같은 네 가지 분석 틀에 의해 대학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의 운영 실태를 분석하였다. 대학의 평생교육 체제 개편은 세대간 문화적응 및 통합과정을 통해 스스로 지위와 역할을 부여하는 임파워먼트된 성인학습자의 촉진을 지향할 것을 제시하고 있다.

베이비붐 세대와 대학 평생교육 체제의 재구조화 (Reorganization of the Baby-Boom Generation and the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System)

  • 황재연;안관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1호
    • /
    • pp.509-515
    • /
    • 2019
  • 이 연구는 베이비붐 세대의 평생교육에 대한 학습욕구의 분석과 고등교육의 역할 그리고 평생학습 체제 실현을 위한 고등교육차원에서의 평생교육 체제 개편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연령대별 평생학습 참여 현황, 특히 베이비붐 세대의 참여 현황 및 학습욕구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평생학습 체제 실현을 위한 현행 대학에서의 평생교육의 재구조화 방안을 살펴보고 있다.

평생교육의 한 분야로 평생직업 교육의 역할 방향 탐색 -2018년 평생 직업교육 훈련 혁신방안 내용을 중심으로 (Exploring the Role of Lifelong Vocational Education as a Field of Lifelong Education -Focusing on the 2018 Lifelong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novation Plan)

  • 윤옥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2호
    • /
    • pp.17-26
    • /
    • 2024
  • 이 연구의 목적은 2018년 평생 직업교육훈련의 혁신방안 내용 분석을 기초로 평생교육의 한 분야로 평생직업교육의 역할 방향을 탐색하는 데 있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책지향 측면에서 평생직업 교육 방향은 평생교육 측면에서 생애 통합형 평생직업 교육 수행이 가능하다. 둘째, 교육 및 훈련 과정에서 평생 직업교육 측면에서 특정 실무역량 분야에 평생교육이 수행할 수 있다. 셋째, 교육훈련 체계의 경우 평생직업 교육 측면에서 평생교육 이념은 전 생애 걸친 교육 체계를 수립하는 것이다. 넷째,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경우 평생교육이 평생직업 교육 측면에서 평생교육 기관 형태별로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이 가능하다. 다섯째, 교육훈련 시기의 경우 평생교육이 평생직업 교육측면에서 보면 생애 단계별 고른 배분이 가능하다. 여섯째, 산업 영역과의 관계에서 평생교육이 평생직업 교육 측면에서 보면 산업수요와 연계를 강화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정부 기관과도 연계 강화가 가능하다. 일곱째, 취약 계층지원의 경우 평생교육이 평생직업 교육 측면에서 보면, 시도 평생교육 기관, 시군구 평생학습관 등에서 무료 교육 및 소외계층 맞춤형 지원이 가능하다.

평생교육교수자의 교수역량 강화를 위한 핵심역량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re Competencies to Reinforce the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Instructive Competencies)

  • 정주영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4권2호
    • /
    • pp.210-223
    • /
    • 2012
  • The importance on the flow to the lifelong education system has been growing, as the eternal education is in a pivotal position according to the education system all over the world is changing rapidly. In particular, although consolidating instructor competencies for lifelong education have become the subject of conversation, there has not been any clear concept of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nor of the competencies for those. So this research defined lifelong education instructors who work at various lifelong education facilities, especially those who focus on lectures, and the instructor competencies, and make analysis and deductions what types of competencies are necessary for effective and efficient teaching. For this, the researcher derived the concept of instructors and the instructor competencies for lifelong education through document analysis, and based on that, discovered the instructor competencies for lifelong education by experts review and survey. The result revealed that there were four types of instructor competencies for lifelong education, which were planning, managing, administrating, and supporting and encouraging students. There were searching needs of students, analyzing, and 13 other criteria for planning; managing human resources, materials management, and 7 other for managing; expertise in learning contents and 13 other for administrating; and giving feedback and 3 other for supporting and encouraging students.

AHP기법을 이용한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정책 중요도 분석 (The Priority Analysis on the Lifelong Education Enhancing Plan using AHP)

  • 박명신;한상훈;윤종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499-508
    • /
    • 2016
  • 본 연구는 AHP기법을 이용한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정책 중요도 분석을 위해 대전시 평생교육 실천현장의 평생교육전문가와 평생교육기관장, 평생교육담당자 및 평생교육사 32명을 대상으로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방법을 활용하여 추진과제의 영역과 하위 요소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조사하고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추진과제 영역별 상대적 중요도는 1) 대학 중심 평생교육체제 실현 2) 온 오프라인 평생학습 종합지원체제 구축 3) 사회통합을 위한 맞춤형 평생학습 지원 4)지역사회의 학습역량 강화 순으로 나타났다. 추진과제 요소별 상대적 중요도는 1) 성인학습자를 위한 대학체제 전환 2) 온라인 평생학습 지원체제 구축 3) 지역대학의 평생교육 역할 강화 4) 세대별 대상별 맞춤형 평생학습 지원 5) 기초 광역 지자체의 평생교육 추진체제 강화 6) 전문성 투명성 강화를 통한 평생교육 질적 향상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앞으로 제3차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 수행에 있어서 추진과제의 영역 및 요소들이 모두 중요하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대학 중심 평생교육체제 실현' 영역과 '성인학습자를 위한 대학체제 전환' 요소 등에 대한 비중있는 수행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성인학습자의 대학평생교육 운영요인 만족도와 대학평생교육 만족도, 추천의도 간 관계 연구 (An Exploratory Research of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Importance,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for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Perceived by Adult Learners)

  • 안현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438-450
    • /
    • 2020
  • 이 연구는 대학평생교육 성인학습자 1,782명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 특성, 대학평생교육 운영요인 만족도, 대학평생교육 만족도, 추천의도 간 관계를 살펴보았다. 가설1의 결과 성별, 연령은 대학평생교육 운영요인 만족도(교육내용, 교수법, 교수자, 교육환경, 제도·지원)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 학력 수준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시간은 교육내용, 교육환경, 제도·지원 만족도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가설2의 결과 교수자, 제도·지원 운영요인 만족도가 대학평생교육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고, 교육 환경 요인은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3의 검증결과 대학평생교육 만족도는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등교육 혁신으로서의 대학의 평생교육체제로의 전환을 실제적으로 실천하고 있는 성인학습자 전담 학위과정 운영 대학의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대학평생교육 운영요인 만족도 및 대학평생교육 만족도, 추천의도 간의 관계 검증을 실시하였다는데 있어, 향후 새로운 대학평생교육 모형 구축에 있어 유용한 실제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자격과 장애인평생교육 지원체제 간 융합 타당성 탐구 (Exploring the Validity of Convergence between Qualifications and the Support System for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 김영준;권량희;도명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82-91
    • /
    • 2021
  • 이 연구는 자격과 장애인평생교육 지원체제 개발의 융합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전제조건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은 선행 연구문헌의 수집 및 분석과 전문가 회의를 병행하는 절차로 구성되었다. 연구 내용은 현행 추진 장애인평생교육 전문인력 자격화제도의 한계와 반성을 문제를 기반으로 하여 장애인평생교육 학적토대 및 정의체계 구축, 장애인평생교육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의 전문역량 경력개발경로 설계, 장애인평생교육 교육과정 기반의 유관기관 재구조화, 장애인평생교육 전문인력 양성 자격 유형 고도화를 모색하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연구 결과, 장애인평생교육 지원체제 개발이란 종합 범주에서 자격의 가치와 기능이 아주 중요하다는 측면을 비롯하여 결론적으로 장애인평생교육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대학기반화 관점과 적용모델이 검토되어야 한다는 측면이 분석되었다.

대학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 사업의 변천과정 연구 (Research on the Transition Process of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System Support Project)

  • 정복임;김태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2호
    • /
    • pp.273-278
    • /
    • 2024
  •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의 사업추진 시기별 정책변화와 그 성과로서 대학운영체제변화의 한계점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대학의 성인학습제제 지원을 위한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자료와 각종 자료 분석을 통하여 고등교육 환경 변화와 대학의 평생교육 변천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기술혁신이라는 시대적 변화와 지식의 변화는 학교교육 이후에도 계속적인 배움을 요구하고 있으며, 재교육과 향상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교육부와 국가평생교육진흥원에서는 성인학습자들이 공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2008년부터 평생학습 중심대학 지원사업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이 사업은 대학과 지역사회가 중심이 되어 성인학습자의 교육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대학의 학사제도를 성인친화형으로 개편하고, 야간 혹은 주말수업을 운영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교육 운영 변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제 대학은 지역·대학의 상생을 위한 지역 평생교육의 허브로서 대학과 지역사회 지속가능 발전과 상생의 시대적 과업을 담당하는 핵심기관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