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oup counseling program

검색결과 448건 처리시간 0.025초

루브릭 학습전략 프로그램이 중학생 학습문제 및 학습동기와 자기효능감,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Lubric Learning Strategy Program, to solve problem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learning, on learning motivation, self-efficacy and self-regulation)

  • 정정순;변상해
    • 벤처창업연구
    • /
    • 제7권1호
    • /
    • pp.27-33
    • /
    • 2012
  • 본 연구는 루브릭 학습전략 프로그램이 중학생 학습문제 및 학습동기와 자기효능감, 자기조절력, 학습전략 사용에 효과가 있는지 검정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 활용된 실험설계는 전 후 검사 통제집단 설계로서 개발된 프로그램을 이용한 루브릭 학습전략 훈련을 독립변인으로, 학습동기와 자기효능감, 자기조절력, 학습전략을 종속변인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소재 Y 중학교 1, 2, 3학년 중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30명씩 모두 60명의 학생이었다. 이 연구는 2009년 6월 25일부터 8월 27일까지, 10주간 매주 1회 90분씩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루브릭(rubrics) 학습전략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습동기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상당히 의미 있게 변화되었다. 이는 하위 변인인 수업동기, 계속동기, 외재적 동기, 내재적 동기 영역 모두에서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 둘째, 루브릭(rubrics) 학습전략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자기효능감이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하위 변인인 과제수준선호, 자기조절 효능감 영역 모두에서 긍정적 변화를 보였으나, 자신감영역은 조금 향상되었을 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자기효능감 전체 점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므로 루브릭 학습전략 프로그램은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루브릭(rubrics) 학습전략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자기조절력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 집단에 비하여 하위 변인인 자기조절양식과 의지적 억제양식 영역 모두에서 긍정적 변화를 보였다. 넷째, 루브릭(rubrics) 학습전략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하위 변인인 시연, 정교화, 조직화, 점검 영역 모두에서 긍정적 변화를 보였으나, 계획과 조절영역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학습전략 전체 점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므로 루브릭 학습전략 프로그램은 학습전략 사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만성질환 노인을 위한 운동교실 통합 자기관리교육 프로그램(하하프로그램)의 개발과정과 내용 (The Development Process and the Contents of the Self-management Education Program Integrated with Exercise Training (HAHA program) for Older Adults with Chronic Diseases)

  • 김선호;송미순;박연환;송욱;조비룡;임재영;소위영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69-181
    • /
    • 2011
  • Purpose: This paper presents the development process and the final contents of the sellf-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integrated with exercise training (Healthy Aging Happy Aging, HAHA program) for community residing older adults with chronic diseases. Methods: The program evaluation methodology was applied which is an interactive program development process based on needs assessment, formative evaluation, process evaluation and outcome evaluation. The program was developed and revised while the program was implementing to 22 hypertension (HT) and 32 diabetic (DM) participants. Results: The final program has two sub-programs for HT and DM participants utilizing self-efficacy resources. They share four common components; 1) health screening of exercise risks, 2) weekly 1-hour group self-management education classes, 3) biweekly 1-hour group exercise training and 4) a mid-term individual counseling. Both sub-programs were 12-weeks long but have different education and exercise contents. Participants-rated mean satisfaction scores were 3.47/4 and 3.61/4 for HT and DM program respectively. Attendance rate were 83.1% ~ 92.3% for the classes. Conclusion: The HAHA program developed by multidisciplinary team which reflected participants needs was accepted well by participants evidenced by high attendance rate and perceived satisfaction level.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an individualized nutrition counseling program matched with a transtheoretical model for overweight and obese females in Thailand

  • Karintrakul, Sasipha;Angkatavanich, Jongjit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1권4호
    • /
    • pp.319-326
    • /
    • 2017
  • BACKGROUND/OBJECTIVE: Effective weight reduction remains a challenge throughout the world as the prevalence of obesity and its consequences are increasing.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n individualized nutrition counseling program (IC) matched with a transtheoretical model (TTM) for overweight and obese subjects. SUBJECTS/METHODS: Fifty overweight and obese subjects aged 19-60 years with a body mass index ${\geq}23kg/m^2$ were enrolled in the weight reduction study. They were randomized into two groups: Intervention group received an IC matched with a TTM; control group received an educational handbook. Body weight (BW), body fat (BF), waist circumference (WC), waist to height ratio (WHtR), stages of change (SOC), processes of change (POC), food intake, and physical activity (PA) were assessed at baseline and at 4, 8, and 12 weeks after program initiation in both groups. All data were analyzed by intention-to-treat, using SPSS software for hypothesis testing. RESULTS: Forty-five female subjects were included in the 12-week trial at Ramkhamhaeng Hospital, Bangkok, Thailand.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weight loss ($1.98{\pm}1.75kg$; 3% loss of initial weight) in the intervention group at 12 weeks, compared to a $0.17{\pm}1.67kg$ loss in the control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s in BF mass ($-1.68{\pm}1.78$, $-0.04{\pm}1.62kg$); percentage BF ($-1.54{\pm}2.11$, $0.08{\pm}2.05$); WC ($-5.35{\pm}3.84$, $0.13{\pm}3.23cm$); WHtR ($-0.0336{\pm}0.02$, $-0.0004{\pm}0.02$), and energy consumption ($-405.09{\pm}431.31$, $-74.92{\pm}499.54kcal/day$) in the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s, respectively. Intragroup SOC was improved in both groups. The POC for the weight management action (WMA) proces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POC scores increasing by $16.00{\pm}11.73$ and $7.74{\pm}14.97$ in the intervention and the control groups, respectively. PA level did not change in either group. CONCLUSIONS: The IC matched with a TTM resulted in reductions in BW, BF, and WC, thus reducing likely health risks by decreasing energy intake and inducing positive behavior changes while enhancing the WMA process.

Effects of corrective exercises on selective functional movement assessment and health risk appraisal in middle-aged women

  • Kim, Jae Eun;Kim, Cheong;Kim, Sinseop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5권4호
    • /
    • pp.185-192
    • /
    • 2016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limited patterns of middle-aged women in selective functional movement evaluation and analyze the effects of pattern improvement exercises and general control groups on the Health Risk Appraisal (HRA). Desig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The 31 subjects were physically healthy middle-aged women aged 40-59 living in Seoul, The subjec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Forty-three physically healthy women were originally recruited and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experimental group (n=22) or the control group (n=21). However, due to lack of participation, a total of seventeen subjects in the exercise group and fourteen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the study. All subjects were tested using Selective Functional Movement Assessment (SFMA) and HRA for the baseline measurement and joined an exercise program of their group for one hour per session, twice a week for four weeks.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ovided with the corrective exercises and the control group was given the general fitness program. A follow-up test was conducted after eight weeks from the baseline measurement. Results: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SFMA and HRA scores (p<0.05).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s, the SFMA and HRA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from baseline to 4 weeks (p<0.05). Also,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SFMA was significantly improved from baseline to 8 weeks (p<0.05).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SFMA after 4 week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0.05). Conclusions: The corrective exercise in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FMA score as well as the general squat exercise in the control group. The corrective exercise and general control group had the same positive effect on the HRA score.

대학 신입생을 위한 심리적 진로장벽 해소 집단프로그램이 심리적 진로장벽,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자기결정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 Group Program Designed to Resolve the Psychological Career Barriers of University Freshmen on Their Psychological Career Barriers, Self-Efficacy in Career Decision-Making, and Self-Determination)

  • 이미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0호
    • /
    • pp.485-496
    • /
    • 2018
  •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이 느끼는 심리적 진로장벽 해소를 위한 집단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적용하고, 심리적 진로장벽,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자기결정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처치집단에 8명, 비교집단에 9명을 할당하여 처치집단에는 7회기에 해당하는 심리적 진로장벽 해소 집단프로그램을 실시하고 비교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처치집단과 비교집단 각각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로 심리적 진로장벽,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자기결정성검사를 실시한 후 사전 사후 차이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심리적 진로장벽점수는 비교집단에 비해 처치집단의 점수가 유의하게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점수는 비교집단에 비해 처치집단의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결정성점수는 비교집단에 비해 처치집단의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본 집단프로그램은 대학 신입생의 심리적 진로장벽 인식을 낮추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자기결정성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의 활용과 향후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갈등해결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공감 및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Conflict Resolution Program on Children's Psychological Well-being, Empathy, and Aggression)

  • 정종진;김미경
    • 초등상담연구
    • /
    • 제11권2호
    • /
    • pp.133-151
    • /
    • 2012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갈등해결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심리적 안녕감, 공감 및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Teolis(2002)의 초등학생용 갈등해결 활동들 중에서 일부를 발췌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부분 수정 보완하여 총 15회기로 구성한 갈등해결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초등학교 4학년 두 학급을 선정하여 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를 적용하여 10주에 걸쳐 주 1~2회(1회 40~50분) 갈등해결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타당성과 신뢰성이 있는 기존의 심리적 안녕감 척도, 공감 척도, 공격성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은 반복측정식 다분산분석 방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갈등해결 프로그램은 심리적 안녕감과 공감 수준을 향상시키고 공격성 수준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Self-esteem and Stress of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 김은지;김미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143-154
    • /
    • 2021
  • 본 연구는 학교부적응 청소년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A지역 B중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학교부적응 청소년 6명이며, 기간은 2021년 5월 12일 부터 6월 9일까지 주 2회, 회기당 60분씩 총 10회기 진행하였다. 연구 도구는 자아존중감 척도(SEI)와 빗속의 사람그림(PITR)검사의 사전·사후 변화를 살펴보았다. 자료 분석은 자아존중감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Wilcoxon test를 실시하였고 빗속의 사람그림(PITR)검사의 변화는 미술치료전문가 2명이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적이었다. 결론적으로 집단미술치료는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스트레스 감소에 도움을 주어,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심리적 안정감을 도모하는데 효과적임이 입증되었다.

뇌졸중 환자의 주간호제공자를 위한 비디오재활교육의 효과 (Effects of Video-guided Education for Primary Family-caregivers of Stroke Patients)

  • 조복희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37-246
    • /
    • 2011
  • Purpose: Family-caregivers of stroke patients usually go through hardship and life style changes during the protracted course of a family member's rehabilitation. There is need for programs to educate family-caregivers to better manage the medical crisis. In this study an evaluation was done of the degrees of burden and well-being experienced by primary family-caregivers following video-guided education (VGE) on rehabilitation and family lifestyle changes. Method: Fifty-eight primary family-caregivers of stroke patients on a neurological ward were divided into VGE (29) and control (29) groups. VGE was started within 7 days of patient admission. Interventions included VGE, counseling, and demonstration - re-demonstration. The control group received standard education but not VGE. Data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 test, t-test, ANC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the SAS program. Results: The VGE group had a significantly lower score for total burden (F=7.19, p=.010) and for sub-scale of time-dependent burden (F=8.44, p=.005) than the control group.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rimary family-caregiver burden and well-being (r=-.7151, p<.001). Conclusion: Results suggest that the rehabilitation program using VGE w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reduce the burden of primary family-caregivers of stroke patients.

장기현장실습 프로그램의 만족도 영향요인 탐색: K대학 IPP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An exploration of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long-term on-site training: Focusing on IPP of K University)

  • 이지영;이상곤
    • 공학교육연구
    • /
    • 제21권5호
    • /
    • pp.40-53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the program for the quality improvement of the long-term on-site training operated by the university. The survey questionnaire data of 393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IPP program of K university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long-term on-site training were corporation factors and university factors. Specifically, job contents, coaching, job scope, center support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in that order. Second, the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long-term on-site training were different according to group characteristics(IPP participation types, major types, corporation types). It is necessary to intensively manage the common and important corporation factors, and it is necessary to closely examine each factor derived from group characteristics, and to support and strive at university level according to group characteristics in student counseling and matching.

강점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보호관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Strengths-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of Self-esteem and Career Maturity of Adolescents on Probation)

  • 허정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639-648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강점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보호관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 보호관찰 여자청소년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각 15명씩 배치하였다. 본 연구결과 강점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보호관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영역가운데 일반적, 사회적 자아존중감 향상에서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지만, 가정적 자아존중감 향상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이는 보호관찰 청소년들의 가정적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해서는 가정 환경적 개입을 통해 부모와의 긍정적인 관계 회복, 가족기능의 회복을 도와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강점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보호관찰 청소년의 진로성숙 영역 가운데 계획성, 자기이해, 직업지식, 진로준비 영역에서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지만, 독립성 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보호관찰 청소년들이 스스로 자신의 진로에 대해서 관심을 갖고 준비하는 독립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가정과 사회가 더욱더 관심을 갖고 진로지도에 대해 구체적인 지원을 해야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강점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보호관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 향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보호관찰 청소년들이 자신과 타인을 존중할 줄 알며, 자신의 진로에 대해 구체적으로 계획을 세우고, 책임감 있게 행동할 수 있는 성숙한 인간으로 성장하도록 돕기 위해서는 더욱더 강점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대학생 멘토들을 활용해서 보호관찰 청소년들을 도울 수 있는 다양한 방안들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