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care teachers

검색결과 624건 처리시간 0.025초

유아의 사회적 능력을 매개로 정서성이 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reschoolers' Emotionality and Social Competence on Play Behavior)

  • 권기남;민하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73-91
    • /
    • 2021
  • Objective: This study focus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ity, social competence and play behavior in a sample of 218 4- to 5-year olds attending daycare centers. Methods: All variables were measured by the daycare teachers of the surveyed childre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imple Regress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rough SPSS Win 25.0. Results: First, preschoolers' positive emotionality had a negative effect on their play disruption and play disconnection and a positive effect on play interaction. On the other hand, their negative emotiona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play disruption and play disconnection and a negative effect on play interaction. Second, their positive emotionalit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ocial competence and their negative emotionality had a negative influence. Finally, the effect of their positive emotionality on play disruption was partially mediated, and their play disconnection and play interaction was totally mediated by social competence. On the other hand, the effect of preschoolers' negative emotionality on play disruption and play disconnection was totally mediated, and their play interaction was partially mediated by social competence.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we need to help preschoolers promote emotionality and social competence together to change their play behavior positively.

유아교사의 교육과정 운영 자율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utonomy Scale in the Implementation of Early Childhood Curriculum : Focusing o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 이은지;김지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3-50
    • /
    • 2022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arly childhood teacher's autonomy scale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and to verify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Methods: A literature review and a delphi survey were conducted in order to explore conceptual characteristics and develop a preliminary questionnaire. A main survey was conducted on 375 early childhood teacher to test their item quality, validity and reliability. Results: The final scale was composed of 24 items with four factors: 'support for child-centered play environment and interaction' (7 items), 'use of learning community' (4 items), 'cooperation and participation with family and local community' (6 items), and 'flexible daily management' (7 items). And the scale was verified as a stable and reliable tool. Conclusion/Implications: Thi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children's education and to actively realize the autonom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 유아의 스마트폰 중독 간의 구조적 관계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Involvement in Parenting,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and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 김진경;강은영;윤혜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149-168
    • /
    • 2021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involvement in parenting,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and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27 children aged between 3 and 5 who were attending nurseries and kindergartens in Gyeonggido, Gangwondo, and Busan, South Korea, and their mothers, fathers, and teachers.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ubjects were analyzed based on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First, the fathers' involvement in parenting had a direct effect on their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and no direct effect on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Second,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had a direct effect on the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an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their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Third, the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had a direct effect on their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Conclusion/Implications: The findings in this study suggest the fathers' involvement in parenting and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have effects on their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proposed ways to prevent children's addiction to smartphones and provide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부모의 놀이지지신념과 유아의 놀이성이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rents' Play Support Beliefs and Children's Playfulness on Children's Ego-Resiliency)

  • 김수예;김현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9-37
    • /
    • 2021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 play support beliefs and children's playfulness on children's ego-resiliency. Methods: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236 young children aged 3 to 5, their parents, and teachers in 19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Descriptive statistics, bivariate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The major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verall, the level of parents' play support beliefs, children's playfulness and ego-resiliency tended to be high in the present sample. Second, mothers' play support beliefs and children's active participation in play wer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children's ego-resiliency. Third, parents' play support beliefs had no moderation effect on the effects of children's playfulness on their ego-resiliency. Conclusion/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arents' play support beliefs and children's playfulness are effective in improving children's ego-resiliency.

포커스 그룹면담을 통한 발달장애아동의 성교육 실태와 요구 (A study on the Sex Education Status and Need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Using Focus Groups)

  • 김종선
    • 보건의료생명과학 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69-76
    • /
    • 2021
  • 발달 장애 아동의 성교육 현황을 조사하고 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하여 특수 교육 기관 및 장애 아동 보육 서비스에서 근무하는 12명의 교사를 선정하였다. 문헌 고찰을 통해 3개 주제에 대한 의견과 요구 사항을 파악하기 위해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했다. 장애 아동 성교육의 경우 교육의 방향이 일관되지 않고 개인의 특성과 욕구를 고려되지 않아 성교육 운영의 어려움이 파악되었다. 이에 발달 장애 아동의 발달 단계를 고려한 성교육 지침의 구체적인 사례와 높은 접근성을 포함하는 성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

어린이집 1세반 영아와 그림책의 만남: 내부작용을 통한 의미생성의 관점에서 (The Encounter between Infants in a 1-Year-Old Daycare Class and Picture 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Meaning-making through Intra-action)

  • 이승연;김유미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59-81
    • /
    • 2024
  •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ntra-action between infants and picture book reading in a daycare setting, aiming to gain new insight into infants' reading experiences.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12 infants from the Bluebird Class (1-year-old) at A Daycare Center.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context and flow of the infants' experiences, participant observation was conducted during free play sessions, held three to five times a week, in the morning, from December 19, 2022, to February 17, 2023. Results: Firstly, infants engaged in the intra-action with symbols such as text, images, lines, colors, and latent narratives in picture books, spontaneously encountering meaning-making. Secondly, they explored the potential of materials such as their own bodies, the dacare classroom environment, and blocks, creating narratives through the process of 'becoming'. Thirdly, infants generated shared experiences by creating interactions within their relationships with others in the daycare class.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highlights a shift in perspective, recognizing infants as active readers who construct their own understanding. Additionally, it underscores the significance of cultivating an infant-centered environment and the meaningful role of teachers in supporting and facilitating such an environment.

유아의 공격성이 교사-유아관계와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Teacher - Child Relationships and Peer Relationships by Young Children's Aggression)

  • 윤소정;김민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49-68
    • /
    • 2011
  • 본 연구는 유아의 공격성, 교사-유아관계와 또래유능성의 수준과 유아의 연령과 성에 따라 유아의 신체적 관계적 공격성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나아가 신체적 관계적 공격성이 교사-유아관계와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대상은 만 3세에서 만 5세 유아 250명과 담당교사 5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공격성, 교사-유아관계와 또래유능성을 응답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에 따른 유아의 공격성은 만 4세가 관계적, 신체적 공격성을 더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에 따른 유아의 공격성은 남아가 관계적, 신체적 공격성이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공격성과 교사-유아관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유아의 공격성이 높을수록 교사-유아관계에서 친밀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유아관계에서 갈등이 높고 의존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의 공격성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관계적 신체적 공격성이 높을수록 공격적 과잉활동적 행동이 더 높게 나타나며, 비사교적인 행동도 높게 나타났으며 유아의 연령이 높을수록 관계적 공격성이 높을수록 친사회적 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교사 유아의 관계향상과 교사들에게는 유아의 발달에 도움이 되는 방향을 제시하고 유아의 또래유능성 개선과 어려움을 감소시키는 여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사립유치원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의사소통능력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Teacher Efficacy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n Job Stress)

  • 최은혜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39-57
    • /
    • 2015
  • 본 연구는 사립유치원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의사소통능력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경기도의 사립유치원에 재직 중인 161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조사를 실시하였고, 교사효능감 질문지(신세니, 2001), 의사소통능력 질문지(최일선, 조운주, 2010)와 직무스트레스 질문지(임진형, 2000)를 사용하였다. 결과 처리를 위해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립유치원교사의 개인적 교수효능감은 직무스트레스 전체뿐만 아니라 그 하위요인 모두에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일반적 교수효능감의 경우 개인 관련 스트레스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사립유치원교사의 의사소통능력은 직무스트레스 전체와 하위변인인 원아들과의 활동, 업무관련, 행정적 지원, 대인관련, 경제적 안정, 그리고 개인과 관련된 스트레스에 모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사립유치원교사를 대상으로 한 교육과정 내에 교사 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내용과 의사소통능력을 발휘하고 직무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능동적인 태도를 형성할 수 있는 교과내용을 구성하는데 기초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2013년도 어린이집 평가인증 운영체계 개선에 따른 성과평가와 개선안 (Performance Evaluation and Suggestions Based on the 2013 Child Care Center Accreditation System)

  • 제경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01-521
    • /
    • 2015
  • 본 연구는 2013년 평가인증 운영체계의 주요 변경내용 8개 항목에 대한 성과를 검토하고 보완점을 모색하고자 보육현장 종사자와 부모, 보육관계자를 대상으로 개선내용의 적절성에 대한 인식비교를 하였다. 보육교직원 200명, 보육담당공무원, 심의위원, 현장관찰자 등 전문가집단 150명, 학부모 144명이 2014년 2월말에 시행된 온라인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자체점검의 상시화와 소요기간 단축, 기본사항 중 필수항목 확대, 현장관찰일 미고지, 관찰자 파견 수 조정, 재참여수수료 부과 및 참여대상 조정, 확인점검과 인증유효기간 연계 등 8개 항목으로 구성된 대상별 질문문항은 모두 동일하였으나 보육교직원 대상으로 3개 문항이 추가되었다. 빈도, 백분율로 일반적 인식수준을 알아보았으며, 집단별 비교를 위해 1차적으로 집단의 크기가 같은 전문가 세 집단 간 분산분석을 하였고, 통계적 유의차가 없는 경우 2차적으로 세 집단을 하나로 묶은 전문가집단, 보육교직원, 부모의 세 집단을 대상으로 분산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2013년 평가인증 운영체계 변경내용 각 항목별 집단차이는 있었으나 전체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하여 주요개정사항들은 적절하고 필요한 조처였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법적준수를 요구하는 기본사항 확인내용 점검과정의 일원화, 유효기간 단축과 불인증, 재참여기회 제한 등 기준점수 미달기관의 관리방안과 현장관찰일 사전고지 및 불시방문에 대한 보육현장의 부담에 대해 좀 더 심도 있는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개선안을 제언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유머감각과 심리적 안녕감 및 자아탄력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Research Student Teacher's Sense of Humo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go-resilienc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 최남정;오정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417-438
    • /
    • 2013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유머감각과 심리적 안녕감 및 자아탄력성의 경향과 관계와 유머감각과 심리적 안녕감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자아탄력적인 유아교사를 양성하고, 교육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B시에 위치한 2-3년제 대학과 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 유아교사 323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유머감각 설문지(우소연, 2008), 심리적 안녕감 설문지(이임숙, 2006), 자아탄력성설문지(박현진, 1997)를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 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변량분석과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유머감각과 심리적 안녕감 및 자아탄력성은 대체로 평균 이상의 점수를 나타내었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유머감각과 자아탄력성, 심리적 안녕감과 자아탄력성, 유머감각과 심리적 안녕감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중다선형 회귀분석을 통해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확인한 결과 유머감각의 하위변인은 5%,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변인은 26%의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내에 유머감각과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내용을 포함하여 자아탄력성을 증진시키고 유멈감각, 심리적 안녕감 및 자아탄력성 증진을 위한 구체적인 프로그램 개발 및 연수의 필요성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