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8/jkcce.2021.17.06.149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Involvement in Parenting,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and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Kim, Jin Kyung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유아교육과)
Kang, Eun Young (명지대학교 대학원 아동학과)
Yun, Hye Joo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17, no.6, 2021 , pp. 149-16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involvement in parenting,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and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27 children aged between 3 and 5 who were attending nurseries and kindergartens in Gyeonggido, Gangwondo, and Busan, South Korea, and their mothers, fathers, and teachers.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ubjects were analyzed based on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First, the fathers' involvement in parenting had a direct effect on their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and no direct effect on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Second,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had a direct effect on the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an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their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Third, the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had a direct effect on their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Conclusion/Implications: The findings in this study suggest the fathers' involvement in parenting and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have effects on their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proposed ways to prevent children's addiction to smartphones and provide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Keywords
fathers' involvement in parenting; mother's parenting stress; mother's smartphone addiction;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종훈, 양소영, 성지현 (2013).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와 사회적 지원이 후속 출산계획에 미치는영향: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매개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34(1), 87-102. doi:10.5723/KJCS.2013.34.1.87   DOI
2 서혜성, 김연하 (2014).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 결정요인 : 사회 인구학적 특성, 양육스트레스, 양육지식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35(5), 1-14. doi:10.5723/KJCS.2014.35.5.1   DOI
3 유지현, 이경님 (2017). 유아의 기질과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및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유아의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4(1), 277-303. doi:10.22155/JFECE.24.1.277.303   DOI
4 박정아, 현은자 (2018). 유아의 스마트폰 과의존, 유아의 공격성,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의 구조적 관계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9(2), 219-248. doi:10.22154/JCLE.19.2.9   DOI
5 김정, 이지현 (2005).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와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의 관계. 아동학회지, 26(5), 245-262.
6 배은혜 (2014). 영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스마트폰 과다사용: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서주현, 김진경 (2012).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영유아보육학, 73, 101-121.
8 손수민 (2012). 영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비교와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1), 331-357.
9 김진경, 윤혜주 (2020).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와 유아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 스마트폰 중독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6(6), 53-70. doi:10.14698/jkcce.2020.16.06.053   DOI
10 Ahn, J. J. (2011). The effect of father's child rearing involvement on mother's parenting stress in early years: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marital relationship.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35(1), 127-158.
11 Levin, D. E. (2013). Beyond remote-controlled childhood: Teaching young children in the media age. Washington. DC: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12 김기원 (2009). 어머니의 직업유무 및 취업과년 특성과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계: 배우자지지의중재적 역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상림, 박창현 (2016). 아버지 양육참여와 사회적 지지가 영아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심리특성의 매개효과.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7(3), 451-464.   DOI
1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0). 2019년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보도자료 2020.2.20). 세종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5 한국정보화진흥원 (2016). 나와라, 스마트폰 세상밖으로.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16 Crnic, K. A., & Greenberg, M. T. (1990). Minor parenting stresses with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61(5), 1628-1637. doi:10.1111/j.1467-8624.1990.tb02889.x   DOI
17 강희경, 조복희 (1999). 3세 이하 자녀를 둔 전문 사무직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어머니 역할관과 지원체계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20(2), 41-55.
18 김민희 (2015). 유아의 자기조절,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스마트기기 중독이 유아의 스마트기기 이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6), 131-151. doi:10.14698/jkcce.2015.11.133   DOI
19 김영란, 배성문, 박경숙 (2016). 어머니가 인식하는 영유아의 스마트폰 실태 연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20(3), 337-374.
20 김영은 (2013). 영아기 자녀를 둔 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자기통제력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김은정 (2014). 스마트폰 과다사용 아동의 대인관계 능력개선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방안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이승은 (2013). 어머니의 애착 및 양육스트레스가 영아의 사회정서발달에 미치는 영향. 강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강연주 (2014).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실태와 어머니의 인식 및 유아행동특성 간의 관계.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Young, K. S. (2009). Internet addiction: The emergence of a new clinical disorder. Cyberpsychology & Behavior, 1(3), 237-244. doi:10.1089/cpb.1998.1.237   DOI
25 김미숙, 문혁준 (2005).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 효능감과 양육 행동과의 관계.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3(8), 25-35.
26 김민석, 문혁준 (2015).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실태 분석 및 부모 관련 변인 연구. 인간발달연구, 22(1), 77-99. doi:10.15284/kjhd.2015.22.1.77   DOI
27 이은경 (2007.12). 유아 컴퓨터 게임중독의 실제.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추계학술대회 포스터발표논문, 경기.
28 이정숙, 두정일 (2008). 유아의 적응적 기질과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미치는 영향.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3(2), 1-17.
29 이정순 (2003).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3(3), 5-19.
30 Carson, V., Stearns, J., & Janssen, I. (2015).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hysical activity and screen time behaviors and the behaviors of their young children. Pediatric Exercise Science, 27(3), 390-395. doi:10.1123/pes.2014-0214   DOI
31 권미영, 정윤주 (2018). 어머니의 스마트폰 의존, 양육효능감, 양육행동과 유아의 스마트폰의존간 관계. 한국놀이치료학회지, 21(1), 153-169. doi:10.17641/KAPT.21.1.8   DOI
32 박지애 (2014). 유아와 어머니의 스마트폰 사용습관이 유아의 창의적 인성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영향. 가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오윤경, 이미현, 최혜순 (2016).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양육참여와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 간의 관계. 어린이미디어연구, 15(4), 1-22. doi:10.21183/kjcm.2016.12.15.4.169   DOI
34 김동희 (2014). 미취학 아동의 미디어 사용과 아동의 기질, 양육 스트레스와의 관계. 스트레스연구, 22(4), 201-210.
35 김선진 (2020).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이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아버지의양육참여의 매개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김지영 (2016).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이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에 미치는 영향. 가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김지혜 (2013). 영유아를 둔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 양육태도,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간의 관계.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권미경, 박현숙, 유주희, 한경옥 (2016).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인간발달연구, 23(4), 121-138. doi:10.15284/kjhd.2016.23.4.121   DOI
39 박미정, 엄정애 (2017). 유아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놀이행동 간의 관계. 육아지원연구, 12(3), 24-46. doi:10.16978/ecec.2017.12.3.002   DOI
40 박소영 (2015).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사용실태 및 과다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1 권오진 (2015). 영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과 부모의 인식 및 양육태도와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나용선 (2013). 부모 양육태도가 유아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어린이집 이용 유아를 중심으로.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7(3), 32-53.
43 박옥순 (2018). 아버지의 스마트폰 중독경향성과 놀이참여도가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에 미치는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이미현 (2014).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양육참여척도 개발 및 타당화. 가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5 이미라 (2017).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스마트폰을 활용한 육아정보와 양육효능감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엄미지 (2014).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휴대전화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이미정 (2013). 유아의 스마트기기 이용실태 및 유아발달에 미칠 영향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8 도경민, 이희영 (2019).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과학연구, 20(4), 219-242.   DOI
49 이수미, 민하영 (2007). 유아의 기질 및 아버지 양육참여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한국생활과학회지, 16(2), 219-225.   DOI
50 이수기, 이현경, 홍혜경 (2014).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현황과 게임 과몰입 경향성. 유아교육연구, 34(3), 239-262. doi:10.18023/kjece.2014.34.3.012   DOI
51 Lewis, C. N., & Lamb, M. E. (2003). Fathers' influences on children's development: The evidence from two-parent families. European Journal of Psychology of Education, 18(2), 211-228. doi:10.1007/BF03173485   DOI
52 Shiffman, S. (1982). Relapse following smoking cessation: A situational analysi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0(1), 71-86. doi:10.1037/0022-006x.50.1.71   DOI
53 You, H. Y. (2001). A study on the effects of father's participation in child care and social support on mother's parenting stres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54 이훈, 장수미 (2016).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사용수준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보건사회연구, 36(3), 303-335. doi:10.15709/hswr.2016.36.3.303   DOI
55 이윤미 (2014). 유아와 어머니의 스마트폰 사용습관, 유아의 주의집중 및 자기조절력간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6 권민희 (2013). 유아의 터치스크린기기 사용과 문제행동의 관계.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7 류미향 (2014). 영아의 스마트폰 사용실태 및 어머니 인식: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와의 관련성 탐구. 한국영유아보육학, 86, 307-329.
58 이정주 (2014). 스마트폰 중독 이기는 아날로그 교육. 경기: 중앙워즈.
59 이주연 (2011). 유아교육용 스마트폰 앱에 대한 부모 인식조사: 유아의 행동패턴에 따른 부모인식조사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0 이한나, 한정원 (2017). 부모의 자아존중감과 양육태도가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커플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이어논문지, 7(12), 807-817. doi:10.35873/ajmahs.2017.7.12.074.   DOI
61 임명희, 김성현 (2014). 유아의 스마트폰 태블릿 PC이용실태와 부모인식과 유아의 중독적 특성에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4(4), 237-260.
62 정미라, 김민정, 이방실 (2015). 어머니 문지기 역할과 아버지의 양육참여 및 행동 간의 관계: 부부 간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 11(2), 355-373. doi:10.14698/jkcce.2015.11.2.355   DOI
63 조경서, 김은주 (2016). 어머니의 스마트폰 의존성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스마트폰 의존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53, 77-104.
64 최정숙 (2014). 유아의 스마트폰 중독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과 양육효능감의 영향.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5 한누리, 문혁준 (2014). 유아의 문제행동, 아버지의 양육참여, 가정환경이 유아의 학습행동에 미치는 영향. 육아지원연구, 9(3), 25-49. doi:10.16978/ecec.2014.9.3.002   DOI
66 최항준, 조수경, 김미정 (2015).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양육특성이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 심리특성을 매개효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20(1), 383-402.
67 한국정보화진흥원 (2011). 스마트폰중독 진단척도 개발 연구.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68 한국정보화진흥원 (2012). 2011인터넷 중독 실태조사.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69 Abbott, G., Hnatiuk, J., Timperio, A., Salmon, J., Best, K., & Hesketh, K. D. (2016).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associations between parents' and preschoolers' physical activity and television viewing: The Happy study. Journal of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13(3), 269-274. doi:10.1123/jpah.2015-0136   DOI
70 강옥순, 전예화 (2008). 어머니의 애착유형 및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의 관계. 인제학회, 23(1), 237-252.
71 기현옥 (2016).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의 특성연구: 양육스트레스, 성인애착, 어머니의 스마트폰 중독.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2 Belsky, J. (1984).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A process model. Child Development, 55(1), 83-96. doi.org/10.2307/1129836   DOI
73 Abidin, R. R. (1992).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behavior.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1(4), 407-412. doi:10.1207/s15374424jccp2104_12   DOI
74 Atli, S., Gunuc, S., Kuss, D., & Baran, G. (2019). Impact of parents' technology use on 18-to 24-month-old infants' adaptive behaviors. Adaptive Behavior, 27(3), 197-219. doi:10.1177/1059712319845340   DOI
75 Bamett, R. C., & Baruch, G. K. (1987). Deterrminants of fathers' participation in family work.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49(1), 29-40. doi:10.2307/352667   DOI
76 Tan, Q. Y. J., Hartanto, A., Toh, W. X., & Yang, H. (2019). Commentary: Influence of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of young children on problematic behaviors and emotional intelligence: Mediating self-assessment effects of parents using smartphones. Frontiers in psychology, 10, 115. doi:10.3389/fpsyg.2019.00115   DOI
77 Zimmerman, F. J., & Christakis, D. A. (2007). Association between content types of early mediaexposure and subsequent attentional problems. Pediatrics, 120(5), 986-992. doi:10.1542/peds.2006-3322   DOI
78 장영애, 박정희 (2009). 어머니 우울 및 양육스트레스가 어머니-유아 간 애착에 미치는 영향. 가족과 가족치료, 17(2), 213-232. doi:10.21479/kaft.2009.17.2.213   DOI
79 정경미, 이경숙, 박진아, 김혜진 (2008). 한국판 부모 양육스트레스 검사(Korean-Parenting Stress Index: KPSI)의 표준화 연구.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7(3), 689-707. doi:10.15842/kjcp.2008.27.3.007   DOI
80 최미경 (2021). 아버지 양육참여와 어머니 내면의 힘이 어머니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17(2), 47-68. doi:10.14698/jkcce.2021.17.02.047   DOI
81 Lamb, M. E., Pleck, J. H., Charnov, E. L., & Levine, J. A. (2017). A biosocial perspective on paternal behavior and involvement. In Parenting across the life span (pp. 111-142). London: Routle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