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put delay system

검색결과 380건 처리시간 0.033초

입력 시간지연 시스템의 루우프 전달복구 설계 기법 (Loop transfer recovery design for input-delayed systems)

  • 박상현;이상정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96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국내학술편); 포항공과대학교, 포항; 24-26 Oct. 1996
    • /
    • pp.1201-1204
    • /
    • 1996
  • The previous results on LTR methods for time delay systems need the solution of the operator-type Riccati equation. In addition, it can be difficult to make the target loop shape representing the design specification. This paper proposes a new LTR method for input-delayed systems using well-established LTR method for non-delay systems. For doing this, a time delay margin is derived and the time delay of the input-delayed systems is assumed less than equal to the time delay margin. A simple example is presented for illustrations.

  • PDF

입력지연을 갖는 불확실 T-S 퍼지 시스템의 강인 디지털 확률적 안정화기 설계 (Making Robust Stochastic Stabilizer for Uncertain T-S fuzzy Systems with Input Delay)

  • 이호재;박진배;김정찬;주영훈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3년도 춘계 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 /
    • pp.321-324
    • /
    • 2003
  • 본 논문은 임의로 변화하는 입력지연을 갖는 불확실 T-S 퍼지 시스템의 강인 안정화를 논의한다. 임의로 변화하는 입력지연은 유한개의 상태를 갖는 마코프 확률과정으로 표현된다. 디지털 안정화기를 설계하기 위하여 연속시간 T-S 퍼지 시스템을 이산화하며 제어기의 입출력단에 영차의 샘플/홀드 함수를 가정한다. 이산화된 시스템은 확률적 과정에 따라 변화하는 도약 시스템으로 표현된다. 확률적 강인 안정가능성 조건은 선형 행렬 부등식의 현태로 표현된다.

  • PDF

시간지연 MIMO 비선형시스템의 MAC 제어기 설계 (MAC for MIMO Nonlinear System with Delayed Input)

  • 장원량;김홍철;정길도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6권2호
    • /
    • pp.52-60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입력에 시간 지연이 존재하는 비선형 다중입출력(multi-input/multi-output (MIMO)) 시스템을 위한 디지털 제어기를 제안하였다. 다중 입력 시간 지연 비선형 시스템을 테일러의 추산 방법으로 이산화하고, 이 이산형 시스템을 일반적인 비선형 시스템으로 변환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일반 비선형 제어기를 이산형 시간 지연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MAC 제어기를 설계하고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제안된 방법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시뮬레이션의 결과 제안된 제어기는 비선형 다중입력 다중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에 시간지연이 발생하더라도 시스템의 성능을 유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제안된 방법은 비선형 시간 지연 시스템의 제어에 유용함을 알 수 있다.

인터넷 기반 원격제어를 위한 임의의 시간지연을 갖는 지능형 제어기의 설계 (Design of Intelligent Controller with Time Delay for Internet-Based Remote Control)

  • 주영훈;김정찬;이호재;박진배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293-299
    • /
    • 2003
  • 본 논문은 인터넷 상에서 임의로 변화하는 입력지연을 갖는 불확실 퍼지 시스템의 지능형 강인 퍼지 제어기 설계를 논의한다. 임의로 변화하는 입력지연은 유한개의 상태를 갖는 마코프 확률과정으로 표현된다. 디지털 안정화기를 설계하기 위하여 연속시간 Takagi-Sugeno 퍼지 시스템을 이산화하며 제어기의 입출력단에 영차의 샘플/홀드 함수를 가정한다.이산화된 시스템은 확률적 과정에 따라 변화하는 도약 시스템으로 표현된다. 확률적 강인 안정가능성 조건은 선형 행렬 부등식의 형태로 표현된다.

Construction of a robust tracking system with N-th sampling delay

  • Inooka, Hikaru;Ichirou, Komatsu Ken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1년도 ICCAS
    • /
    • pp.87.5-87
    • /
    • 2001
  • In the past, we presented the tracking system with one sampling delay. In this paper, first we propose a tracking system with N-th sampling delay, in the case where an input-output pulse transfer function of a plant Z$\_$-N/. Secondly we propose a system configuration converting an input-output pulse transfer function of a plant into Z$\_$-N/ with the inverse system of the plant. Moreover, the proposed tracking system configuration is applied to an actual Ball and Beam system and good results are obtained.

  • PDF

Internet Teleoperation of a Robot with Streaming Buffer System under Varying Time Delays

  • Park, J.H.;J. Kwon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1년도 ICCAS
    • /
    • pp.82.1-82
    • /
    • 2001
  • It is known that existence of irregular transmission time delay is a major bottleneck for application of advanced robot control schemes to internet telerobotic systems. In the internet teleoperation system, the irregular transmission time delay causes a critical problem, which is unstable and inaccurate. This paper suggests a practical internet teleoperation system with streaming buffer system, which consists of a buffer, a buffer manager, and a control timer. The proposed system converts the irregular transmission time delay to constant. So, the system effectively transmits the control input to a remote site to operate a robot stably and accurately. This feature enables short control input interval. That means the entire system has ...

  • PDF

복수 입력 시간지연 시스템의 한켈 근사화 (Hankel approximation of commensurate input delay systems)

  • 황이철;태전쾌인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97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 한국전력공사 서울연수원; 17-18 Oct. 1997
    • /
    • pp.1452-1455
    • /
    • 1997
  • This paper studies the problem of approximating commensurate input delay sustems by finite dimensional systems based on the Hankel singular values. I is shown that the Gankel singular values are solutions a trancendental equation and the Hankel singular vectors are obtained form the kernel of the matrix. The computaioin is carried out in state spae framework. Once singular values and vectors are calcualted, finite dimensional approximated systems are constructed using stadnard linear system computational tools. An example is included.

  • PDF

가상 상태를 이용한 시간 지연 시스템의 슬라이딩 모드 제어 (Sliding Mode Control for Time-delay System using Virtual State)

  • 송영삼;권성하;박승규;오도창;정은태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0년도 제15차 학술회의논문집
    • /
    • pp.341-341
    • /
    • 2000
  • This paper presents a sliding mode control(SMC) design method for single input linear systems with uncertainties and time delay in the state. We define a sliding surface for the augmented system with a virtual state which is defined from the nominal system. We make a virtual state from optimal control input using LOR(Linear Quadratic Regulator) and the states of the nominal system. We construct a controller that combines SMC with optimal controller. The proposed sliding mode controller stabilizes on the overall closed-loop system.

  • PDF

Effects of interface delay in real-time dynamic substructuring tests on a cable for cable-stayed bridge

  • Marsico, Maria Rosaria
    • Smart Structures and Systems
    • /
    • 제14권6호
    • /
    • pp.1173-1196
    • /
    • 2014
  • Real-time dynamic substructuring tests have been conducted on a cable-deck system. The cable is representative of a full scale cable for a cable-stayed bridge and it interacts with a deck, numerically modelled as a single-degree-of-freedom system. The purpose of exciting the inclined cable at the bottom is to identify its nonlinear dynamics and to mark the stability boundary of the semi-trivial solution. The latter physically corresponds to the point at which the cable starts to have an out-of-plane response when both input and previous response were in-plane. The numerical and the physical parts of the system interact through a transfer system, which is an actuator, and the input signal generated by the numerical model is assumed to interact instantaneously with the system. However, only an ideal system manifests a perfect correspondence between the desired signal and the applied signal. In fact, the transfer system introduces into the desired input signal a delay, which considerably affects the feedback force that, in turn, is processed to generate a new input. The effectiveness of the control algorithm is measured by using the synchronization technique, while the online adaptive forward prediction algorithm is used to compensate for the delay error, which is present in the performed tests. The response of the cable interacting with the deck has been experimentally observed, both in the presence of delay and when delay is compensated for, and it has been compared with the analytical model. The effects of the interface delay in real-time dynamic substructuring tests conducted on the cable-deck system are extensively discussed.

시간지연과 입력포화를 갖는 T-S 퍼지 카오스 시스템의 동기화 (Synchronization of T-S Fuzzy Chaotic System with Time-Delay and Input Saturation)

  • 김재훈;신현석;김은태;박민용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2권1호
    • /
    • pp.13-21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시간지연과 입력포화를 갖는 카오스 시스템에 대한 퍼지 모텔 기반의 동기화 기법을 제안한다. 시간지연을 갖는 카오스 마스터 시스템과 슬레이브 시스템을 모델링하기 위해 Takagi-Sugeno(T-S) 퍼지 모델을 이용한다. 특히 슬레이브 시스템은 제어 입력이 제한되는 입력포화 특성을 갖는다고 가정한다. 선형 오차 피드백과 병렬 분상 보상(PDC) 방법에 따라 퍼지 카오스 동기화 시스템을 설계하고 동기화 오차 시스템의 국소 안정도 조건을 해석한다. 신호 전송 채널에는 시간지연이 항상 존재하므로 채널 시간지연 또한 고려한다. 입력포화와 시간지연을 갖는 퍼지 동기화 시스템의 국소 안정도에 대한 충분 조건은 Lyapunov-Krasovskii 이론을 적용하여 선형 행렬 부등식 (LMI) 문제의 해를 통해 얻어진다. 제안된 동기화 기법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모의 실험을 수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