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strand map for instructional objectives on the 7th curriculum in elementary and secondary biology

제 7차 교육과정의 초.중등 생물 수업 목표의 연계성 지도 분석

  • Published : 2009.10.31

Abstract

One of the most important objectives in science education is to develop students' science litera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evance between biology instructional objectives in the 7th curriculum taught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For this study, 7 major parts in each grade were analyzed including cell, the form and function of plants, the form and function of animals, genetics, diversity, evolution, ecology, and environment. The strand map of instructional objectives is completed that represents the relation between the objectives. The summary of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about cells is not fully covered in lower grades including elementary schools. While the concept of energy metabolism is repeatedly covered, there is no concept of energy covered in learning the concept of energy metabolism in elementary schools. Second, the textbook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have main concepts about the form and function of plants while those in high schools don't. The concept related to the part of the form and function of animals is repeatedly involved in the curriculum throughout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Third, the concepts such as genetics and evolution are involved in higher grades since these concepts are abstract ones. The part of genetics and evolution as well as diversity has no connection between grades in schools, so the development of "notion between" is necessary to relate these concepts with each other. Fourth, the 4 parts of diversity, ecology and environment, evolution, and the form and function of plants are covered in limited grade levels. The results of the relevance of gene in lesson goals will play an important rein as the primary material in developing the connection between textbooks in which lesson goals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throughout all grade level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이 연구의 목적은 제 7차 교육과정의 초 중등학교에서 가르치는 생물 수업 목표 간의 연계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각학년에서 7개의 중요한 영역인 세포, 식물의 형태와 기능, 동물의 형태와 기능, 유전, 생물의 다양성, 진화, 생태와 환경 영역을 분석하였다. 목표들 간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수업 목표의 연계성 지도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 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세포에 대한 개념은 초등학교를 포함해서 저학년에서 충분히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에너지 대사 개념이 반복적으로 다루어지고 있지만, 초등학교에서 에너지 대사 개념을 학습할 때 에너지 개념은 다루지 않았다. 둘째, 고등학교와는 달리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교과서들이 식물의 형태와 기능에 관한 주요 개념들을 다루고 있다. 셋째, 유전과 진화와 같은 개념이 추상적인 개념이어서 중학교 이상인 고학년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생물의 다양성뿐만 아니라 유전과 진화가 학년간의 연계성이 없어서, 새로운 교육과정에서는 이러한 개념들 간의 연계가 필요하다. 넷째, 생물의 다양성, 생태와 환경, 진화 그리고 식물의 형태와 기능 영역이 일부 학년 수준에서만 제한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초중고의 모든 학년을 통하여 수업 목표간의 연계성을 알아보는 수업 목표 간의 연계성 분석 결과는 교육과정과 교과서 개발을 위한 초기 자료로써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연경, 송방호(2008). 중등과학 유전 관련 내용의 학교 학년급간 연계성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6(4), 429-443
  2. 김영신, 이혜숙, 신애경(2007). Bloom의 신 교육 목표분류학에 기초한 초등학교 과학과 수업 목표 분석. 초등과학교육, 26(5). 570-579
  3. 국동식, 김학만(2004). 초${\cdot}\alpha$${\cdot}\alpha$고등학교 과학과 정중 기상학내용의 개념 연계성 분석. 과학교육연구소논총, 20(1), 1-10
  4. 박재근, 강호감, 김용진(2007). 초등 교육과정에서 과학과의 생물 영역과 타 교과의 내용 연계성에 대한 분석. 초등과학교육, 26(1), 63-75
  5. 송순희, 이영하, 이종록, 김성원, 강순희, 박종윤, 강순자, 김규한, 유계화(1991). 수학 및 과학 교과내용의 연계성 분석을 위한 준거모형 설정과 예시적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1(2), 119-131
  6. 신동희, 노국향(2002). 우리 나라 학생들의 과학적 소양 성취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76-92
  7. 신영준(2004).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과학과 생명영역에서의 탐구 활동 연계성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2(2), 135-141
  8. 신재한(2005). 교과지식 영역에 따른 대안적 수업목표 분류 방안 탐색. 한국교육학회지, 4(2), 93-119
  9. 이미경, 손원숙, 노언경(2007). PISA 2006 결과 분석 연구 - 과학적 소양, 읽기 소양, 수학적 소양 수준 및 배경 변인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7-1.
  10. 이미경, 정은영(2008).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에 나타난 중·고등학생의 학력변화: 과학영역에서의 학력 변화의 원인 분석과 대책.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08-33
  11. 이혜숙, 김영신(2008). 제 7차 초${\cdot}$중등 생물 교육과정의 수업 목표 분석 - Bloom의 신 교육목표 분류학에 기초하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6(1), 52-62
  12. 정완호, 김영애(1991). 초중고등학교 생물 영역에서 공통실험 내용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19(1), 11-26
  13. 정화숙, 여경환, 임영진, 박강은(2001). 중등 교과서 광합성 영역의 실험(관찰)에 대한 연계성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9(3), 230-238
  14. 정화숙, 박현숙, 임영진, 김자림(2005).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중등 과학 교과서의 광합성 영역에 대한 용어와 탐구의 연계성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3(2), 196-208
  15. 조희형(1985). 고등학교 생물과정에 필요한 기본 개념의 확인 및 결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5(1), 11-17
  16. 최돈희, 정완호(1993). 초${\cdot}$${\cdot}$고등학교 생물 용어의 연계성 비교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1(1), 71-78
  17.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AAS. 2001). Project 2061 : Atlas of science literacy. Washington, DC
  18.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AAS. 2006). Project 2061 : Atlas of science literacy Vol Ⅱ. Washington, DC
  19. BSCS(1995). Developing biological literacy: A guide to developing secondary and postsecondary biology curricula(2nd Ed). Kendall/Hunt Publishing Company. Colorado Springs
  20. Campbell, N. A., Reece, J. B., Taylor, M. R., & Simon, E. J. (2006). Biology-Concepts and connections(5th Ed.). Pearson Education. 고인정, 김명원, 김옥용, 김희진, 서영훈, 신주옥, 윤미정, 윤인선, 이영원, 이혜영, 진언선, 하영미 (역). (2006). 생명과학(5판). 서울: 바이오사이언스
  21. Meichtry, Y. J. (1993). The impact of science curricula on student view about the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0(5), 429-443 https://doi.org/10.1002/tea.3660300503
  22. Oliver, J. S., Jackson, D. F., Chun, S., Kemp, A., Tippins, D. J., Leonard, R., Kang, N. H., & Rascoe, B. (2001). The concept of scientific literacy: a view of the current debate as an outgrowth of the past two centuries. Electronic Journal of Literacy through Science, 1(1), 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