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erformance Evaluation and Suggestions Based on the 2013 Child Care Center Accreditation System

2013년도 어린이집 평가인증 운영체계 개선에 따른 성과평가와 개선안

  • 제경숙 (경남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5.01.19
  • Accepted : 2015.02.03
  • Published : 2015.02.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main eight items amended in the 2013 child care center accreditation system and to provide suggestions.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200 child care center teachers and staff; 150 professionals consisting of public officials in charge of child care, members for the accreditation committee, and inspectors at the site; and 144 parents. They participated in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during the end of February, 2014. The survey questions regarding the eight changed items were the same to all the three participating groups, and three more questions were asked to child care center teachers and staff.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ies and percentages to present general recognition level. For a group comparison, analysis of variance was first performed among 3 professional groups, all of which has the same size. When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the second analysis of variance was done among three groups of professionals including the three groups, teachers and staff, and pare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recognition among the groups regarding each changed item in the 2013 child care center accreditation system, but overall, the groups evaluated the main amendments positively and the changes were considered appropriate and necessary. However, it was found that in-depth reviews are needed of procedure unification to check the basics to require legal compliance; management of unaccredited centers such as valid period reduction and no accreditation, or limit for re-accreditation application; and the burdens of child care centers about surprise visits and notice of inspection dates in advance.

본 연구는 2013년 평가인증 운영체계의 주요 변경내용 8개 항목에 대한 성과를 검토하고 보완점을 모색하고자 보육현장 종사자와 부모, 보육관계자를 대상으로 개선내용의 적절성에 대한 인식비교를 하였다. 보육교직원 200명, 보육담당공무원, 심의위원, 현장관찰자 등 전문가집단 150명, 학부모 144명이 2014년 2월말에 시행된 온라인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자체점검의 상시화와 소요기간 단축, 기본사항 중 필수항목 확대, 현장관찰일 미고지, 관찰자 파견 수 조정, 재참여수수료 부과 및 참여대상 조정, 확인점검과 인증유효기간 연계 등 8개 항목으로 구성된 대상별 질문문항은 모두 동일하였으나 보육교직원 대상으로 3개 문항이 추가되었다. 빈도, 백분율로 일반적 인식수준을 알아보았으며, 집단별 비교를 위해 1차적으로 집단의 크기가 같은 전문가 세 집단 간 분산분석을 하였고, 통계적 유의차가 없는 경우 2차적으로 세 집단을 하나로 묶은 전문가집단, 보육교직원, 부모의 세 집단을 대상으로 분산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2013년 평가인증 운영체계 변경내용 각 항목별 집단차이는 있었으나 전체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하여 주요개정사항들은 적절하고 필요한 조처였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법적준수를 요구하는 기본사항 확인내용 점검과정의 일원화, 유효기간 단축과 불인증, 재참여기회 제한 등 기준점수 미달기관의 관리방안과 현장관찰일 사전고지 및 불시방문에 대한 보육현장의 부담에 대해 좀 더 심도 있는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개선안을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례 (2007). 보육시설 종사자가 인식한 평가인증제의 운영과정과 사후유지 관리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 김미숙 (2014). 보육의 질 관리체계로서의 평가인증 해외사례 연구. 한국보육진흥원(이슈분석 제 14호).
  3. 김순덕(2010). 보육시설 종사자의 평가인증 통과 후 인식과 사후관리.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박경희 (2009). 보육시설 평가인증 이후 사후관리 실태에 관한 연구- 원주시를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박경희 (2012). 어린이집 평가인증 통과 후 사후유지관리에 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 평가인증을 통과한 40인 이상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박자연, 김희진 (2008).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와 평가인증에서의 부모참여에 대한 부모의 인식. 열린유아교육연구, 13(2), 1-23.
  7. 보건복지부 (2013). 어린이집 평가인증 안내.
  8. 서문희, 김혜진 (2012). 보육정책의 성과와 과제를 위한 조사자료. 서울: 보건복지부, 육아정책연구소.
  9. 서문희, 신희연, 송신영 (2009). 보육시설 평가인증 효과분석.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10. 서문희, 양미선, 이정원, 김온기, 원종옥, 송신영 (2013). 어린이집 질 제고를 위한 평가인증제고 중장기 개편방안. 서울: 보건복지부, 육아정책연구소.
  11. 윤혜경 (2008). 일본의 보육시설 제3차 평가사업에 대한 연구. 육아지원연구, 3(1), 105-124.
  12. 이미화, 서문희, 최윤경, 엄지원(2012). 보육서비스 품질 제고를 위한 평가인증 발전 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육아정책연구소.
  13. 이정숙 (2010).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에 대한 시설장과 교사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4. 장혜진, 송신영 (2014). 유아교육․보육 질관리 국제비교연구.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15. 정찬우 (2008). 보육시설 평가인증제에 관한 학부모 의식조사: 대전지역 보육시설을 중심으로. 교육연구논총, 29(1), 186-206.
  16. 한국보육진흥원 (2013). 평가인증제도 확인점검(시범사업) 효과분석을 통한 발전 방안 모색(이슈분석 제5호).
  17. 한국보육진흥원 (2014). 3차 지표 홍보설명회 자료집.
  18. 황해익, 김남희, 정혜영 (2013). 어린이집 평가인증제의 현안 및 발전방안.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6), 461-490. https://doi.org/10.14698/jkcce.2013.9.6.461
  19. ACEQUA(2014). http://acecqa.gov.au. 출력일 2014년 12월 20일.
  20. Dahlberg, G., & Moss, P. P. (2008). Beyond qual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Cesifo Dice Reports 2, 21-26.
  21. Department of Education(2014). https://www.gov.uk. 출력일 2014년 12월 20일.
  22. Horwitz, C. M. (2014). How the world has changed in four decades. Child Care Exchange, November/December, 65-68.
  23. Ministry of Education (2014). http://www.minedu.govt.nz. 출력일 2014년 12월 20일.
  24. NAEYC (2014). http://www.naeyc.org/accreditation. 출력일 2014년 12월 20일.
  25. Noble, A. J. (2015). Transform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delaware: Building foundations of change. A briefing paper for Delaware education for a global economy: Making Vision 2015 Work.
  26. OECE (2014). www.oecd.org/edu/earlychildhoodeducation. 출력일 2014년 12월 2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