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inary arts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31초

한식조리전공의 교육과정에 관한 조리전공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인식 조사 (The Perceptions of Culinary Art High School and Undergraduate Students on the Curriculum for Korean Culinary Arts Majors)

  • 김성민;이나영;정혜정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89-498
    • /
    • 2010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nd opinions of culinary art high school and undergraduate students on the curriculum for Korean culinary arts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High school students were found to be more satisfied regarding their culinary arts curriculum than college and university students (p<0.001). In addition, high school students gave a significantly higher score for the 'need for Korean culinary arts major' than college and university students' (p<0.001). University students placed more emphasis on the current policies and business projects of the government for globalization of Korean cuisine as compared to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p<0.001). A high percentage of respondents perceived Korean cuisine to be 'old fashioned(44.6%), followed by 'difficulty in finding a good job(40.1%)'. Forty five% of the students responded that the important factor for Korean culinary arts education was the 'curriculum'. More than half of the students perceived 'ability to adapt traditional cuisine style to foreigners and modern customers' as a very important area. In terms of areas required to be included in Korean culinary arts curriculum, ‘basic cooking skills(4.49)' received the highest perceived need score, followed by 'languages(4.46)', 'traditional Korean food(4.33)' and ‘Korean food culture(4.21)'. The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used to develop a curriculum for Korean culinary arts major.

외식조리전공 대학생들의 자격증 소지가 수업 만족도 및 취업 준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Having the Certifications Students of Majoring in Culinary Arts on the Satisfaction of Class and Preparation for Employment)

  • 오석태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42-256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university students who majored in culinary arts. The effects of students' certifications on class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their effects on preparation employment were examin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with the certifications had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in the class satisfaction, but they also had high stress in the school life. In other words, it seemed that the stress was increased in parallel with the school life in obtaining the certificate. In the case of qualification for preparation employment, the certification affects the preparation for employment even for the culinary arts majors. As for the number of certificates and passions, the change was found from 3 certifications, lower in 4, but again in 5.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ertification initially increases enthusiasm, but when it reaches a certain level, it reaches its limit and it rises again after passing the interval. Also, students who graduated from cooking related high school showed high passion compared to those who did not.

조리과학 고등학생들의 푸드 스타일리스트 직업 정보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wareness of Foodstylist Job Information for Culinary Arts Science High Schoolers)

  • 김기영;이진하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91-107
    • /
    • 2006
  • This thesis aims to consider theories of job information on foodstylist, conduct a survey among culinary arts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in the most critical period of decision-making for the future career, and analyse the survey results on foodstylist by using SPSS10.0. The analysis shows that culinary high school students mainly get their job information on foodstylist through mass media. Thus, it can be deduced that use of mass media and the Internet can be the most effective to promote the awareness level of foodstylist. Culinary high schoolers' parents were positive about female students' being foodstylists, and those going to college showed more interest than job seekers about being foodstylists. In addition, the result of Bonferroni post-hoc test according to parents' monthly income showed that those with higher monthly income were positive about their children's being foodstylists. However, given that culinary high schoolers' overall satisfaction is low, provision of the information through a variety of information channels is necessary. It is expected that promotion of the information provision will serve a turning point in awareness.

  • PDF

조리전공 고등학생들의 인지된 교육서비스가 학교만족도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rceived Educational Services among the High School Students Majoring in Culinary Arts on School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 송민경;정희선;윤혜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12
    • /
    • 2011
  • 본 연구는 조리전공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교육 서비스가 학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학교만족도와 추천의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교육서비스 요인을 도출하였고 총282개의 표본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 데이터는 SPSS 1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회귀분석 동의 분석 방법으로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회귀분석을 통해 '전문교과서비스'와 '시설서비스'가 학교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학교만족도는 추천의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교육서비스의 수요자인 조리 전공 고등학생들의 학교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내실 있는 전문교과 운영과 시설투자에 관한 재정적 지원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한계점과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 PDF

출신고교에 따른 외식조리학과 재학생들의 교육만족도와 직업선호도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Education and Job Preference among Culinary Students Based on Their High Schools)

  • 오석태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91-306
    • /
    • 2013
  • 본 연구는 조리학과에 재학생을 대상으로 졸업고등학교를 변인으로 하는 학업만족도와 직업선호도에 관계를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대학에서 조리교육 프로그램을 계획할 때 바람직한 방향을 제공하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그 결과 기본적인 정보에서 학생들은 스스로 학과를 결정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들 대부분은 조리분야의 직업이 힘들고 어려운 것을 알고 있었고, 그렇지만 이를 극복하고 성공하겠다는 도전적인 의지가 강하게 나타났다. 출신학교별로 학업만족도에서는 조리관련 고등학교 출신학생들이 실습프로그램에 낮은 만족도를 보였고, 실업계 학생들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인문계 학생들은 이론과목에 만족도가 다른 학생들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학과선택에서도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출신학교별 직업선호도는 커다란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학업만족도와 직업선호도간에 관계에서는 학업만족도가 높으면 직업선호도 역시 높게 나타났으며, 해외 취업을 계획하고 준비하는 데는 학업만족도에 관계없이 대부분의 학생들이 해외취업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중심으로 조리관련 고등학교 졸업생들에 대한 차별화된 프로그램의 도입, 실업계 고등학교 출신 학생들의 실습교육 적응프로그램 개발과 학업만족도에 따른 그룹에 있어서 높은 그룹은 자기주도적인 진로설계를 유도하는 반면 하위그룹에게는 해외취업과 같은 동기부여를 통해 학습만족도를 높이는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 PDF

부산 지역 중.고등학생의 패스트푸드 이용 실태와 영양지식, 식생활 태도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st Food Consumption Patterns and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Busan)

  • 최민경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88-200
    • /
    • 200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fast food consumption patterns,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Busa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mong 562 students from April 8 to April 22 in 2006.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Convenience to eat is the best motive for visiting fast food restaurants. Nutrition knowledge scores of middle school male students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The more nutrition knowledge female students have, the lower fast food consumption becam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nutrition knowledge and fast food consumption in male students.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ducation levels of their parents and dietary attitude of the subjects(p<0.01). Pocket money showed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dietary attitude and with fast food use frequency(p<0.05).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attitude of the subjects. The use frequency of fast food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dietary attitude(p<0.01) and nutrition knowledge(p<0.05) of the subjects. Therefore, proper nutrition education is required to improve their nutritional status and dietary attitude.

  • PDF

한식조리전공 고등학생들의 교과과정 만족도가 진로 결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atisfaction with the Curriculum on Career Decisions among the Students Majoring in Korean Food)

  • 이인성;이경래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0-6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조리 관련 전문계 고등학교에서의 한식조리전공에 대한 만족도를 통하여 전공에 대한 진로 결정을 하는데 있어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고 학생들 개인별 직업 세계에 대한 정확하고 올바른 가치관을 인식시켜 학생들에게 한국음식의 우수성과 경쟁 전략 및 한국음식의 무한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는데, 실증연구에서는 전문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현재 전공에 대한 만족도가 한식조리사의 진로 결정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조사하기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3개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가설 1은 조리전공 고등학생의 교과과정의 만족도(전공의 만족도, 전공의 전망성)는 진로 결정의 불안감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가설2는 조리전공 고등학생의 교과과정의 만족도(전공의 만족도, 전공의 전망성)는 진로 결정의 갈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가설 3은 조리전공 고등학생의 교과과정의 만족도(전공의 만족도, 전공의 전망성)는 진로 결정의 안정감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 결과, 고등학생의 대부분이 전공과정에 대해서 비교적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불안감을 크게 겪고 있지는 않지만 아직까지 진로 결정에 대한 갈등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교육과정을 통해 학생들에게 한식조리사에 대한 명확한 비전을 제시하고, 취업에 대한 길을 제시하여 주는 것이 교육과정에 중요한 과제라고 보여 진다.

  • PDF

조리 실습 시설의 만족 수준과 사전 교육 경험에 따른 조리전공 대학생의 대학 생활 적응도 - 충청도에 위치한 대학을 중심으로 - (Culinary Art Students' Adaptation to College Life according to Their Satisfaction with a Culinary Laboratory and Their Educational Experience - Focus on the Universities in Chungcheong Province -)

  • 나태균;이동근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85-198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조리전공자의 조리 실습 시설에 대한 만족도와 입학 전 교육 경험에 따른 대학 생활 적응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충청권에 위치한 대학교 3곳의 조리전공자를 대상으로 총 200명을 표본으로 수집하였으며, 이 중 191부를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남학생과 고학년 전공자, 일반계 고등학교 졸업자의 대학 생활 적응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입학 전 교육 경험이 없는 집단이 교육 경험이 있는 집단에 비해 대학 생활 적응도가 부분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리 실습 시설의 만족 수준이 높은 집단이 만족 수준이 낮은 집단보다 대학 생활 적응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상호작용 효과의 분석결과는 조리 실습 시설 만족도가 높은 집단의 경우 사전 교육 경험이 없는 집단의 대학 애착 정도와 신체적 적응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전 교육 경험이 있는 집단의 경우 정서적 적응 및 사회적 적응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리 실습 시설 만족도가 낮은 집단의 경우, 사전 교육 경험이 없는 집단의 대학 애착 정도만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전 교육 경험이 있는 집단의 사회적 적응, 정서적 적응, 신체적 적응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미래 지향적 교수-학습이 원만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전공자의 만족도가 높고 그 기능을 충분히 다할 수 있는 새로운 조리 교육 환경이 계획되어야할 것이다.

  • PDF

어린이의 식품안전에 대한 관심도와 행동평가 (A Study on the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of Food Safety i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정환;유택용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49-261
    • /
    • 200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ildren's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of food safety. A total of 355 data were collected from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concern of food safety was moderate in 5 point Likert scale and relatively high correlated with food safety knowledge(r=0.571) and education(r=0.534). The experience and knowledge of terminology on food safety were estimated. The level of food safety was classified into 5 groups and the consideration of food purchase was classified into 3 groups by factor analysis. A few children were aware of the food safety knowledge and could hardly understood English terminology. And the food safety practices were surveyed, and most of children checked with expiration dates and packaging conditions of food. Personal hygiene practice of children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gender, self hygiene evaluation and the knowledge level of food safety. Providing more food safety information affects personal hygiene and the practices of food purchase, so educational programs on food safety for children were required.

  • PDF

고등학생들의 섭식행동 통제가 심리적 성취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ating Behavior Control on Psychological Achievement Change in High School Students)

  • 오성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725-731
    • /
    • 2011
  • In this study, a survey was carried out on 300 students in Korea Culinary Arts Science High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from August 1 to August 30, 2011 to figure out how the control of high school students' eating behavior affects the change of their psychological achievement. Analysis showed that attitude toward eating behavior, and perceived behavior that recognize this and act, as eating habits for control of their eating behavior, are the most control factors of eating behavior. It says that the right perception of customary attitude and the correction of habits according to the exposure and performance of repetitive eating behaviors are important. Consequently, an ordinarily regular norm as a social norm, or a rule around it won't act as big positive fa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