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1.21.07.440

A Comparative Study on the Class Satisfaction between Remote Video Class and Face-to-face Class  

Lee, HanSaem (가천대학교)
Seo, Eun Hee (가천대학교)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non-face-to-face lectures conducted at universities in Korea under the influence of COVID-19. So this study analyzed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students according to the type of class operation, such as face-to-face classes and remote video classes. To this end, this study compared the differences in class satisfaction by class type and class size for a total of 8,707 courses operated by a university between 2019 and 2020. The study found that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remote video class was significantly high. In addition, the combination of remote video classes and face-to-face was more satisfactory than other cases. On the other h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small classes in both face-to-face and remote video classes was higher than that of medium or large classes. This means that even remote video classes are highly satisfactory in small-scale classes.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proposes a paradigm for new college classes.
Keywords
Remote Video Classes; University Student; Class Satisfaction; COVID-19; Class Siz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진모, 손규태, 이은표, 정지용, 장한별, "대학 온라인 비대면 전공수업에서 교수자-학습자 상호작용,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한국농산업교육학회 학술대회 발표자료집, 2020.
2 최인철, "웹기반 원격화상 영어교수법 효과성 분석," Multimedia Assisted Language Learning, 제12권, 제3호, pp.257-286, 2009.   DOI
3 이재은, 유병민, 박혜진, "원격교육에서 성인학습자의 교육참여동기와 실재감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농촌지도와 개발, 제22권, 제2호, pp.233-243, 2015.
4 송영선, "대학의 강의평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역량개발학습연구, 제13권, pp.141-163, 2018.
5 임철일, 홍미영, 박태정, "'창의적 문제해결 (CPS)'모형을 활용한 온라인 기반의 대학 수업 모형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7권, 제3호, pp.399-422, 2011.
6 Y. S. Freeman and D. E. Freeman, ESL/EFL teaching: Principles for success, Portsmouth, NH: Heinemann, pp.31-45, 1998
7 M. G. Moore and G. Kearsley, Distance Education: A Systems View 2nd edn, Wadsworth, Belmont, CA, 2005.
8 이지연, 이영주, "교수 및 강좌 특성에 따른 대학 강의평가 성취수준의 차이 분석," 교육문제연구, 제30권, pp.189-212, 2017.
9 김상미, "코로나19 관련 온라인 교육에 관한 국내 언론보도 기사 분석,"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6호,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pp.1091-1100, 2020.
10 S. Chung and L. Choi,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assessment during the DOVID-19 Pandemic: The case of the English language program in South Korea," Sustainability, Vol.13, No.8, pp.1-13, 2021.
11 김남진, "건강장애학생을 위한 화상강의의 효과성 인식과 만족도 연구," 특수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 제12권, 제2호, pp.69-89, 2011.
12 T. Kruse, A. K. Pandey, R. Alami, and A. Kirsch, "Human-aware robot navigation: A survey," Robotics and Autonomous Systems, Vol.61, No.12, pp.1726-1743, 2013.   DOI
13 S. Hrastinski, "Asynchronous and synchronous e-learning," Educause quarterly, Vol.31, No.4, pp.51-55, 2008.
14 D. Canning, Infrastructure's contribution to aggregate output, The World Bank, 1999.
15 김보나, 우종정, "사이버대학 학습자의 인구학적 특성이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제9권, 제3호, pp.213-219, 2011.
16 김자미, 김용, 이원규, "원격교육 학습관리시스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제11권, 제4호, pp.1411-1418, 2010.
17 구교정, "교원 정보화 원격교육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연구," 평생교육학연구, 제12권, pp.1-22, 2006.
18 정인성, 나일주, 원격교육의 이해 (제 2 판), 서울: 교육과학사, 2004.
19 임철일, 홍성연, 김선영, "IMS Learning Design 기반 e-PBL 프로토타입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3호, pp.498-508, 2012.   DOI
20 J. Walsh and B. Reese, "Distance learning's growing reach," T.H.E. Journal, Vol.22, No.11, pp.58-62, 1995.
21 R. M. Gillies, "The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o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behaviours, discourse and learning during a science-based learning activity," School Psychology International, Vol.29, No.3, pp.328-347, 2008.   DOI
22 이동주, 임철일, 임정훈, 원격교육론,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9.
23 L. P. Kaelbling, Littman, and A. W. Moore, "Reinforcement learning: A survey," Journal of artificial intelligence research, Vol.4, pp.237-285, 1996.   DOI
24 박현정, 정선주, "온라인 초등학교 정규 영어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 분석," 제23권, 제3호, pp.339-358, 2020.
25 K. Akerhielm, "Does class size matter," Economics of Education Review, Vol.14, No.3, pp.229-241, 1995.   DOI
26 양길석, "대학 강의평가 영향 요인에 대한 메타 연구," 교육방법연구, 제26권, 제2호, pp.293-322, 2014.   DOI
27 이혜란, 이연숙, "교사의 면대면 수업과 사이버 가정학습의 학습 효과 비교: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의 '청소년과 소비 생활'단원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제21권, 제2호, pp.139-158, 2009.
28 오숙영, "강의평가점수 영향력 요인에 대한 사후조정 연구," 교육평가연구, 제28권, 제4호, pp.1225-1254,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