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ass video

검색결과 380건 처리시간 0.024초

비디오 얼굴 식별 성능개선을 위한 다중 심층합성곱신경망 결합 구조 개발 (Development of Combined Architecture of Multiple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for Improving Video Face Identification)

  • 김경태;최재영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655-664
    • /
    • 2019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way of combining multiple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DCNN) architectures which work well for accurate video face identification by adopting a serial combination of 3D and 2D DCNNs. The proposed method first divides an input video sequence (to be recognized) into a number of sub-video sequences. The resulting sub-video sequences are used as input to the 3D DCNN so as to obtain the class-confidence scores for a given input video sequence by considering both temporal and spatial face feature characteristics of input video sequence. The class-confidence scores obtained from corresponding sub-video sequences is combined by forming our proposed class-confidence matrix. The resulting class-confidence matrix is then used as an input for learning 2D DCNN learning which is serially linked to 3D DCNN. Finally, fine-tuned, serially combined DCNN framework is applied for recognizing the identity present in a given test video sequence.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our proposed method, extensive and comparative experiments have been conducted to evaluate our method on COX face databases with their standard face identification protocols.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our method can achieve better or comparable identification rate compared to other state-of-the-art video FR methods.

실시간 화상 수업 환경에서 소프트웨어 실습 교육에 대한 초등학생 및 교사의 만족도 분석 (Analysis of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for Software Practice Education in Real-Time Video Classes)

  • 강두봉;박한숙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825-83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 5, 6학년을 대상으로 소프트웨어 실습 교육과정을 실시간 화상 수업으로 운영한 후 학습자 만족도와 교사 심층 인터뷰를 분석하였다. 학습자의 실재감, 수업전반, 상호작용, 실시간 화상 수업 만족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실재감, 수업전반, 상호작용, 실시간 화상 수업 만족도는 다소 높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실시간 화상 수업 참여환경과 수업 만족도 사이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지만 모두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경우 학생들의 개인별 PC 환경 및 수업 교구에서 발생하는 문제, 모둠 활동에서 학생들간의 상호작용, 부진 학생에 대한 개별 피드백에 상대적으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실시간 화상 수업 참여환경에 대한 사전 안내, 수업 교구의 사전 점검 안내문 및 예비부품 제공, 보조강사를 활용한 부진 학생 및 접속 오류 지원, LMS를 활용한 개별 과제 피드백 실시 등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대학의 원격화상수업과 대면수업의 만족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Class Satisfaction between Remote Video Class and Face-to-face Class)

  • 이한샘;서은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440-447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국내 대학에서 시행된 비대면 강의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에 있다. 특히 비대면 수업의 여러 유형 중에서도 원격화상수업은 실시간 양방향 소통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의 대면 수업을 대체할 수 있는 수업 모델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면 수업과 원격화상수업 등 수업운영 형태에 따른 학생들의 수업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 소재 종합대학의 2019-2020년도에 운영된 총 8707개 강좌를 대상으로 수업유형 및 수업규모별 수업만족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원격화상수업의 만족도가 대면수업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원격화상수업과 대면이 병행된 수업이 단일형태의 수업보다 높은 만족도를 보였는데, 이는 각 수업형태가 가지는 한계점을 극복함으로써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인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수업규모에 따른 수업만족도에서는 대면수업과 원격화상수업 모두 소규모 수업의 만족도가 중형 또는 대형 수업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원격화상수업이더라도 소규모 수업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대학 수업의 패러다임을 확립해 나갈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COVID-19 온택 학습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의 학업성취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동영상 제작수업과 실시간 화상수업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Nurs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the COVID-19 On-Contact Learning Environment: Focusing on Video production class and Real-time video class)

  • 양혜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321-328
    • /
    • 2023
  • 본 연구는 COVID-19 유행으로 온택 학습상황에서 교수제작 동영상 수업과 실시간 화상수업에 따른 수업의 질, 학습몰입, 학업성취도의 수준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2개의 대학에서 간호학과에 재학중인 학생 1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수업의 질은 실시간 수업에서 높았고(t=-2.69, P=0.02), 학습몰입은 동영상 수업에서(t=-1.14, P=0.28), 학업성취도는 동영상 수업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4.24, P=0.01). 수업유형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교수제작 동영상 수업에서는 학습몰입(β=.37, p<.001)이, 실시간 화상 수업에서는 수업의 질(β=.29, p<.001)이 학업성취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온택 환경에서 학업성취도를 향상 시키기 위해 수업유형에 적합한 교수-학습설계의 전략개발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유튜브 동영상을 활용한 화학 I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Students' Perceptions on Chemistry I Class Using YouTube Video Clips)

  • 전화영;홍훈기
    • 대한화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465-470
    • /
    • 2010
  • 시각적 표상을 선호하는 현대의 학생들에게 수업 내용과 일치도가 높은 흥미로운 동영상을 이용하는 것은 과학 수업에의 선호도를 높일 수 있는 좋은 방법 중의 하나이다. 최근 인터넷을 통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동영상 사이트로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중 가장 대규모의 사이트가 유튜브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2학년의 화학1 수업에서 학생들로 하여금 매 수업마다 수업 내용 관련 동영상을 조사하여 한 개씩 발표하도록 하는 수행 평가를 실시한 다음 학기 말에 학생 설문 조사를 통해 유튜브 동영상 활용 수업에 대한 반응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교과서 위주의 수업에 비해 유튜브 사용 수업에 대한 선호도와 흥미도가 높았고, 교과 내용과의 연결도가 높으면서 신기한 실험 동영상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또한, 동영상의 흥미 요소로 실험을, 학습 도움 요소로 실제 현상을 보는 것을 들었으며, 어려운 점으로는 동영상의 영어 해석을 들었다.

중요도 기반 퍼지 원 클래스 서포트 벡터 머신을 이용한 비디오 요약 기술 (Video Summarization Using Importance-based Fuzzy One-Class Support Vector Machine)

  • 김기주;최영식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87-100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비디오 요약을 시각적으로 특징이 있고 주관적으로 중요한 비디오 세그먼트 집합을 구하는 새로운 요약 방식을 기술한다. 시각적으로 특징이 있는 데이터 포인트를 찾기 위해 novelty detection으로 잘 알려져 있는 OC-SVM(One-Class Support Vector Machine)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OC-SVM의 처리과정에 비디오 세그먼트에 대한 사용자의 주관적인 중요도를 반영하기는 어렵다. OC-SVM의 처리과정에 사용자의 주관적 중요성을 반영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OC-SVM의 퍼지 버전을 유도한다. IFOC-SVM(Importance-based Fuzzy One-Class Support Vector Machine)은 비디오 세그먼트의 중요도에 따라 각 데이터 포인트에 가중치를 부여하고 데이터 분포의 서포트를 측정한다. 이때, 구해진 서포트 벡터는 비 오 세그먼트의 중요도와 시각적 특징 관점에서 비디오의 내용을 축약하여 표현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의 성능을 증명하기 위하여 가상의 데이터들과 다양한 종류의 비디오들을 가지고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는 제안하는 방법의 성능이 다른 비디오 요약의 성능보다 우수함을 보여주었다.

동영상 동기화 알고리즘을 이용한 수업 분석 방법 (Class Analysis Method Using Video Synchronization Algorithm)

  • 권오성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441-448
    • /
    • 2015
  • 본 논문은 기 촬영된 수업 동영상을 분석 결과와 동기화하여 재생시키고 확인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구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동영상 재생 구간과 분석 내용이 동기화 될 수 있도록 하는 동영상 인덱싱 방법, 자료구조, 그에 따른 선별적 재생 방안을 제시한다. 사용자는 제안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동영상 재생 내용을 구간별로 확인할 수 있고 역으로 분석 결과를 입력으로 원하는 지점의 동영상 구간을 검색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수업 분석을 도입, 전개, 정리의 시간 흐름 단계로 구분하여 진행하였고, 단계별 재생에 맞게 일정 간격으로 분석 필터를 적용하였다. 구현된 수업 분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몇 가지 수업 사례를 적용한 결과, 성공적으로 필요한 수업 분석을 진행할 수 있었고 동기화 성능 실험에서도 그 효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NCS Course Design and Result Analysis of Class Application

  • Lee, Soonmi;Park, Hea-Soo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157-163
    • /
    • 2016
  • In this paper, I had studied to focus on the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 course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NCS-based curriculum and designed and developed 'Digital Color Correction' course. 'Digital Color Correction' course was come up with in process of development of NCS-based curriculum in a department of university that aims to educate video-broadcasting experts who lead the advanced digital age. The course developed in this paper follows criteria of NCS and is designed to step in course-profile, instruction and evaluation. Also I made an analysis of learning effects after applying to class. And I compared and analyzed NCS-class and non NCS-class. As a result of comparison, NCS-class is better than non NCS-class in student attitude for learning and evaluation method.

A study on the image design PBL class that can be used for e-Digital contents production

  • Ahn, In-So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77-82
    • /
    • 2018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mprovement plan to increase the learning effect and satisfaction through the PBL - related video design class. PBL To prepare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we must acquire diverse knowledge and skills to discover problems and solve them creatively. Therefore, various learning methods are being studied, and one of them is PBL learning. PBL is a learner-centered education that explores problems that may arise from specific topics other than existing curriculum-based education methods and finds solutions to problems. In this study, two lectures on video design related to video contents and image contents were taught in PBL class, and PBL class problem was analyzed and the improvement plan was studied.

효과적인 플립러닝 적용을 위한 사전 학습 영상 길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ideo Length in Pre-class Homework for Effective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 박준현
    • 공학교육연구
    • /
    • 제26권6호
    • /
    • pp.79-86
    • /
    • 2023
  • In our research, we delved into the impact of video length assigned for pre-class assignments on students' level of engagement. What we discovered is that as the length of the video increases, student engagement tends to decrease and the time allocated for homework preparation does not significantly influence engagement, as many students tend to complete their assignments just before the due date. Interestingly, the well-known "6-minute rule" often advocated for online educational videos does not align with the dynamics of real university settings. Whether in traditional lecture-based classes or flipped learning environments, students exhibit a high degree of self-responsibility when it comes to video consumption. Our findings strongly suggest that, in the context of flipped learning, it is advisable to create videos that are shorter than 15 minutes in leng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