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교육부(2019). 초등학교 5-6학년군 과학. 교육부.
|
2 |
信州教育出版社(2020). 楽しい理科 3年. 信州教育出版社.
|
3 |
中华人民共和国教育部(2017). 小学科学课程标准.
|
4 |
教育科学出版社(2019). 科学五年级 上册. 教育科学出版社.
|
5 |
教育科学出版社(2019). 科学三年级 下册. 教育科学出版社.
|
6 |
Galili, I., & Hazan, A. (2000). Learners' knowledge in optics: Interpretation, structure and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2(1), 57-88.
DOI
|
7 |
McGraw Hill (2019). Inspire Science Grade 1. McGraw Hill.
|
8 |
McGraw Hill (2020). Inspire Science Grade 4. McGraw Hill.
|
9 |
윤혜경, 이인선, 박정우(2021). 빛의 반사 현상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시각적 모델링 과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1(1), 19-31.
DOI
|
10 |
NGSS Lead States (2013),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For states, by states,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Available at http://www.nextgenscience.org/
|
11 |
정진규, 김영민(2018). 초등학생들의 빛에 대한 이미지 스키마 분석을 통한 개념적 은유 구조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6), 813-823.
DOI
|
12 |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9).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18 결과 보고서. 연구보고 RRE 2019.
|
13 |
허은영, 사현주, 유병길(2005). 초등학생의 빛과 그림자에 대한 개념 이해 수준 조사. 과학교육연구, 30, 151-172.
|
14 |
이경진, 김중복(2017). 광원 모양에 따른 빛의 직진에 대한 초등학생의 학년별 이해 비교. 현장과학교육, 11(2), 220-235.
DOI
|
15 |
이지원, 김종원, 김규환, 황명수, 김중복(2013). 동료 교수법 기반의 과학교사 연수를 위한 단계형 개념검사 문항 개발: 바늘구멍 사진기의 원리 학습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2), 229-248.
DOI
|
16 |
김윤경, 김종영, 신명경(2016). 한국 2009 개정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과 미국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 비교분석: 3~4학년군 지구와 우주영역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35(3), 362-376.
|
17 |
박소연, 박종호, 백남권(2014). 초등학생들의 빛과 그림자에 대한 개념 조사. 한국초등교육, 25(3), 111-126.
DOI
|
18 |
백남권(2016). 초등학생의 빛의 성질 개념에 대한 학습발달과정의 개발. 초등과학교육, 35(3), 326-335.
|
19 |
서상오, 고광병, 정귀향, 이성호, 박현주(2001). 한국의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과 일본의 이과 신교육과정 비교: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20(1), 17-30.
|
20 |
文部科学省(2017). 小学校学習指導要領(平成 29 年告示) 解説. 文部科学省. Available at https://www.mext.go.jp/
|
21 |
김윤화, 유준희(2019). 자생적 온라인 교사 공동체의 질문분석을 통한 초등교사의 과학 교수 관련 어려움 탐색: 인디스쿨의 물리 관련 질문 게시글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1), 73-88.
DOI
|
22 |
교육부(2015).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
23 |
교육부(2018). 초등학교 3-4학년군 과학. 교육부.
|
24 |
권경필(2014). 빨대의 굴절상 삽화에 대한 초등 예비 교사들의 이해 분석. 교사교육연구. 53(4), 815-824.
DOI
|
25 |
박강은, 박종호(2012). 초등학생들의 빛에 대한 개념조사. 새물리, 62(7), 677-683.
DOI
|
26 |
박종호(2017). 초등학생들의 평면 입사경계면에서 빛의 굴절에 대한 개념. 수산해양교육연구, 29(5), 1575-1583.
DOI
|
27 |
서예원(2008). 한국과 미국의 초등학교 과학 교육과정 지구영역의 학년 간 내용 연계성 분석 연구. 초등과학교육, 27(4), 356-370.
|
28 |
이경란, 박종호, 백남권(2016). 초등학생의 빛의 성질 개념에 대한 학습 발달과정의 개발. 초등과학교육, 35(3), 326-335.
|
29 |
이지원, 김다영, 김중복(2014). 광선작도 활동을 포함한 동료교수법 교사연수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빛의 굴절 개념을 중심으로. 과학교육연구지, 38(1), 182-195.
DOI
|
30 |
이지원(2021). 빛의 굴절에 대한 초등예비교사의 개념이 해와 지도계획의 어려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1(1), 11-17.
DOI
|
31 |
권경필(2011). 초. 중학교 학생의 빛의 이동경로에 대한 개념 및 일관성 비교. 새물리, 61(7), 643-650.
DOI
|
32 |
이소영, 노석구(2014). 우리나라 2009 개정 초등 과학교육과정과 핀란드 초등 과학교육과정 비교분석. 초등과학교육, 33(3), 491-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