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xploratory Research of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Importance,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for University Lifelong Education Perceived by Adult Learners

성인학습자의 대학평생교육 운영요인 만족도와 대학평생교육 만족도, 추천의도 간 관계 연구

  • 안현용 (국가평생교육진흥원 고등직업교육실)
  • Received : 2020.05.06
  • Accepted : 2020.07.16
  • Published : 2020.07.28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atisfaction of operating factors in college lifelong education, satisfaction of college lifelong educa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for 1,782 adult learners of college lifelong education (N=1782). As a result of Hypothesis 1, gender and ag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in all areas of college lifelong education satisfaction (education content, pedagogy, instructor, educational environment, system, support), while education level did not. In addition, the learning time was verified to affect only the educational content,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with the system and support. As a result of Hypothesis 2, it was found that the satisfaction of the operating factors of the instructor, system, and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college lifelong education,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education had a negative effect. As a result of verification of Hypothesis 3, it was found that the satisfaction of college lifelong education influenced the intention of recommend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operational factors of college lifelong education, the satisfaction of college lifelong education, and the intention of recommendation for adult learners of a university that is operating a degree program dedicated to adult learners who are actually practicing the transition to a lifelong education system of university as an innovation in higher education. The relationship verification is expected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constructing a new college lifelong education model in the future.

이 연구는 대학평생교육 성인학습자 1,782명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 특성, 대학평생교육 운영요인 만족도, 대학평생교육 만족도, 추천의도 간 관계를 살펴보았다. 가설1의 결과 성별, 연령은 대학평생교육 운영요인 만족도(교육내용, 교수법, 교수자, 교육환경, 제도·지원)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면 학력 수준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시간은 교육내용, 교육환경, 제도·지원 만족도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가설2의 결과 교수자, 제도·지원 운영요인 만족도가 대학평생교육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고, 교육 환경 요인은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3의 검증결과 대학평생교육 만족도는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등교육 혁신으로서의 대학의 평생교육체제로의 전환을 실제적으로 실천하고 있는 성인학습자 전담 학위과정 운영 대학의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대학평생교육 운영요인 만족도 및 대학평생교육 만족도, 추천의도 간의 관계 검증을 실시하였다는데 있어, 향후 새로운 대학평생교육 모형 구축에 있어 유용한 실제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I. 서론

학령기 인구의 감소와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 확대, 산업구조의 고도화 등의 사회 변화가 나타남으로써, 평생학습에 참여하고자 하는 성인들의 참여율이 증가하고 대학교육에 대한 수요도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1][2]. 정부는 이와 같은 현대 사회의 여러 변화를 인지하고 성인학습자의 대학으로의 유입에 주목하면서2008년 ‘제2차 평생학습진흥종합계획’에서 ‘생애단계별 창조적 학습자 육성’ 과제를 시작으로 대학 중심의평생교육 활성화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게 된다.2008년에 착수된 ‘대학 중심의 평생교육 활성화 지원사업’이 그 대표로서, 본 사업은 고령화‧정보화 등장에따른 지속적 능력 개발을 위한 성인계속교육에 대한 요구에 부응, 100세 시대 재직자 등 성인학습자의 적극적생애 전환을 위한 고등교육기관 중심의 평생학습 성공경로 구축에 주력해왔다. 동 사업을 통해 고등교육기관이 성인학습자의 적극적 생애 전환을 위한 평생학습체제로서 자리매김하는 데 중요한 발판이 되었다[1][3].

2016년 ‘평생교육 단과대학 지원사업’을 기점으로 학령기 중심의 대학 구조에 성인학습자 전담 지원 체제를전면화한 본 사업은 2019년 ‘대학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LiFE)’을 통해 성인친화형 교육 운영 및 고등평생교육 구축을 위한 노력들을 지속해오고 있다. 정부 차원의 이와 같은 노력들은 성인학습자의 학위 취득을 위한대학 진입 구조를 확대하고, 고등교육 구조 안에 공식적인 성인 전담 지원 체계를 프레임화 함으로서 고등교육과 평생교육의 시스템적 연계 기반을 확보하였다는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부여 할 수 있다[4][5]. 그러나 성인학습자·후진학자가 대학에 (재)진입 후 성공적으로 계속 학습을 이어나가기 위한 사업 내용의 질적 확대는여전히 문제 제기 되고 있으며 실질적 우수 사례 확산이 가시화 되지 않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6-9]. 학령기 중심의 대학 구조를 성인학습자 친화형으로 전환하여 평생학습사회를 지향하는 대학의 실질적 체질 개선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성인학습자의 후진학 진입 구조 확보에 주력하기 보다는 대학에 (재)진입한 성인학습자들의 특성 및 이들이 실제 인지하는 성인친화형 교육 운영 및 내용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 등을 살펴보는것이 우선적으로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학 중심의 평생교육 활성화 현장의 실제적인목소리에 주목하고자 대학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 참여하고 있는 성인학습자의 성인친화형 교육운영에 대한인식 및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2018 대학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15개교의 성인학습자 특성을 분석하고, 이들이 인식하고 있는 성인친화형 교육 운영(교육 내용, 교수법, 교수자, 교육환경,제도․지원)에 대한 만족도 및 대학평생교육 만족도, 추천의도 등을 구조 모형 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대학의 실질적인 평생교육체제로의 전환 및 질적개선을 위한 대학 중심의 평생교육활성화 지원사업의개선점 및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과거 Houle(1961)이 제시한 학습자의 참여동기이론은 학습자의 학습참여동기를 ‘목표 지향적’, ‘활동 지향적’, ‘학습 지향적’동기로 분류하고 있으며, 목표 지향적 동기는 교육을 목표실현의 수단으로서 인식하는 동기를 활동 지향적 동기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기회와 학습을 위한 동기로 작용되며, 학습 지향적 동기는 학습습득 자체가 동기로 작용된다 밝히고 있다. 최근 평생교육 성인학습자의 참여동기를 설명하는데 있어 매우 유용한 이론적 틀을 제시해주고 있으며, 이에 따른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 참여동기와 만족도, 학습성과, 추천의도 등의 요인 간 관계를 파악한 연구가 다수 진행되었다.

대학의 성공적인 평생교육 실현을 위해 평생교육수혜자인 성인학습자의 참여동기를 살펴보고, 이에 기반한 대학 및 증가, 학령기 인구 감소에 따른 대학의 위기등은 자연스럽게 대학이 평생교육의 역할을 갖도록 하였다. 특히 고등교육 수준의 학습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평생교육기관은 매우 적었던 반면, 어느 지역에서든 인적·물적 인프라를 잘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대학은 성인학습자의 학습욕구를 해소하기에 가장 적합한 교육기관으로 고려될 수밖에 없었다[10]. 2008년부터 추진된 ‘대학 중심의 평생학습 활성화 지원 사업’은 학령기 학생 중심의 대학을 '성인학습자 친화적‘ 대학으로전환하도록 하는 대학의 체제 개편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고령화‧정보화 사회 등장에 따라 지속적인 능력 개발을 위한 성인계속교육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100세 시대 재직자 등 성인학습자의 적극적 생애 전환을 위한 고등교육기관 중심의 평생학습 성공경로 구축 필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해당 사업은 대학으로 (재)진입하고자 하는 후진학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성인학습자 친화적으로 대학체제개편을 유도하고다양한 후진학 지원체제 확충 및 생애 단계별 맞춤형교육서비스를 제공하여 왔다[3].

대학의 평생교육 활성화 및 관련 정책 확대를 강조하는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궁극적으로 미래 사회 대응을 위한 고등교육 혁신 및 고등교육 기능 재편을 강조하고 있다. 학령기 학생 감소 및 평생학습인력 배출 역할에 직면하고 있는 고등교육의 환경은 대학의 변화 및 고등평생교육 기관으로의 위상 전환을 촉구한다[11-16]. 평생학습사회 대학이 자임해야 하는 새로운기능에 대한 인지는 단순히 ’대학평생교육원‘이라는 매우 지협적이고 주변적인 기능 부착이 아니어야 하고[11]. 학습 자원 감소와 같은 현안 해결에 초점이 둔 따라서 흥적 처방이어서는 안된다. 그것은 기존 사회 유지 및 관리에 집중하는 방식이 아니어야 하고, 급변하는 사회 변화 및 정책적 기후에 자기 체질을 근본적으로 혁신이어야 한다. 대학 중심의 평생학습 활성화 흐름의 고찰은 대학을 중심으로 하는 고등교육이 평생학습의 가치 속에서 어떻게 이해되고 재편되는지에 초점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대학의 평생교육 기능과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면 대학부설평생교육원과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하는 연구들에 집중되어 있다[17][18]. 기존의 평생교육원 중심의 지협적 의미의 대학평생교육에 참여하는 학습자들의 학습과정이나 조직문화를 분석하는 연구들이 대부분이다[19][20]. 이후 고등교육 혁신으로서 평생교육의 방향 및 현장을 드러내는 연구들이 등장하기는 하지만[15][21] 실제 평생학습 사회 대학의 체질 개선을 선도적으로 견인하고 있는 고등교육 혁신으로서의 대학평생교육 실제 장면에 대한 사례 및 성과 분석은 부족하다. 본 연구는 고등교육혁신의 장면으로서 대학의 평생학습 기능 강화를 정책적으로 실천하고 있는 대학평생교육 장면을 구체적으로 드러내고자 한다.

Ⅱ. 이론적 배경

1. 성인학습자의 인구통계학 특성

성공적인 대학평생교육운영을 위해서는 학습자의 다양한 대·내외적 특성의 이해가 전제되어야 된다. 조성연과 홍지연(2010)의 선행연구에 따르면 평생교육 참여동기를 성공적으로 이끌어내는데 있어, 성인학습자개인의 적성, 성격, 흥미 등의 성인학습자의 내부적변인못지않게, 성인학습자의 인구통계학 특성 변인 심도 있게 살펴봐야 함을 강조한다. 성인학습자의 인구통계학특성변인은 성인학습자를 둘러싼 사회적, 문화적 차원의 변인을 말하며, 평생교육분야에서도 사회적, 문화적상호작용 과정의 관점에서 평생교육 학습자의 이해가필요하다고 강조하며, 평생교육학습자의 인구통계학 특성 변인이 평생교육 만족도, 추천의도 등의 평생교육결과변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인임을 밝히고 있다. Astin(1993)에 따르면 평생교육학습자의 인구통계학 특성 변인은 평생교육학습자의 다양한 사회적, 경제적 배경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인구통계학특성 변인은 평생교육 학습자의 학습성과 향상시킨다고 말한다. 평생교육학습자의 인구통계학 특성 변인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해보면, 평생교육 참여자의 인구통계학 특성(연령, 학력, 직업, 경제적수준 등)이 평생교육참여동기와 평생교육 만족도 등에 유의미한 영향을 보이는 주요 선행변인임을 강조하고 있다. 권혜진(2010)은 사이버대 대학생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인 성별, 연령, 학력수준, 소득수준, 거주지역의 요인의 사이버대 대학생의 만족도와 중도탈락률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주영주 외(2011)의 연구에서는 평생교육학습자의 학습시간 요인이 만족도에 영향을 보이는 주요 요인임을 밝히고 있다. 앞서 검토한 문헌들을 참고 할 때, 대학평생교육 운영요인인 교육내용,교수방법, 교수자, 교육환경, 제도 및 지원은 평생교육참여동기를 구성하는 요인에 해당되며, 인구통계학적특성의 영향력이 이에 선행된다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대학 평생교육 성인학습자의성별, 연령, 학력수준, 학습시간의 대학 평생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가설1>로 제시하였다.

2. 대학평생교육운영요인 만족도

곽미정, 노상은, 곽영길(2017)의 선행연구 따르면 교육운영요인의 하위변인으로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강사, 교육환경 등의 하위변인을 제시하고 있으며, 학습자의 교육운영요인 인식이 우호적일수록 학습자의 생활만족도 향상된다 말한다. 이와 같이 다수의 연구자들이 평생교육운영요인의 구성에 있어 교수자 요인, 환경적 요인, 학습 내용 요인, 운영 요인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평생교육운영요인 만족도는 궁극적으로 평생교육학습자의 삶의 질 개선, 지속참여의도 및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인이라는데 있어 심도 있게 고려되어야 할 변인이라 말 할 수 있다. 과거 Rubenson(1977)의 선행연구에서는 교육운영구성의 핵심요인으로 강사(교수자), 행정지원, 강의내용을 제시하고 있으며, 교육운영구성의 질이 높을수록 교육만족도 향상된다고 하였다[6]. 평생교육을 주제로 진행된 다수의 선행연구들은 평생교육 운영요인 만족도의 구성에 있어 ‘교수자에 관한 만족도’,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교육환경 및 시설에 대한 만족도’, ‘평생교육학습자 지원 서비스에 관한 만족도’, ‘평생교육학습자의 주관적 만족도’등의 요인구성에 주목해왔다[28][30].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적 구성, 시설 요인, 교수자, 서비스 요인, 교수법 등의 요인이 구체적으로 평생교육 만족도를 결정하는 주요 선행변인임을 검증하였다[29].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결과들을 볼 때, 평생교육학습의 구성요인은 평생교육학습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임을 추론할 수있으며, 이에 본 연구는 대학평생교육 운영요인만족도가 대학평생교육학습의 전반적인 만족도에 영향을 보일 것이라 예측하였다. 이에 성인학습자의 대학평생교육 운영요인만족도가 대학평생교육학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란 <가설2>를 제시하였다.

3. 대학평생교육 만족도 및 추천의도

대학평생교육 만족도는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평생교육 학습자에게 주어진 교육환경을 둘러싼 평생교육 참여자의 감정과 태도로 정의 할 수 있으며, 이는 평생교육 성인학습자의 요구사항이 평생교육을 통해 충족됨과 동시에 평생교육에 대한 신뢰 정도를 의미한다고 볼수 있다. 추천의도의 사전적 정의는 특정대상을 이미경험한 사람이 경험을 통해 느낀 감정을 주위의 다른 사람에게 또는 아직 경험하지 않은 사람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의도로 구전(Word-of-mouth)을 의미한다. 대학평생교육 만족도와 추천의도 간 관계를 중심으로진행된 선행연구들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평생교육학습자가 인식하는 평생교육 운영요인만족도는 궁극적으로 평생교육학습자의 삶의 질 개선, 평생교육학습 지속참여의도, 평생교육학습 추천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핵심적인 선행변인임을 말하고 있다[32].실제로 평생교육학습자가 평생교육의 학술적 지원 정도에 만족하고 있거나, 학습자의 미래설계에 있어 평생교육학습의 만족정도, 평생교육학습 내 문화활동에 대한 만족도, 행정 및 서비스 지원의 만족도가 증가할수록 평생교육 추천의도 상승한다는 선행연구의 연구결과가 보고되었으며, 평생교육학습자가 평생교육의 학술적 지원 정도에 만족하고 있거나, 학습자의 미래설계에있어 평생교육학습의 만족정도, 평생교육학습 내 문화활동에 대한 만족도, 행정 및 서비스 지원의 만족도가 증가할수록 평생교육 추천의도 상승한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평생교육은 교육서비스의 하위 범주에 속하며, 그렇기에 평생교육참여 독려에 있어 상업광고의 영향력보다는 실제 평생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존재하는 유경험자의 주관적 평가요소의 영향력이 더 크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추천의도 변인은 매우 중요한 무형적 특성을 지닌 질적차원의 평가변인으로 볼 수있다[33][34]. 따라서 대학평생교육 성인학습자의 추천의도는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참여의도를 증진시킨다는데 있어 주요한 변인임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채선영 외(2013)의 연구에서는 평생교육학습자들의인식하는 교육품질서비스가 평생교육 만족도에 영향을미치고, 평생교육 만족도는 최종적으로 추천의도에도정적 영향을 불러일으킨다 말하고 있다[48]. 강려은과양성병(2017)의 연구에서도 IT 평생교육 학습자의 IT교육 서비스품질 인식이 이들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만족도는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49]. 이를 토대로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의대학평생교육 만족도가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란 <가설3>을 제시한다.

Ⅲ. 연구 방법

1. 가설

대학평생교육을 연구주제로 제안한 선행연구들을 점검한 결과 성인학습자 대상의 인식 및 요구사항, 평생교육 프로그램 만족도 변인의 영향력 검증에 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어왔다는 사실을 바탕으로<가설1>, <가설2>, <가설3>을 제안하였으며, 가설 방향의 통계적유의성 검증을 위한 PLS 구조방정식 모델(Structuralequation modeling)분석일 실시하였다.

첫째, 본 연구는 <가설1>을 바탕으로 대학평생교육학습자의 인구통계학 특성이 대학평생교육 운영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하였다. 평생교육 관련 다수의 선행연구에서 학습자의 성별, 연령, 학력수준 및 학습시간 등의 변인들을 중심으로 인구통계학 특성 변인을 구성하였다는 점에 착안하여[42-44], 본 연구에서도 성인학습자의 성별, 연령, 학력수준, 학습시간 요인을 인구통계학 특성으로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평생교육학습자의 성별과 학년 등의 인구통계학 특성이 평생교육의교수학습방법, 학습내용구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보인다는 연구결과와[43], 평생교육 성인학습자의 학습시간이많을수록 평생교육만족도 역시 이에 비례하여 향상됨을 검증한 연구결과[45] 등 평생교육 관련 연구에 있어 학습자의 인구통계학 특성은 중요한 선행변은으로 간주되어왔다. 이에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의 인구통계학특성요인이 대학평생교육운영요인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인임을 검증하고자 <가설1>을 제안하였다.

<가설1> 대학평생교육 성인학습자의 인구통계학 특성(성별, 연령, 학력수준, 학습시간)은 대학평생교육운영요인 만족도(교육내용, 교수법, 교수자, 교육환경, 제도·지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대학의 성공적인 평생교육운영을 위해서는 평생교육사업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대학평생교육운영요인이 대학평생교육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보인다는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바탕으로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내용, 교수법, 교수자, 교육환경, 제도․지원과 같은 대학평생교육운영요인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대학평생교육 만족도 증가할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성인학습자가 대학평생교육의 교육내용, 교수법, 교수자, 교육환경, 제도․지원 요인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일수록 대학평생교육 만족도도 증가함을 의미한다. 이에 <가설2>는 다음과 같다.

<가설2> 성인학습자의 대학평생교육 운영요인 만족도가 높을수록 대학평생교육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일반적으로 대상에 대해 만족하고 우호적인 태도가 형성되면, 이는 궁극적으로 대상을 수용하고자 하는 의도로 연결됨을 알 수 있다. 이에 성인학습자의 대학평생교육 만족도는 최종적으로 추천의도에 영향을 보일 것이란 추측이 가능하다. 따라서, 성인학습자가 대학평생교육에 관하여 전반적으로 만족하며 우호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을 때, 타인에게도 대학평생교육을 적극적으로 추천하고자 하는 의도가 형성됨을 말한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가설3>을 제안하였다.

<가설3> 성인학습자의 대학평생교육 만족도는 대학평생교육 추천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정리하자면 본 연구는 첫째, 대학평생교육 학습자의인구통계학 특성(IV: Independent Variable)의 대학평생교육 운영요인(DV: Dependent Variable)에 미치는 영향력을 <가설1>에서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대학평생교육 운영요인(IV: Independent Variable)의 대학평생교육 만족도(DV: Dependent Variable)에 미치는 영향력을 <가설2>에서 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대학평생교육 만족도(IV: IndependentVariable)의 대학평생교육 추천의도(DV: DependentVariable)에 미치는 영향력을 <가설3>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2. 설문지 구성

1) 성인학습자의 인구통계학적특성

대학평생교육학습자의 인구통계학적특성은 평생교육, 평생교육사업 인식 및 만족도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참고하여 선행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측정된 인구통계학적특성 가운데 본 연구의 맥락과 성격을 고려하여 연구자의 판단 아래 최종 ‘성별’, ‘연령’, ‘학력수준’, ‘학습시간’ 해당 네 요인을 측정하였다. 명목변인인 성별은 구조방정식 변인투입을 위해 더미변인(dummy variable)로 변환하였으며, 연령과 학습시간은 개방형질문으로측정하여 연속형변인에 해당되었으며 학력수준은 서열척도로 구성되었다. PLS구조방정식 실시에 앞서 해당인구통계학적 특성이 PLS구조방정식의 변인으로 투입되는 것이 적합한지의 여부를 선행연구와 관련 문헌들을 통해 추가 검토하였다.

2) 대학평생교육 운영요인 만족도

대학평생교육 운영요인은 교육내용, 교수법, 교수자, 교육환경, 제도 및 지원 요인으로 구성하였으며, 해당요인들은 본 연구의 서론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Houle의 교육참여동기이론에서 제시된 학습자의 다양한 동기요인들과 관련된 구성요인들로 볼 수 있다. 교육내용과 교수자 등의 요인은 성인학습자의 직접적인 학습목표 실현을 위한 주요 동기로 발현 될 수 있으며, 교육환경 운영요인은 학습자의 사회상호적 작용 목표 달성 동기와 밀접한 연관성이 존재한다. 제도 및 지원 요인은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 목표실현에 있어 평생교육이 수단으로서 작용된다는 동기실현에 있어서도 관련되는운영요인이라 볼 수 있다. 이에 다음과 같은 측정항목을 제시한다.

(1) 교육내용

교육내용요인의 경우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 맞도록 적합하게 수정 및 보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32][33]. 구체적인 항목으로는 우리 학과는교육목표 및 교육내용에 관한 성인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구성하였다. 우리 학과의 교육 내용의 난이도는적절하였다. 우리 학과의 교육 내용은 현장(현업)에서활용가능한 지식과 기술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우리 학과는 교육 내용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초학습능력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우리 학과의 교육내용(교육과정)의 질은 우수하며 전반적으로 만족스럽다. 5문항이 이에 해당되며, 측정문항은 리커트 7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각 항목의 요인적채치는. 912-.924였으며, 크론바흐알파계수는 .953으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2) 교수법

대학평생교육 교수법은 선행연구[35][36]에 따라 본연구에 맞도록 적합하게 수정 및 보완하여 다음과 같이구성되었다. 구체적인 항목으로는 우리 학과는 성인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교육 방법을 구성, 제공하였다.우리 학과는 교육 내용 전달에 있어 강의 이외에 다양한 방법(실습, 특강, 캠프 등)을 시도하였다. 우리 학과는 재직자 등 성인학습자 특성에 맞춰 다양한 수업방식(온라인수업, 주말수업, 야간 등)을 적절하게 구성하였다. 우리 학과에서 제공한 수업 방법은 성인학습자 특성에 맞게 구성되고 전반적으로 만족스럽다. 4문항이이에 해당되며, 측정문항은 리커트 7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각 항목의 요인적채치는 .898-.938였으며, 크론바흐알파계수는 .939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3) 교수자

대학평생교육 교수자는 선행연구[37]에 따라 본 연구에 맞도록 적합하게 수정 및 보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구체적인 항목으로는 우리학과의 교수진은재직자 등 성인학습자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하고 있었다. 우리 학과의 교수진은 교육 내용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갖고 있다. 우리 학과의 교수진은 적절한 사례 및 질문을 활용하여 성인학습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냈다. 우리 학과의 교수진은 수업 중 성인학습자들의 직장경험(직무경험)을 이끌어내어 수업내용의 이해를 도왔다. 우리 학과의 교수진의 질은 전반적으로 만족스럽다. 5문항이 이에 해당되며, 측정문항은 리커트 7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각 항목의 요인적 채치는.927-.946였으며, 크론바흐알파계수는 .964로 적합한것으로 나타났다.

(4) 교육환경

대학평생교육 교육환경은 선행연구[35-37]에 따라 본 연구에 맞도록 적합하게 수정 및 보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구체적인 항목으로는 우리 대학(학과)은 성인학습자에 맞는 교육자료 및 기자재 등 물리적환경을 갖추고 있다. 우리 대학(학과)은 성인학습자를위한 부대시설(휴게실, 식당, 기타시설 등)을 잘 갖추었다. 우리 대학(학과)은 재직자 등 성인학습자가 성공적으로 학업 수행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인적 환경(담당조교, 상담인력 등)을 가지고 있다. 우리 대학(학과)은재직자 등 성인학습자를 위한 정보화 교육 환경(온라인, 모바일 학습실 등)을 잘 갖추었다. 우리 대학(학과)은 재직자 등 성인학습자를 위한 특화된 교육환경을 구성하고 있고 전반적으로 만족스럽다. 5문항이 이에 해당되며, 측정문항은 리커트 7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각항목의 요인적채치는 .892-.927였으며, 크론바흐알파계수는 .948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5) 제도․지원

대학평생교육제도․지원은 선행연구[33][36][37]에따라 본 연구에 맞도록 적합하게 수정 및 보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구체적인 항목으로는 성인학습자 전형(평생학습자 전형, 특성화고졸 재직자 전형)은 내가 대학입학에 도전하도록 자신감을 고취시켰다. 우리 학과에는 학비감면, 장학금 수여 등의 학비지원 제도가 잘 구축되어 있다. 우리 학과는 재직자 등 성인학습자가 계속 학습을 할 수 있는 지원 서비스(학습상담,멘토링, 중도탈락 예방 등)를 잘 갖추고 있다. 우리 대학은 학업 공백기 극복을 위한 프로그램(기초영어,ICT, 기본소양교육)을 효과적으로 제공했다. 우리 학과는 성인학습자가 학교에 잘 다닐 수 있도록 다양한 제도와 지원들이 있어 전반적으로 만족스럽다. 5문항이이에 해당되며, 측정문항은 리커트 7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각 항목의 요인적채치는 .840-.920였으며, 크론바흐알파계수는 .929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6) 대학평생교육 만족도

대학평생교육 만족도는 대학평생교육 학습자의 대학평생교육에 관한 전반적인 만족 수준과 대학평생교육사업에 대한 만족도를 말하며, 선행연구[38][39]에 따라 본 연구에 맞도록 적합하게 수정 및 보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구체적인 항목으로는 나는 우리대학(학과)에 진학함으로서 내가 원하는 진학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기회 및 가능성을 갖게 되었다. 나는 대학 입학 후 배움에 대한 새로운 즐거움 및 나 자신에 대한 잠재력 및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 나는 우리 대학(학과)에 진학함으로서 경력개발 및 이전직, 승진을 위한기회를 갖게 되었다. 나는 우리 대학(학과)이 재직자 등성인학습자 전담 교육기관으로 지역사회에 기여하는바가 크다고 생각한다. 나는 우리 대학에서 제공하는재직자 등 성인학습자들의 후진학 계속교육을 지원하는 정부 정책에 전반적으로 만족한다. 5문항이 이에 해당되며, 측정문항은 리커트 7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각항목의 요인적채치는 .880-.939였으며, 크론바흐알파계수는 .951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7) 대학평생교육 추천의도

대학평생교육 추천의도는 선행연구[40][41]에 따라 본 연구에 맞도록 적합하게 수정 및 보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구체적인 항목으로는 재직자 등 성인학습자의 후진학 계속 학습을 지원하는 ‘대학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재직자 등성인학습자의 후진학 계속 학습을 지원하는 ‘대학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을 수행중인 본교 입학을 타인에게도추천하실 의향이 있습니까? 2문항이 이에 해당되며, 측정문항은 리커트 7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각 항목의 요인적채치는 .928-.928였으며, 크론바흐알파계수는.836으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연구 방법

설문조사는 2018년 5월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의 교육부 대학지정 지원사업인 ‘대학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을 위한 설문조사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설문참여자는 성인학습자 전담 학위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전국 소재의 15개 대학교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1해당 데이터가 전국 단위의 성인 평생교육학습자를 대상으로 실시된 전수조사에 가까운 데이터라는 점을 감안하여, 표본의 타당도 저해를 우려해, 무응답자를 제외한 원 데이터의 표본을 그대로 활용하였다. 대학의 성인전담 학위과정 운영 및 대학평생교육체제 전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고, 이를 본 연구에 맞도록 적합하게 재구성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에 참여한 인원은 전체 1,787명 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집된 데이터는SPSS와 Smart PLS 3.0버전을 통하여 통계분석이 진행되었다. 구체적으로 Smart PLS 3.0버전을 통해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구성된 변인의 상관관계분석을 SPSS 23.0버전을통해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문제]검증을 위하여Smart PLS 3.0버전을 통해 실시한 PLS 구조방정식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문제]의 결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에 참여한 설문참여자의 인구통계학적속성은 다음과 같다.

Ⅳ. 결과

1. 응답자 특성

이 연구의 응답자는 총 1,787명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있어서는 여성 응답자가 남성 응답자에 비하여 더 많은 비율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수준은고등학교 졸업에 응답한 응답자가 전체 응답자 가운데78.3%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수준에 있어서는 월 200만원~300만원 미만의 응답자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월100만원~200만원 미만 응답자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학습시간의 경우 주 5시간 미만에 응답한 응답자가 전체 응답자 가운데 57.4%를 차지하고 있었다.

2. PLS구조모델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탐색적 요인분석에 PLS방식의 구조방정식 검증을 통하여 측정모델의 적합성 및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우선 신뢰도의 경우 내적일관성 신뢰도의 크론바흐 알파계수의 기준인 .06이상의 조건을 모두 충족하고 있었으며, rho_A(pA)값이 .07이상을 충족해야 한다는 기준 만족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합성신뢰도의 .06-.09의 기준 역시 본 구조방정식 모델은 충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당도에 있어서는 집중타당도의 경우 외부적재치(L)의 적합성 기준인 .04-.07의기준을 모두 충족하고 있었으며, 지표 신뢰도(Indicatorreliability)와 평균분산추출(AVE)값이 모두 기준인 .05이상의 값을 보이고 있어 만족할 만한 타당도를 갖춘것으로 판단되었다. 판별타당도의 경우 Fornell-Larckercriterion이 각 잠재변인의 AVE 제곱근이 잠재변인들의 상관관계 중 가장 높은 값보다 큰 경우 판별타당도가 확보되었다고 보는데 해당 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잠재변인 간의 다중공선성(VIF) 5미만으로나타나 잠재변인 간의 다중공선성 문제가 존재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예측적 적합도(Q²)가 0보다 클 경우 구조모델이 측정 내생잠재변인에 예측적적합도를 지니고 있다 말하고 있는데 해당 기준을 충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구조모델의 적합성과 신뢰도 및 타당도에 있어 문제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3. 변인 기술통계량

본 연구의 변인의 평균, 표준편차의 기본적 특성과표본의 정규성 검증을 파악하고자 기술통계량분석을실시하였다. 리커트7점을 기준으로 대학평생교육 운영요인의 경우 교육내용(M=5.211), 교수법(M=5.343),교수자(M=5.505), 교육환경(M=5.138), 제도·지원(M=5.314)의 평균을 보여 대학평생교육 운영요인 가운데 교수자의 평균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대학평생교육 만족도는 M=5.381의 평균을 보이고있었으며, 대학평생교육 추천의도는 M=5.969의 평균을 보이고 있어, 대학평생교육 추천 의도의 평균이 대학평생교육 만족도의 평균보다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4. 변인 상관관계

변인 간의 상관을 파악하고자,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대학평생교육 운영요인과 대학평생교육만족도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교육내용과 대학평생교육 만족도, 교수법과 대학평생교육 만족도, 교수자와대학평생교육 만족도, 교육환경과 대학평생교육 만족도, 제도지원과 대학평생교육 만족도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평생교육 만족도와 대학평생교육 추천의도 간의 관계를살펴본 결과 대학평생교육 만족도와 대학평생교육 구전의도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2].

표 1. 변인의 상관관계

CCTHCV_2020_v20n7_438_t0001.png 이미지

*p < .05, **p < .01

표 2. 가설 검증 결과

CCTHCV_2020_v20n7_438_t0002.png 이미지

*p < .05, **p < .01, ***p < .01

교수자와 교수방법, 교수방법과 교육내용 변인 등의상관관계계수가 .80이상의 비교적 높은 상관계수를 보여 다중공선성 문제가 발생 될 우려가 존재하나, 앞서판별타당도 검증결과와 VIF지수가 5미만으로 나타나다중공선성에 있어 문제가 없음을 알 수 있다.

5. 결과

1) <가설1> 결과

<가설1>에서는 우선 설문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속성인 성별(더미변인), 연령, 학력수준, 학습시간이 대학평생교육 운영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성별(더미변인)과 연령은 대학평생교육 운영요인 중요성 다섯 개의 요인(교수법, 교수자, 교육내용, 교육환경, 제도·지원 중요성인식)요인에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변인가 더미변인로 구성되었다는데 있어(남성의 경우 ‘0’으로, 여성의 경우 ‘1’로 코딩), 남성보다 여성에게 있어대학평생교육의 교수법, 교수자, 교육내용, 교육환경,제도 및 지원의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남성 성인학습자보다도 여성 성인학습자가 대학평생교육 운영요인 중요성을 더 높게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연령의 경우 역시 대학평생교육 운영요인 중요성 다섯 개의 요인(교수법, 교수자, 교육내용, 교육환경, 제도·지원 중요성인식)요인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결과를 보이고 있었다. 따라서 설문응답자 가운데 인구통계학적 속성인 성별과 연령은 대학평생교육 운영요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이 검증되었다. 반면 학력수준의 경우 대학평생교육 운영요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아님을 알 수 있었다. 학습시간의 경우 대학평생교육 운영요인에 있어 교수법, 교육내용, 교육환경, 제도·지원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결과를 보이고 있었으나, 교수자 중요성 인식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이 검증되었다[표 3].

2) <가설2> 결과

<가설2>에서는 대학평생교육 학습자의 대학평생교육운영요인이 대학평생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 교수자(β=.197, p<.001),교육환경(β=-.116, p<.001), 제도·지원(β=.863, p<.001)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정책만족도에 영향을미치는 요인임을 발견 할 수 있었다.

3) <가설3> 결과

<가설3>은 대학평생교육 만족도가 대학평생교육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정책만족도는 삶의만족도(β=.594, p<.001)와 대학평생교육 추천의도(β=.611, p<.001)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Ⅴ. 시사점

이 연구는 <가설1>을 통해 성별, 연령은 대학평생교육 운영 요인인 교육내용, 교수법, 교수자, 교육환경, 제도 및 지원 모든 영역의 중요성 인식에서 통계적으로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밝혔다. 반면 학력수준은 대학평생교육 운영요인의 중요성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학습시간은 부분적(교육내용, 교육환경, 제도 및 지원)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이 검증되었다. 대학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이 고졸선취업자의 후진학이 주 목적이기 때문에 고졸 이외의학력(대졸, 대학원 졸 등) 소지자가 희소하고, 해당 집단의 요구가 사업 구조 안에 덜 반영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일-학업 병행 등으로 시간적 제약을 가진 성인학습자의 학습 시간이 교육내용, 교육환경, 제도 지원 영역의 중요도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는 성인학습자 친화형 대학평생교육 기획․운영시 성인학습자의 학습 시간 확보를 위한 교육 내용 및 교육환경, 제도 지원의 운영 요인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수반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성인학습자 전담학위과정 운영을 통한 고등교육혁신으로서의 대학평생교육 정책의 중요도를 증진 시키고자 한다면 성인학습자의 성별과 연령은 매우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고,학습 시간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일-학업을 병행하는성인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학습 시간의 양적 확대를 위한 대학평생교육 운영 요인에 대한 깊이 있는 접근이 필요하다.

<가설2>를 통해 대학평생교육 전체 만족도는 대학평생교육 운영요인인 ‘교수자’, ‘교육환경’, ‘제도 및 지원’요인의 중요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수자’, ‘제도 및 지원’ 요인에 대한 중요성 인식이 대학평생교육 전반적인 정책 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교육환경’ 요인은 오히려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대학평생교육 추진에 있어 성인학습자를 가르치는 주체인 ‘교수자’와 대학평생교육의 원활한 추진을 지원하는 ‘제도 및 지원’이 대학평생교육 정책 만족도향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교육환경’ 요인은 대학평생교육 전반적인 정책 만족도를 결정하는 핵심 요인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성인친화형 대학 중심의 평생교육 활성화를 시도하는 대학들은 교육환경에 대한 인프라 구축 보다는 성인학습자의특성과 학습 장애 요인 등을 이해하고자 하는 ‘교수자’요인과 ‘제도 및 지원’ 의 인프라 확보에 주력해야 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성인학습자 전담 대학 모형을 추진하고 있는 대학 중심의 평생교육체제 전환 정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대학평생교육 운영 요인 가운데 ‘교수자’와 ‘제도 및 지원’부분을 충분히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가설3>에서는 앞서 살펴본 정책만족도가 최종적으로 대학평생교육 학습자의 삶의 만족도와 대학평생교육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결과 대학평생교육 정책만 족도는 삶의 만족도와 평생교육 추천의도에 모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평생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성인학습자가 대학평생교육 정책을 만족할수록 학습자의 삶의만족도가 증진되며 대학평생교육을 타인에게 추천하고자 하는 추천의도 증가함을 의미한다.

성인학습자 전담 학위과정 운영을 통한 고등교육 혁신으로서의 대학평생교육 정책은 성인학습자들의 ‘성별’과 ‘연령’ 의 인구통계학 특성이 정책 만족도를 증가시킬수 있는 핵심 요소이고, ‘교수자’와 ‘제도 및 지원’의대학평생교육 운영 요인이 전체 만족도 및 추천의도를 증진시키는 중요한 요인이다. 대학평생교육 운영요인의인식이 만족도 및 추천의도까지 연결되고 있음을 고려할 때 반드시 해당 변인들은 고등교육 혁신으로서의 대학평생교육 정책을 기획할 때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한다. 따라서, 미래 사회 변화, 학령기 인구 감소 등에 대응하기 위하여 대학들이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는성인학습자 전담 대학 모델 구축을 위한 움직임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참여하고 있는 성인학습자의 ‘성별’적 특징과 ‘연령’적 특징이 세밀하게 고려되어야 하고, 모형 구축에 있어 ‘교수자’ 와 ‘제도 및 지원’적 요인을 면밀하게 파악하고 강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참여 성인학습자들의 삶의 만족도와 타인 추천 의도를 높여 대학평생교육 관련 재정지원사업의 개인적 효과, 정책적 효과를 동시에 확보해야 한다.이 연구는 성인학습자 전담 학위과정 운영을 통한 고등교육 혁신을 도모하고자 하는 대학평생교육 정책 운영의 실제적 데이터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향후 관련 정책 추진 및 실제 운영 대학 중심의 평생교육체제 전환을 기획하고자 하는 각 대학의 움직임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표본의희소성이 지니는 연구의 의의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양적연구 수행에 있어 꾸준한 논란이 되고 있는 동일방법편의 문제와 다중공선성 문제 판단에 있어 통상적인기준인 Fornell & Lacker의 판별타당도 검증 및 VIF지수의 기준은 충족되었으나, 측정변인 간의 상관계수결과가 다소 높았다는 점에 있어 한계를 지니고 있다. 관련 연구가 추후 진행된다면 양적 연구의 한계를 보다 체계적으로 보완하기 위한 성인학습자 친화형 대학평생교육 운영 체제의 특성 등을 정밀하게 담아내는 실증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판단되며 양적 연구 뿐만 아니라 좀 더 심도 있는 결과 도출을 위해, 해당 사업 참여대학의 학습자, 관계자 등의 심층 인터뷰 등과 같은 질적연구 차원의 접근이 시도된다면 고등교육 혁신으로서의 대학 중심의 평생교육 활성화 움직임을 사례적으로 설명하고 새로운 모델 구현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References

  1. 김진모, 황영훈, 후진학 수요조사 및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발전방안 연구, 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17.
  2. 이정표, "평생교육에 대한 국민 의식과 정책적 함의," 평생교육학연구, Vol.7, pp.19-40, 2018.
  3. 이정표, 정혜령, 안현용, 고등교육법 개정에 따른 일반대학에서의 선행경험학습인정제(RPL) 도입 시행 방안연구, 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18.
  4. 안현용 "대학의 평생교육," 2017년 평생교육백서, 교육부․국가평생교육진흥원, pp.270-283, 2018.
  5. 안현용, "대학평생교육 지원사업," 2018년 평생교육백서, 교육부․국가평생교육진흥원, pp.302-310, 2019.
  6. 임영희, 권인탁, "대학평생교육정책의 실태분석과 전략," 열린교육연구, Vol.16, No.1, pp.95-115, 2018.
  7. 권인탁, 김정환, 김희동, 임영희, 안현용, 대학의 성인친화형 교육 운영 개선 방안 연구, 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18.
  8. 서영인, 대학평생교육 재정지원사업 진단 및 개선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19.
  9. 안현용, "고등교육과 평생교육 결합의 현재와 미래: 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전환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2019 한국교육학회 연차학술대회, 2019.
  10. 최돈민, "지역 평생학습 촉진을 위한 대학평생교육의 기능과 역할 제고 방안," 교육종합연구, Vol.6, No.2, pp.89-111, 2008.
  11. 천세영, 한숭희, "평생학습사회에서의 고등교육의 의미와 대상의 위상전환," 평생교육학연구, Vol.12, No.1, pp.121-144, 2006.
  12. 곽삼근, "평생학습사회의 성인학습자와 고등교육개혁의 과제," 평생학습사회, Vol.9, No.3, pp.1-26, 2013.
  13. 채재은, 한숭희. "고등평생학습체제의 형성과정 분석," 평생학습사회, Vol.11, No.4, pp.1-24, 2015.
  14. 한숭희, 이은정, "고등교육 보편화와 체제적 복잡화," 평생학습사회, Vol.12, No.1, pp.1-31, 2016.
  15. 최상덕, 한효정, "성인의 수요분석을 통해 본 대학평생교육의 과제와 정책적 시사점," 평생학습사회 Vol.15, No.4, pp.1-26, 2019.
  16. 연지연, "한국 대학평생교육정책의 변동과정 분석," Andragogy Today, Vol.22, No.3, pp.268-296, 2019.
  17. 권대봉, 김재현, 이윤수, 김희동, "대학부성평생교육원 담당자의 직무역량요구분석," 평생학습사회, Vol.9, No.1, pp.55-79, 2013.
  18. 김영준, "장애인의 직업교육훈련을 위한 대학평생교육원 조직 및 교육과정체계 구축 방안," 평생교육․HRD연구, Vol.13, No.3, pp.87-123, 2017.
  19. 김정헌, 이희수, "대학 중심 평생학습 활성화 지원사업 참여 대학의 조직 진단과 시사점,"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0, No.2, pp.29-49, 2015.
  20. 이지혜, 권진희, "성인대학생이 경험한 평생학습중심대학, 형식 교육과 비형식교육의 경계," 평생교육학연구, Vol.22, No.3, pp.55-85, 2016.
  21. 조대현, 김정주, "해외사례분석을 통한 성인전담 단과대학 운영 방안 : 미국과 영국 대학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학연구, Vol.23, No.1, pp.379-404, 2017.
  22. 소원근, 김하균, "평생교육 참여동기 요인이 교육만족도를 매개로 교육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Asia-pacific Journal of Multidedia Service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7, No.5, pp.175-185, 2017.
  23. 이희정, "대학평생교육원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참여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 Vol.19, No.2, pp.67-108, 2011.
  24. 최돈민, 이세정, 김세화, "한국 성인의 평생교육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평생교육학연구, Vol.14, pp.29-55, 2008.
  25. 이석진, 이승진, "성인 평생학습자의 교육 참여 동기와 교육만족도에 관한 메타분석," 평생학습사회, Vol.11, No.4, pp.165-193, 2015.
  26. 강병걸, 노인학습자의 평생교육만족도와 자아통합간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27. A. W. Astin, "Diversity and multiculturalism on the campus: How are students affected?," Change: The Magazine of Higher Learning, Vol.25, No.2, pp.44-49, 1993. https://doi.org/10.1080/00091383.1993.9940617
  28. 서명환, 김진숙, "성인학습자의 학습유형과 학습만족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노인의료복지연구, Vol.8, No.2, pp.66-85, 2016.
  29. 임광명, 김성수, "여성 학습자의 특성에 따른 인터넷교육 프로그램 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관한 연구," 농촌지도와 개발, Vol.8, pp.25-40, 2001.
  30. 변주성, "평생교육기관 도자교육 프로그램의 학습성과 영향요인 구조분석," 미술교육연구논총, Vol.28, pp.81-108, 2010. https://doi.org/10.35657/JAE.2010.28.0.004
  31. 황치석, "성인학위학습자의 만족도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학점은행제 성인학습자를 중심으로," 평생교육.HRD 연구, Vol.1, No.1, pp.95-112, 2005.
  32. 전국자, 정민, "성인여자대학생의 고등교육 참여 동기와 평생교육 만족도 및 삶의 질 간의 관계," 교육문화연구, Vol.22, No.3, pp.203-227, 2016.
  33. 서화정, 김병주, "교육만족도, 교육성취 및 취업지원참여도, 직무일치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재정경제연구, Vol.23, pp.185-205, 2014.
  34. D. K. Rigby, F. Reichheld, and C. Dawson, "Winning customer loyalty is the key to a winning CRM strategy," Ivey business journal, Vol.64, No.4, pp.1-6, 2003.
  35. 김영숙, 이지연, "창의적 예비영어교사 양성을 위한 전공교과목 교수방법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pp.273-298, 2018.
  36. 조윤경, "대학 교양 수업에서 커뮤니케이션 요인이 학생 흥미 및 참여에 미치는 영향: 교수자의 명료성.친근성 요인과 학습자 커뮤니케이션 동기를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 Vol.54, No.2, pp.224-258, 2017.
  37. 신은경, 이홍석, 현영섭, "평생교육기관의 관계마케팅 실행요인이 관계만족과 재등록의도에 미치는 영향," 평생교육학연구, Vol.16, pp.101-126, 2010.
  38. 김종의, 서정희, "대학교육서비스의 고객만족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경영교육연구, Vol.38, pp.39-57, 2005.
  39. 김종식, 임왕규, "노인평생교육 참여동기가 교육만족도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5, pp.179-189,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5.179
  40. 김나영, 강정은, "여성 평생교육참가자의 참여동기, 기관의 지원, 만족도, 학습성과 간의 관계 규명,"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12, pp.958-968,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2.958
  41. 황보혜, 최은수, "학점은행제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가 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평생교육.HRD 연구, Vol.5, No.4, pp.121-146, 2009.
  42. 장은정, 서윤경, 정효정, "사이버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이러닝 콘텐츠 구성요소별 만족도가 강좌의 만족도, 효과성 인식과 중요도 인식에 미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 Vol.26, No.1, pp.57-85, 2010.
  43. 강현정, 김윤정, "충남 노인의 평생교육 참여 경험, 요구도 및 참여 만족도에 관한 연구 예술인문사회융," 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pp.735-745, 2017.
  44. 이희정, "대학평생교육원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참여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 Vol.19, No.2, pp.67-108, 2011.
  45. 권혜진, "개인, 교육기관, 사회적 변인이 사이버대 재학생의 중도탈락의도 결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3, pp.404-412,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3.404
  46. 주영주, 이진수, 손현수, "사이버대학생의 직장유무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 상황적 제한, 학습시간 및 환경관리, 만족도, 전이동기의 잠재평균분석," 평생교육학연구, Vol.17, pp.145-168, 2011.
  47. 채선영, 임미라, 안대희, 김광진, "커피관련전공의 교육서비스품질이 학생만족도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 pp.425-436,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1.425
  48. 강려은, 양성병, "IT 교육 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도, 현업적용의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학습자 직위 및 참여동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지능정보연구, Vol.23, No.4, pp.169-196, 2017. https://doi.org/10.13088/JIIS.2017.23.4.1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