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iosk

검색결과 147건 처리시간 0.031초

중·고령층 키오스크 교육용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위한 UX 디자인 (UX Design Proposal for Educational Software Service Middle-aged and Elderly)

  • 윤예진;하광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227-239
    • /
    • 2021
  • 디지털 사회로의 전환은 일상적 사회 활동이 일어나는 부분부터 가속화되고 있으며, 이에 무인주문결제 키오스크는 사회 전반에 이미 보편화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속도를 따르지 못하는 중·고령층 다수가 무인주문결제 키오스크와 관련하여 디지털 소외를 경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무인주문결제 키오스크와 관련하여 일어나는 디지털 격차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디지털 격차 개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연구 관점을 검토하고 키오스크 교육 지원에 주목하여 문헌 연구 및 실증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현재 키오스크 교육의 한계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새로운 키오스크 교육용 소프트웨어 UX를 제안하고 사용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무인주문결제 키오스크 사용에 있어 교육의 효용이 작용하는 부분과 보완이 필요한 부분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일상적 소외를 경험하는 중·고령층을 대상으로 키오스크 교육의 기회 확장을 위한 교육용 서비스 개발의 연구 자료로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가변형 키오스크를 위한 지능제어 시스템 설계 (Intelligent Control System for Universal Kiosk)

  • 경여선;김주웅;유영철;정성부;엄기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79-582
    • /
    • 2011
  • 가변 메카니즘은 키오스크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키와 위치를 초음파 센서를 통하여 감지하고, 이를 통하여 적정한 높이와 키오스크의 방향을 조절한다. 본 논문에서는 가변형 키오스크의 높이와 방향 제어를 위하여 ADALINE-퍼지 논리 시스템 제어 방식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식의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가변형 키오스크 시스템이 사용자의 방향과 높이에 따른 제어 동작을 제대로 수행하는지 대하여 Widrow-Hoff 델타 규칙과 실험을 통하여 성능을 비교 검토 하였다.

  • PDF

블루투스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프레임워크 설계 (Data Processing Framework Design by Bluetooth)

  • 남용수;김태용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55-458
    • /
    • 2009
  • 블루투스 기술은 이동 단말, 개인용 컴퓨터 및 주변기기, 정보가전 등에 다양하게 적용되어 왔다. 이러한 적용 영역들 중에서도 원래 블루투스 기술의 최대 관심인 휴대폰에의 적용이 가장 비약적으로 이루어져, 현재는 무선 헤드셋 및 전화접속 네트워킹 등의 응용에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의 블루투스 기술은 무선 헤드셋 영역에 집중되어 있고 다양한 소프트웨어 응용 및 적용 사례가 미약하다. 본 논문에서는 블루투스 노드와 블루투스 AP(Access Point)를 이용하여 영화관, 기차역, 은행, 관공서 등의 다양한 장소의 키오스크 서버(Kiosk Server)에 원격으로 접속하여 모바일 단말기기는 사용자의 입력과 출력만을 담당하여 키오스크 서버에 전달되고 키오스크 서버는 전달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Profile의 프레임워크를 설계하여 차후 구현을 목표로 한다.

  • PDF

효과적인 상호작용을 위한 패스트푸드점 키오스크의 GUI 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Kiosk GUI Design in Fast Food Store for Effective Interaction)

  • 박은영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1043-1050
    • /
    • 2018
  • 식문화 편의경제 시대의 본격화로 인해 간편하고 편리하게 식사를 해결하려는 소비 트렌드가 확산됨에 따라 각 식품업체에서는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와 함께 주문방법에 있어서도 다양한 방식을 채택하여 신속하고 간편한 주문이 가능해졌다. 특히, 계산을 위한 대기열의 단축, 인건비의 절약, 업무프로세스의 원활함 등 여러 장점을 지닌 키오스크 주문 시스템의 도입은 최근 적극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키오스크 시스템이 주문뿐만 아니라 체계적인 콘텐츠를 제공하고 타 기업과 차별화 된 아이덴티티를 고려한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제공한다면 브랜드 이미지 향상과 더불어 고객서비스 전략으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패스트푸드점 내 키오스크의 구조 및 콘텐츠, 그리고 GUI 디자인에 관해 분석하고 사용자 설문조사를 통해 키오스크의 사용 실태 및 디자인 선호도를 조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사용성을 제공하고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상호작용을 위한 키오스크 GUI 디자인 방안에 관해 연구한다.

촉각적 인터랙션을 활용한 유희적 키오스크 인터페이스 디자인 (Sportive Kiosk Interface Design using Tangible Interaction)

  • 임병우;조동희;조용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155-164
    • /
    • 2008
  • 키오스크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공공장소나 상업공간에 배치된 무인정보시스템이다. 개인용 컴퓨터와 달리 다양한 사용자층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키오스크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위해서는 사용자의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지하철역과 같은 공공장소의 키오스크는 사용자를 고려하지 않은 인터페이스 디자인으로 사용성이 떨어져 무용지물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보다 적극적인 개선 방안으로 공공장소에서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컨셉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것을 위해 촉각적 인터랙션과 인터스페이스의 개념 그리고 사람과 컴퓨터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경험하는 유희성에 관해서 고찰하고 촉각적 인터랙션 원리를 활용한 인터스페이스에서의 유희적 키오스크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대해서 연구한다. 본 연구의 개념적 모델을 위해 아트콤(ART+COM) 프로젝트를 참고했다.

외식업체 키오스크의 지속 이용 의도에 대한 연구: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Continuance Use Intention of Kiosk Services: The Mediating Role of Satisfaction)

  • 김효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190-198
    • /
    • 2022
  • 비대면 서비스가 보편화 되면서 키오스크가 외식업 분야에서 중요한 서비스 채널로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외식업체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는 키오스크 이용 경험이 있는 시니어들을 대상으로 지속 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50-70대 시니어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420명의 응답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SPSS 25.0과 Amos 23.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키오스크의 인지된 유용성, 기대 일치가 키오스크에 대한 만족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키오스크의 인지된 유용성과 만족도가 키오스크에 대한 지속 이용 의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키오스크의 만족도가 인지된 유용성이 키오스크에 대한 지속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키오스크의 만족도가 기대 일치가 키오스크에 대한 지속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키오스크를 수용한 시니어들의 긍정적 반응을 이해하고, 시니어들을 배려한 키오스크 이용 환경을 구축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비대면 시대 고령자의 키오스크 사용자 경험 증대 연구 -맥도날드 키오스크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crease of kiosk user experience in Non-face-to-face Era for the Elderly -Focused on the McDonald Kiosk-)

  • 하재현;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8호
    • /
    • pp.285-292
    • /
    • 2021
  • 본 연구는 비대면 시대 고령자의 키오스크 사용 경험 증대에 관한 연구이다. 선행연구와 문헌 조사를 통해서 키오스크와 고령자에 관하여 고찰하였고. 참여 관찰법과 심층 인터뷰를 통해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인천 거주 60대 이상 고령자를 대상으로 2021년 4월 4일부터 16일까지 13일간 키오스크 사용 경험이 없는 8명을 대상으로 참여 관찰을 진행하였고, 사용 경험이 있는 3명을 추가하여 총 11명을 심층 인터뷰하였다. 실험 결과 고령자의 사용과정 페인 포인트(pain point)로 인터페이스와 심리적인 요인들이 도출되었고, 이를 종합하여 다섯 가지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고령자 키오스크 사용자 경험과 키오스크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의 자료로써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키오스크 이용 중단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Predicting Kiosk Discontinuance)

  • 김효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3호
    • /
    • pp.191-200
    • /
    • 2022
  • 본 연구는 키오스크 이용 중단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기 위해 기술수용모델과 계획된행동이론을 통합한 연구 모델을 제시하였다. 시니어(50-70대)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420명의 응답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키오스크의 인지된 용이성, 인지된 행위 통제, 만족감에 대한 인식 수준이 여성보다 남성 집단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성 집단에서 인지된 유용성과 만족도가 키오스크 이용 중단 의도를 감소시키는 반면, 감정 관성과 행동 관성이 키오스크의 이용 중단 의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성 집단에서 인지된 행동 통제가 키오스크의 이용 중단 의도를 감소시키는 반면, 행동 관성과 인지 관성이 키오스크의 이용 중단 의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키오스크에 대한 시니어들의 인식을 이해하고, 키오스크 이용 중단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통해 키오스크 서비스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Users' Satisfaction Analysis of Kiosk Contents in the Bus Stop

  • Lee, SeungMin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81-85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ser satisfaction of kiosk contents installed at bus stops in Seoul. A total of 400 kiosks, which are touch-based traffic information systems, are installed and operated, providing contents such as bus routes, marginal area, seoul tourism, life information, angel donation, transportation cards, magnifier and boarding request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user satisfaction scores of bus routes and transportation cards were high, but it was necessary to improve other cont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to propose user experience(UX) of public service design. We will also use it as content guidelines for public information kiosks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 PDF

u-웰리스 환경을 위한 건강관리 전문가 키오스크 시스템 (A Health Management Expert Kiosk System for u-Wellness Environment)

  • 여현진;최학원;임광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년도 제50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2권2호
    • /
    • pp.451-453
    • /
    • 2014
  • 본 논문은 공용부 기반 건강관리 Kiosk 개발을 통한 생체정보 및 건강 설문을 수집하여 Wellness Index 및 Expert 판정시스템을 통해 건강상태를 판정하고, 판정결과를 바탕을 개인 맞춤형 운동 및 영양정보 등을 추천하는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이다. 본 시스템은 바이오 생체정보 측정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건강 설문모델 및 Framework 과 Expert 판정 모델 및 Framework을 키오스크 시스템으로 구현하여 사용자에게 건강관련 맞춤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