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nection of curriculum and textbooks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3초

초등 실과, 기술가정, 가정과학 교과 내 '의생활' 영역의 연계성 분석 (The Connection Analysis on the Areas of Clothing and Textiles in Practical Arts,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and the Science of Home Economics Courses)

  • 이은주;신혜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4
    • /
    • 2007
  • 초 중 고등학교 실과, 기술 가정, 가정과학 교과의 '의생활'영역 내용을 분석하고, '의생활'영역을 세부영역으로 분류하여 수직적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자료는 '의생활'영역을 포함하고 있는 초등학교 5학년, 6학년 실과 각 1종 교과서와 중학교 2학년과 고둥학교 1학년의 기술 가정 각 8종 교과서 및 고둥학교 가정 과학 3종 교과서로 총 21종 교과서를 선택하였다. 연계성은 내용 분석결과 '의생활'영역을 6개 영역, 48개 하위 세부영역으로 분류한 뒤 내용의 계속성과 계열성이 지속적일 때 발전으로, 계열성이 고려되지 않은 계속성은 반복으로, 계속성이 고려되지 않은 계열성을 격차로, 계속성과 계열성 모두 결여된 것을 축소로 보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의복 차림과 의복 관리 영역의 연계 정도는 축소된 내용이 46.1%와 44.5%로 가장 맡았다. 의복 계획 영역의 연계 정도는 발전된 내용은 없고 반복된 내용이 83.3%로 가장 많았다. 의복 재료 영역은 격차와 발전된 내용이 각각 55.6%와 44.4%로 나타났다. 의복 구성 영역은 발전된 내용이 50%로 가장 많았다. 진로 탐색영역은 발전이 100%로 나타났다. 초등 실과와 기술 가정, 가정 과학 교과 내 '의생활' 영역의 전반적 수직적 연계정도는 발전된 내용이 29.2%로 가장 많았고, 축소와 반복된 내용이 각각 25%, 격차를 나타낸 내용이 20.8%로 나타났다. 발전된 내용이 반복, 축소, 격차가 이루어진 내용보다 많으므로 어느 정도 연계를 이루었다고 볼 수 있으나 학년 간 연계의 발전 정도가 현저히 높지 않기 때문에 교육내용의 수직적 연계가 매우 적절하다고 보긴 어렵다. 따라서 '의생활'영역에 대한 연계성 분석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져 향후 교과과정의 방향을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

  • PDF

제 7차 교육과정의 초.중등 생물 수업 목표의 연계성 지도 분석 (An analysis of strand map for instructional objectives on the 7th curriculum in elementary and secondary biology)

  • 김영신;김후자;손종경;정재훈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93-711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제 7차 교육과정의 초 중등학교에서 가르치는 생물 수업 목표 간의 연계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각학년에서 7개의 중요한 영역인 세포, 식물의 형태와 기능, 동물의 형태와 기능, 유전, 생물의 다양성, 진화, 생태와 환경 영역을 분석하였다. 목표들 간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수업 목표의 연계성 지도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 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세포에 대한 개념은 초등학교를 포함해서 저학년에서 충분히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에너지 대사 개념이 반복적으로 다루어지고 있지만, 초등학교에서 에너지 대사 개념을 학습할 때 에너지 개념은 다루지 않았다. 둘째, 고등학교와는 달리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교과서들이 식물의 형태와 기능에 관한 주요 개념들을 다루고 있다. 셋째, 유전과 진화와 같은 개념이 추상적인 개념이어서 중학교 이상인 고학년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생물의 다양성뿐만 아니라 유전과 진화가 학년간의 연계성이 없어서, 새로운 교육과정에서는 이러한 개념들 간의 연계가 필요하다. 넷째, 생물의 다양성, 생태와 환경, 진화 그리고 식물의 형태와 기능 영역이 일부 학년 수준에서만 제한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초중고의 모든 학년을 통하여 수업 목표간의 연계성을 알아보는 수업 목표 간의 연계성 분석 결과는 교육과정과 교과서 개발을 위한 초기 자료로써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확률과 통계' 교과서에 제시된 맥락 기반 과제의 학습기회 분석 (Analysis on Opportunity-to-learn context-based tasks provided by 'Probability and Statistics' textbooks)

  • 최희선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241-256
    • /
    • 2019
  • 본 연구는 '확률과 통계' 교과서에 제시된 과제의 맥락 유형과 과제를 수행할 때 요구되는 인지적 역량이 학생들에게 어떠한 학습기회를 제공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확률과 통계' 검정교과서 전체 9권을 분석한 결과, 맥락 기반 과제(CF유형, RE유형)는 각 교과서마다 전체 과제 개수의 67.5%부터 78.0%로 나타났지만 실생활에 연관된 본질적인 과제(RE유형) 비율은 0.4%부터 2.0%로 나타나 교과서에 제시된 대부분의 맥락 기반 과제는 실생활 소재를 위장한 과제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맥락 기반 과제의 인지적 역량은 각 교과서마다 재생산(Rp)범주에 속하는 과제 비율은 29.6%부터 50.0%로 다양하게 나타났고, 연결(Co)범주 과제 비율은 33.8%부터 54.3%, 반성(Rf)범주 과제 비율은 8.8%부터 20.0%로 나타나 과제수행 시 학생들이 반성적 인지 과정을 경험할 수 있는 학습기회는 다소 충분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Development of Nutritional Biochemistry Learning Goals and Core Competencies in the Dental Hygiene Curriculum

  • Yoon, Hye-Young;Shin, Sun-Jung;Shin, Bo-Mi;Lee, Hyo-Jin;Choi, Jin-Sun;Bae, Soo-Myoung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5-125
    • /
    • 2022
  • Background: In the dental hygiene curriculum, efforts are being made to introduce an integrated curriculum based on the competency of a dental hygienist. Because there is a connection and overlap in learning contents between Dental Nutrition and Oral Biochemistry, which are basic dental hygiene subjects, it is possible to integrate these two subjects. This study aims to derive Nutritional Biochemistry as an integrated curriculum for Dental Nutrition and Oral Biochemistry, and to develop learning goals and competencies for Dental Nutritional Biochemistry. Methods: The learning contents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were composed by referring to the contents of the Dental Nutrition and Oral Biochemistry textbooks, and learning goals were derived from the learning contents. Moreover, competency was developed by analyzing the duties of a dental hygienist that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learning goals. The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wice to verify the content validity ratio (CVR) of the competence and the learning goal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Results: In the first Delphi survey, the CVR for two competencies was 0.56 or higher. Moreover, it was revised based on expert's opinions, and as a result of the second Delphi survey after the revision, the CVR was either increased or maintained. Eighty-five learning goals were derived by referring to the textbook. According to CVR and expert opinions, after the first Delphi survey, the number of learning goals was reduced to 69. After the second Delphi survey, 68 learning goals were finally derived. Conclusi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conducted in this study can be utilized for integration between subjects in basic dental hygiene.

한국, 미국, 중국, 일본의 초등학교 과학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제시된 빛 관련 개념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ncept of Light Presented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and Textbooks in Korea, the US, China, and Japan)

  • 이지원;김중복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1권2호
    • /
    • pp.283-294
    • /
    • 2022
  • 초등학교 과학 교육과정에서 빛 개념은 중요하게 다루어지나 학생과 교사가 이해에 어려움을 갖는다는 보고가 많다. 내용 자체의 난이도 때문인지, 제시방법, 구성, 표현 등이 어려움을 유발하는 것인지 분석할 필요가 있다. 2015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과 미국, 중국, 일본의 초등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나타난 빛 관련 주요개념, 빛 단원 내용구성, 사용한 소재와 광원, 광학기구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네 나라의 교육과정에서 빛에 대한 주요개념의 포함 여부와 다루는 시점은 나라마다 차이가 있었다. 특히 우리나라 교육과정은 광원, 시각 개념을 도입하지 않은데 비해 볼록 렌즈에 의한 굴절 개념은 다룬다는 점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내용구성과 흐름에서도 나라별로 차이가 있었다. 한국 교육과정은 핵심 아이디어나 관점을 따라 내용이 구성되기보다 개념별로 분절적으로 제시되어 있고 개념 간 연계성이 불분명하였다. 주요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소재와 광원, 광학기구에서도 국가별 차이점이 나타났는데, 빛의 이용이라는 주제에 대해 미국 교육과정은 목적을 제공하고 빛을 이용하여 이를 달성하는 방식, 중국과 한국은 개념이해를 심화하기 위한 소재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나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 우리나라의 초등학교 과학 교육과정 빛 영역에 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개념을 순차적이고 단계적으로 도입하고, 개념 간 연계성이 잘 드러나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다. 둘째, 광원에 관한 내용을 주요개념으로 포함하고, 개념 설명을 위해 사용하는 광원을 다루는 개념의 종류와 수준을 고려하여 선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물체를 보는 원리를 포함할 필요가 있다. 넷째, 빛과 렌즈 단원에 포함된 굴절 개념의 소재와 내용 수준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빛은 초등학교 과학 교육과정에서 포함하고 있는 여러 개념과 깊은 관련성을 가지기 때문에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다.

2015 개정 중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에 반영된 교과 연계 분석 - 문자와 식 단원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Connection between Mathematics and other Subjects in the Seventh Grade Mathematics Textbook)

  • 윤시영;허난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2권4호
    • /
    • pp.537-554
    • /
    • 2018
  • 4차 산업혁명의 시대는 기본적인 수학적 지식을 갖추는 것은 물론 이를 다른 분야 간의 연계를 통하여 새로운 기술을 창출해낼 수 있는 창의융합형 인재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흐름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도 반영되어 2011년부터 강조된 STEAM 교육(융합인재교육)을 더욱 확대 추진할 것을 계획하고 있다. 다수의 교사들은 타 교과에 대한 전문 지식은 부족한 상태에서 융합 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시하는 것에 대해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융합교육수업이 요구되는 상태에서 타 교과와의 연계에 대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분석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1학년 '수학1' 교과서의 '문자와 식' 단원을 대상으로 교과서 내의 문제 분석을 통하여 교과 연계 반영 정도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실제 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이 융합교육수업 방안을 논의할 때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타 교과의 내용 및 성취기준을 참고할 수 있도록 Yakman(2008)이 제시한 분류틀을 토대로 새로운 분류틀을 고안하여 분석에 적용하였다.

이분모분수의 덧셈과 뺄셈 교육 재고 - 단위 추론 및 재귀적 분할을 중심으로 - (Reconsideration of Teaching Addition and Subtraction of Fractions with Different Denominators: Focused on Quantitative Reasoning with Unit and Recursive Partitioning)

  • 이지영;방정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8권3호
    • /
    • pp.625-645
    • /
    • 2016
  • 본 연구는 이분모분수의 덧셈 및 뺄셈과 관련하여 단위 추론의 측면에서 강조해야 할 핵심 아이디어를 밝히고 제4차 교육과정에서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초등학교 교과서에서 단위와 관련된 아이디어가 어떻게 제시되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이분모분수의 덧셈과 뺄셈의 핵심 아이디어는 세 가지 수준의 단위를 유연하게 활용하는 과정에서 고정된 전체 단위, 새로운 공통 단위의 필요성, 재귀적 분할 등을 강조해야 한다는 것이다.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분석 결과, 전체 단위가 고정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매우 암묵적으로 다루고, 통분의 필요성을 이전에 학습한 동분모분수의 덧셈과정과 연결하여 제시하였으며, 재귀적 분할 방법보다는 수치적으로 통분하여 모델을 알고리즘과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의 이분모분수의 덧셈과 뺄셈 관련 내용 구성 및 지도 방향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의 환경교육 연계성 연구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terminology used in the environmental textbooks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s of Korea)

  • 이동엽;이선경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0권2호
    • /
    • pp.101-120
    • /
    • 1997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field and composition of environment related terminology used in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to find out uniformity and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development for the future establishement and replacement i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simultaneous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terms used in middle school textbooks were found out to be 334, while those used in high school were 717. Total terms used were 870(759 kinds) and those recorded in the environmental terminology dictionary were 362 including synonyms. 2. Of those 870, 211 terms (24.25%) which were the same words have been used in interlinked connection with the Middle and High schools. While 136 terms(15.63%) have been used in the only middle, and 524 terms(60.23%) have been used in the only high schools. In middle and high school environmental text books 211 (24.25%) terms were the same interlinked terms. Of those extracted terms, 136(15.63%) were used in the middle school 'environmental' textbooks and in high school, 524(60.23%) were used in 'environmental science' book. These results shows that there is big gap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contents and we will need more consideration in selecting the terms and better substance. 3. The same terminologies used in both middle and high schools were total number of 676. In those terms 257 kinds(76.26%) were used in middle school 'environmental' text books, and 563 kinds(78.52%) in high school 'environmental science' text books. Here are some details : 1) Terms used as same meaning but different in expression in middle school: 83 kinds, 192 terms (11.99%). 2) Differently expressed in the same text book : in middle school - 20 kinds(2.64%) in high school - 61 kinds(8.04%) 3) Differently expressed terms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51 kinds(6.72%) 4) Same meaning in 3 expressions or more : 19 kinds 4. Of the examined terms 362(including 43 synonyms) were defined in environmental dictionary which is 41.8% of the total words. In the future specialization in utmost fields will be needed 5. When dividing those examined terms according to the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um, the most terms were used in nature and pollution fields following environmental preserving, artificial environment, and environmenatal counterplan. In middle schools the most used terms were in the field of environment pollution, preservation, counterplan, and sanitation. These results reflects the education goals and objectives of middle schools. But for the middle school 'environment' curriculum moret uniform distribution are needed and for the high schools' 'environmental science' program, the fields in artificial environment, industrization, urbanization, and sanitation should be intensified.

  • PDF

원자모형과 전자배치 단원에 대한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습 성취도 및 화학 II 교과서의 설명방식의 차이점에 대한 분석 (Analyses on the Degree of Learning Achievement by Students and on Differences of Explaining in High School Chemistry-II Textbooks for the Atomic Models and Electron Configurations)

  • 김창곤
    • 대한화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73-282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이과계열 학생들 중 화학II의 교과 과목을 선택한 2학년 34명과 3학년 38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원자 모형과 전자배치"단원의 개념들에 대한 학습 성취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제 6차 교육과정에 의하여 편찬된 8종의 고등학교 화학 II 교과서에 기술된 이들 개념에 대한 설명 방식을 분석하고 개념설문지 조사 결과와 연계하여 그 개선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개념설문지의 조사결과 조사대상 학생들의 학습 성취도는 2학년과 3학년 학생들 사이에서 문항별로 부분적인 차이를 보이기는 하지만 전체적으로는 그다지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고등학교의 교과과정상 "원자구조와 전자배치" 대한 교과 과정이 2학년 1학기 초반에 다루어지고 있으며 이후에는 이러한 부분과 연계되는 개념들의 보충적인 학습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원자모형과 전자배치" 단원의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학습을 위해서는 기초적인 분광학과 양자역학 개념들에 대한 학습이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하나 현행 고등학교의 교과 구성상 이러한 개념들을 모두 소개하기는 어렵다. 그러므로 교과서의 "참고자료" 등의 부분에 양자역학과 분광학의 기본적인 사항들을 간략하게라도 기술하는 것이 학생들의 이해를 돕는 한가지의 보완 방법이 될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연구에서 분석한 화학II 교과서들은 전반적으로 유사한 형태 및 설명방식들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몇 가지의 교과서들에서 Bohr의 원자 모형과 전자구름 모형을 설명하는 과정에서의 연계성이 부족하거나, 전자의 위치에 대한 오개념을 가질 수 있는 여지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중.고등학교 환경 교과서에 사용된 환경 용어에 관한 연구

  • 장미정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0권2호
    • /
    • pp.121-132
    • /
    • 1997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field and composition of environment related terminology used in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to find out uniformity and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development for the future establishement and replacement i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simultaneous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terms used in middle school textbooks were found out to be 334, while those used in high school were 717. Total terms used were 870(759 kinds) and those recorded in the environmental terminology dictionary were 362 including synonyms. 2. Of those 870, 211 terms(24.25%) which were the same words have been used in interlinked connection with the Middle and High schools. While 136 terms(15.63%) have been used in the only middle, and 524 terms(60.23%) have been used in the only high schools. In middle and high school environmental tort books 211 (24.25%) terms were the same interlinked terms. Of those extracted terms, 136(15.63%) were used in the middle school 'environmental' textbooks and in high school, 524(60.23%) were used in 'environmental science' book. These results shows that there is big gap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contents and we will need mere consideration in selecting the terms and better substance. 3. The same terminologies used in both middle and high schools were total number of 676. In those terms 257 kinds(76.26%) were used in middle school 'environmental' text books, and 563 kinds(78.52%) in high school 'environmental science' text books. Here are some details : 1) Terms used as same meaning but different in expression in middle school : 83 kinds, 192 terms(11.99%). 2) Differently expressed in the same tort book in kiddie school - 20 kinds(2.64%) in high school - 61 kinds(8.04%) 3) Differently expressed terms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 51 kinds(6.72%) 4) Same meaning in 3 expressions or more : 19 kinds 4. Of the examined terms 362(including 43 synonyms) were defined in environmental dictionary which is 41.8% of the total words. In the future specialization in utmost fields will be needed 5. When dividing those examined terms according to the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um, the most terms were used in nature and pollution fields following environmental preserving, artificial environment and environmenatal counterplan. In middle schools the most used terms were in the field of environment pollution, preservation, counterplan, and santiation. There results reflects the education goals and objectives of middle schools. But for the middle school 'environment' curriculum moret uniform distribution are needed and for the high schools' 'enironmental science' program, the fields in artificial environment, industrization, urbanization, and sanitation should be intensifi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