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iend relationships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6초

일부 대학생의 사회적지지, 외로움, 음주 및 건강지각에 관한 연구 (Social Support, Loneliness, Alcohol Use and Perceived Health Status in College Students)

  • 박미경;정경희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72-83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social support, loneliness, alcohol use and perceived health status in college students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The convenience sample consisted of 473 students attending a college located at Chonnam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by a structured questionnaire which included the PRO85-partⅡ Social Support Scal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Alcohol frequency, Perceived Health Status Scale from June 10 to 25, 2001. And data were analyzed by SPSS/PC+program includ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ean scores of social support, loneliness and perceived health status were 3.01($SD={\pm}0.31$), 2.08($SD={\pm}0.34$), 1.64($SD={\pm}0.65$) respectively. 2. Students in use of alcohol mostly reported that they had started a drinking in the period of high school(35.7%), motivated with friendship(32.6%) and drank with their friends(56.9%) in drinking frequency of 2-3times per a month(49.6%). 3. The students who have friend of the opposite sex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have higher than the students having no friend of the opposite sex in scores of social support. 4. The scores of lonelines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female students than male students, in students with friend of the opposite sex than with no friend of the opposite sex. 5.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social support and loneliness(r=-5.25, p<.000), and between loneliness and perceived health status(r=-0.93, p<.05), while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perceived health status(r=1.01, p<.05). The findings suggested that supportive social support, especially lowering loneliness, would be a powerful nursing intervention in maintaining good health of college students. And, more variables affecting health status in college students will be identified with further research.

  • PDF

중학생의 학업열의, 학업소진 관련 변인 연구 (A Study of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Burnou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 권은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1호
    • /
    • pp.123-127
    • /
    • 2020
  • 본 논문의 목적은 중학생 개인변인과 환경변인이 학생들의 학업열의와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중학생의 학업문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청소년 학업관련 문제를 위한 다양한 해결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중학생 388명을 대상으로 중학생들의 학업열의와 학업소진에 있어 환경변인인 부모관계, 친구관계, 교사관계, 개인변인인 삶의 만족도, 행복감, 자아존중감, 자율성, 주의집중, 끈기, 우울의 영향력 정도를 확인하고자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학업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주의집중, 교사관계, 끈기,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부모관계, 우울, 행복감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우울, 교사관계, 친구관계, 부모관계, 끈기, 자아존중감, 주의집중 순으로 나타났다. 학업열의는 환경변인보다 개인변인이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나타났고, 학업소진은 개인변인보다 환경변인이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이러한 연구결과가 우리나라 중학생의 학업소진을 예방하고 학업열의를 일으키기 위한 방향과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대전지역 남자 중학생의 스트레스와 식행동의 관련성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Level and Dietary Behavior Score of Middle School Male Students in Daejeon)

  • 이정은;나현주;김영남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9
    • /
    • 2008
  • 본 연구는 청소년기 남자 중학생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정도와 식행동 실태를 조사하고, 스트레스가 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스트레스 요인으로 가족, 학업, 오락, 건강, 동성친구, 이성 친구, 교사, 일상생활의 8개 영역, 식행동 요인으로 식사의 규칙성과 균형성, 건강식의 3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대전 중구 지역에 위치한 남자 중학생 140명을 대상으로 2006년 7월 10일부터 7월 14일 사이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설문지 140부 중 총 128부(91.4%)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조사대상자의 스트레스 실태는 5점 만점에 평균 2.36으로 중간 정도 수준이었다. 영역별 차이는 크지 않았으며, 학업 영역에서의 스트레스(2.93)가 높았고, 이성 친구 관련 스트레스(1.96)가 낮았다. 둘째, 식행동 점수는 5점 만점에 3.02로 중간 수준이었다. 셋째, 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낮은 군, 중간 군, 높은 군의 3개 집단으로 구분하였을 때, 중간 군의 식행동 점수가 가장 높았고 높은 군의 식행동 점수가 가장 낮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넷째, 스트레스와 식행동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스트레스 총점은 식생활 균형성과 상관이 있었으며, 규칙성은 가족, 학업, 건강 관련 스트레스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가족, 학업, 건강 관련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수록 규칙성 점수는 낮았다.

  • PDF

모바일 상황정보와 온라인 친구네트워크정보 기반 텐서 분해를 통한 오프라인 친구 추천 기법 (Offline Friend Recommendation using Mobile Context and Online Friend Network Information based on Tensor Factorization)

  • 김경민;김태훈;현순주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2권8호
    • /
    • pp.375-380
    • /
    • 2016
  • 스마트폰과 Online Social Network Service(OSNS)의 대중화를 통해 언제 어디서든 주변인뿐만 아니라 전 세계 사람들과 상호작용 할 수 있게 되었고, 그 결과 사람들의 OSNS 사용률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일부 OSNS를 통한 대인관계 형성에 집중하는 사람들의 경우, 수많은 Face-to-Face Interaction(F2F Interaction)을 통해 형성되는 인간관계의 과정을 "친구추천" 버튼 하나로 건너뜀으로써 대인관계 기술 발달 및 유지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오프라인에서 F2F Interaction 기회를 발견 및 제공할 수 있는 상황정보 기반의 친구추천 기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 센서로부터 사용자의 상황정보와 Facebook에서 형성된 사용자 친구관계 정보를 수집하여 텐서 분해 및 결합을 기반으로 오프라인 환경에서 친구를 추천한다. 성능 평가를 위해 12명의 실험 참가자로부터 상황정보를 수집하고,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한국인의 대인관계에서의 기본도덕으로서의 의리분석 : 한국인에게 진정한 친구는 의리있는 친구인가 (An Analysis of Urie Consciousness and Behavioral Pattern in Close Relationships of the Korean People)

  • 김기범;김미희;최상진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8권1호
    • /
    • pp.79-101
    • /
    • 2002
  • 본 연구는 한국인들의 의리의식에 관한 것으로, 친밀한 대인관계 즉 우리성·정 관계에서의 의리행동 및 의리의식에 관해 개방형 질문지를 통한 질적인 접근 방법(연구 1)과 비디오(연구 2) 및 시나리오를 통한 실험(연구 3) 등의 양적 연구를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1차 연구에서는 의리있는 행동 및 의리없는 행동을 대비시켜 의리의 중요성을 조사하였고, 2차 연구에서는 두 친구간의 의리를 주제로 한 비디오를 보면서 의리행동에 관한 이해 및 공유된 의식 체계를 분석하였다. 이 비디오를 통한 실험은 피험자들이 자극으로 사용된 비디오를 보고 설명하는 방식과 이해하는 방식이 일반인들이 생각하고 이해하는 방식과 동일하다는 분석 방법에 따른 것이다. 마지막으로 3차 연구에서는 의리와 정의가 상충되는 상황을 시나리오를 통해 조작하여, 한국인들이 사회적 정의보다는 사(私)적인 정의이자 도덕인 의리를 더 중요시하는 가를 알아보았다. 연구 1, 2를 분석해 본 결과, 한국인들은 서로를 믿고, 어려울 때 도와주며, 아껴주는 마음을 보일 때 그리고 오랜 시간을 함께 보냈을 때 의리가 있는 것으로 생각하는 반면, 서로의 믿음을 저버리고 이기적일 때 의리가 없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친구간에 어떠한 행동이 의리를 지키는 행동이고, 친구간에 의리를 지켜야하는 당위성 및 행위양식에 대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3의 결과, 피험자들은 비록 사회적으로 정의롭진 않지만 친구와의 의리를 지키는 사람이 친구로서 바람직한 것으로 평가하였고, 의리를 지키는 것이 친구간에 관계를 유지하는데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 PDF

또래 괴롭힘의 피해 및 가해와 친구 관계의 관련성 : 친구관계망, 친구관계 질 및 친구의 특성을 중심으로 (Relationships between Victimization by Peers, Bullying, and Friendships, with a focus on Friendship Network, Friendship Quality, and Friends' Characteristics)

  • 신유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75-83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peer victimization by peers, bullying, and friendships, with a focus on friendship network, friendship quality, and friends' characteristics. The subjects were 678 fifth and sixth grade primary school children recruited from a public school in Bucheon city. The peer nomination index was used to assess peer victimization, bullying, and friendship network. In addition, children themselves reported on the quality of their friendships using the Friendship Quality Scale. The results showed that victimization by peers was influenced by friendship network size, support, and victimization of friends, whereas bullying was explained by support and the bullying behaviors of friends.

만3세 인기아의 친구 및 교사 관계 (A Popular Three-Year-Old Child's Relationships with Other Children and Teacher)

  • 소라;최연철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47-73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만3세 인기아의 친구와 교사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총 48회 참여 관찰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개별 면담, 교사 면담, 현장일지 등을 분석에 포함하였다. 인기아는 단짝 친구와 상호적 친구관계를 유지하면서 서로 도와주고 양보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다른 또래 유아에게는 배타적인 모습을 보였다. 교사가 의도적으로 분리했을 경우에는 단짝친구와 돈독한 친분을 유지하다가 제약이 풀리자 친한 관계가 사라져버리기도 했다. 반면 인기아는 친하지 않은 친구에게 지시적으로 대하고 자신이 원하는 대로 행동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인기아는 교사의 사랑과 칭찬을 받기 위해 의도적인 행동을 많이 했으며, 이러한 행동을 통해 교사로부터 보상을 받고 다시 강화를 받는 순환적인 경험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관계가 시작되는 만 3세 인기아의 삶 속에 들어가 친구와 교사와의 관계가 어떠한지 살펴봄으로써 인기아의 사회적 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동성애 관련 미디어 이용이 동성애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 18-22세 청년 대상으로 (The Effects of Gay Media Exposure on Chinese Young Adults' Attitude towards Same-Sex Relationships)

  • 조령함;이윤;이혜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123-136
    • /
    • 2021
  • 전 세계 28개국에서 동성 결혼이 합법화된 오늘날, 유교 문화권의 아시아 국가들에서 동성애는 여전히 사회적 편견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국가 정책적으로 동성애 콘텐츠가 대중매체에 노출되는 것이 통제되는 중국이라는 특별한 환경에 문화계발이론을 적용해 동성애 관련 미디어 이용이 동성애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 과정에서 성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나아가 동성애 영상 시청이 즉각적으로 동성애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중국에 거주하는 18세 이상 22세 이하 236명의 남녀를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 동성애 관련 미디어 이용이 많을수록 혹은 여성일수록 동성애에 대한 태도가 우호적이었다. 또한 여전히 이성애 영상을 더욱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동성애 영상 시청 이후 동성애 고백에 더욱 지지하는 태도를 보였다. 본 연구는 동성애에 대한 수용도가 낮은 유교 문화권의 국가에서 동성애 관련 미디어 이용이 동성애 태도에 미치는 문화계발 효과를 보여 더욱 포용적인 미래를 위해 한국을 포함한 유교 문화권의 아시아 국가에 적용할 수 있는 연구 결과를 보였다는 의의가 있다.

중학생의 학교적응 관련요인의 인과적 구조분석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School Adjust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Related Variables)

  • 배정이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454-464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 of familial factors (parental acceptance, autonomy, and family satisfaction), social support (teacher's support and friend's support), school achievement, self-concept, and school adjustment. Based on preceding research, this study established a path model of school adjustment and its related variables. Methods: Two thousand six hundred and twenty nine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by a visit-survey with an organized questionnaire and was analyzed by the SPSS and AMOS programs. Results: Self-concept showed a significantly direct influence to school adjustment while both family satisfaction and school achievement directly and indirectly influenced school adjustment. Parental acceptance, autonomy, and social support indirectly influenced school adjustment. Conclusion: These results imply that first, family satisfaction, and self-concept are essential to solve the problems of school adjustment. Especially friend's support, teacher's support and school achievement should help improve the self-concept and school adjustment. Second, a variety of programs are available for schools to employ in an effort to provide interventions for students who demonstrate school maladjustment. Finally, it is necessary for family, school and society members to comprehensively cooperate to improve school adjustment.

미혼 남녀의 개인적, 관계적, 상황적 변인이 데이팅 폭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dividual, Relational, and Contextual Variables on Dating Violence of Premarital Males and Females)

  • 손혜진;전귀연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43-63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much individual, relational, and contextual variables have an effect on the dating violence of premarital males and females. Researched are 369 male and female residents over 19 years who have experienced dating or were involved in any dating relationships in Daegu. The instruments of measurement are CTSⅡ scale and scales of relation to individual, relational, and contextual variables. The data are analysed through factor analysis, Cronbach's α, frequency, percentile,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dividual variables that affect doing and victimization of dating violence are one's permission degree of dating violence, and psychological abuses experienced during childhood from one's mother. Second, relational variables that affect doing and victimization of dating violence are control toward one's partner, communication, conflict, commitment, intimacy, satisfaction of dating relationship, and feeling of inferiority toward one's partner. Third, contextual variables that affect doing and victimization of dating violence are familial relationships, friend relationships, and financial stres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