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care centers

검색결과 399건 처리시간 0.023초

어린이집 품질 제고를 위한 핵심 평가지표 도출: DEMATEL 기법을 이용하여 (Derivation of Key Evaluation Indicator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Daycare Centers: Using the DEMATEL Technique)

  • 박영선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767-781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key evaluation indicators to improve the quality of daycare centers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s among the 18 evaluation indicators of the daycare evaluation system using the DEMATEL technique. Methods: In this study, the questionnaires are completed by 17 daycare center directors who have received accreditation of daycare center. They are requested to consider the level of direct influence between two evaluation indicators. A DEMATEL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survey results. Result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he most important indicators of daycare center quality are directors leadership, institutional operations and professionalism of staff. Among evaluation areas, educational childcare curriculum & interactions is affected by all areas, and staff area affect all areas. Conclusion: The evaluation areas and indicators of the daycare center are judged to be well-balanced. It is expected that the findings of the key evaluation indicators that should be prioritized among the evaluation indicators will be helpful to those preparing for the evaluation of the daycare center.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 사회적 지지가 보육교사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Job Stress, Coping Style, and Social Support on Quality of Life Among Child Care Teachers)

  • 최성실;여종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9-37
    • /
    • 2020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job stress, coping style, and social support were associated with quality of life among child care teacher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comprised of 281 child care teachers in the metropolitan area of Seoul. Job stress, problem-focused coping style,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were assessed by a teacher-reported questionnaire. Result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while job stress predicted lower quality of life, having problem-focused coping style and family support enhanced quality of life among child care teachers. Furthermore, results showed significant moderation effects of support from directors at child care cente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quality of life among child care teachers. Conclusion/Implications: The findings suggest the important role of problem-focused coping styles and family support in enhancing quality of life. Moreover, support from directors at child care centers appeared to buffer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quality of life among child care teachers.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ir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and counseling programs for child care teachers.

4년제 간호대학(과) 아동간호학 실습교육의 현황과 발전방향 (Evaluation of Clinical Practicum for Child Health Nursing)

  • 박은숙;탁영란;강경아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2권1호
    • /
    • pp.5-14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study was to describe and evaluate the educational status regarding clinical practicum for child health nursing to facilitate student's clinical compliance for the bachelor's degree in Korea. Methods: The study was a descriptive study and included data from 40 institutions among the 53 university nursing programs in Korea(75.5% response rate). Data were collected using mailed semi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content analysis was done. Results: Findings show that most institutions have common learning objectives for the clinical practicum; neonatal care, high risk infant care, hospitalized child care, and advanced nursing practice. The mode for theoretical credits in child health nursing was 5 to 6 and 3 to 4 credits for clinical practice. The practice settings were prepared to provide diverse experiences, including childcare centers, and community centers with various learning activities. Evaluation for learning outcomes included faculty and instructors. It was pointed out that updating evaluation based on student and faculty feedback is important for a comprehensive practicum evaluation. Conclusions: Finding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for a generalized curriculum for clinical practicum and for the expanding role of advanced nursing practice-, a need for diverse clinical settings for practice, and effective guidance and learning activities. It is significantly noted that the attitude and teaching methodologies of clinical instructor's are highly important to effective clinical learning outcomes.

  • PDF

먹거리를 활용한 유아 수학교육 프로그램이 만 4세 유아의 수학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Utilizing Food on 4-Year-Old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y)

  • 오미라;민하영;조우미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15-133
    • /
    • 2019
  • Objectiv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utilizing food to improve the mathematical abilities of 4-year-olds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is program on 4-years-olds' mathematical concepts (number and operation, algebra, geometry, measurement, data analysis, and probability). Methods: The study selected 30 4-year-olds from two daycare centers located in K city. The experimental group (N=15) participated in the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utilizing food, 10 times for five weeks, while the comparative group (N=15) participated in the seasonal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Nuri Curriculum. The activities of this intervention program were designed to cover all domains of Mathematical Exploratory areas in the Nuri Curriculum. For data processing and analysis, pre-test and post-test scor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analyzed through MANCOVA.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five mathematical concept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 mathematics education program utilizing food had the positive effect of improving 4-year-olds' mathematical ability. Conclusion/Implications: Mathematic education programs utilizing food are recommended as necessary pedagogical data to develop the mathematical abilities of children in education centers, families, or relating to parenting education.

어린이집 재원시간에 따른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어린이집 질적수준의 중재효과 (The Effect of Hours in Child Care Centers on Children's Daily Stres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Child Care Quality)

  • 김정화;이재연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357-37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어린이집 재원시간과 어린이집의 질적 수준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어린이집 질적 수준의 일상적 스트레스 중재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 10개소와 그곳에 재원중인 만 3세부터 만 5세까지 유아 380명을 대상으로 질적 수준 평가 및 일상적 스트레스 검사를 하였고, 결과 분석을 위해 일원변량분석, 중다회귀분석, 조절적회귀분석,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는 하루 재원시간이 7시간 이하인 유아보다 하루 9시간 이상인 유아의 경우가 더 높았다. 어린이집의 질적 수준에 따라서는 공간 및 설비, 일상적 양육, 언어추론, 상호작용, 활동, 프로그램 구성, 부모 및 교직원의 7가지 변인 중,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 수준이 낮을수록, 부모와 교직원의 협조 및 전문성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가 높았다. 어린이집의 질적 수준 중 하루 9시간 이상 장시간 재원하는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를 중재하는 변인은 언어추론, 상호작용, 부모와 교직원 변인이었는데, 구체적으로 언어추론 활동이 활발하고 교사와 유아간의 상호작용이 긍정적이며 부모와 교직원의 협조 및 전문성 수준이 높았을 때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가 감소하는 중재효과가 있었다.

육아서 내 구강건강관리 관련 내용의 평가 (EVALUATION OF ORAL HEALTH CARE INFORMATION IN THE KOREAN CHILDCARE BOOKS)

  • 김지영;이광희;김대업;라지영;이동진;안소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27-135
    • /
    • 2008
  • 연구 목적은 육아서에 수록된 구강건강관리 정보의 양과 정확도를 파악하기 위함이었다. 1991년 이후에 출판된 육아서 35권을 대상으로 구강건강관리 관련 내용의 양, 저자의 전공성을 조사하고, 구강건강관리 관련 내용은 구강조직의 발육과 발육이상, 구강질환의 예방, 구강질환의 치료, 부정확한 내용 등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35권 중 구강건강 관련 내용을 포함한 책이 28권(80%)이었고, 평균 4.8쪽(1.2%)의 분량을 차지하였다. 그 중에서 치과의사가 관련 내용을 집필하거나 치과의사의 자문을 구했음을 명시한 육아서는 각각 1권(3.6%)이었다. 관련 내용 중 많이 기술된 것은 구강질환의 예방 중에서 유치의 맹출순서 및 시기(96.4%), 잇솔질방법(82.1%)이었고, 나머지 내용들을 기술한 육아서는 절반에 미치지 못하였다. 부정확한 내용을 기술한 육아서는 28권 중 3권(8.6%)이었다. 따라서 보호자에 대한 구강건강관리 정보 제공에 치과의사의 적극적인 참여가 요구된다. 또한 정보 제공 경로로서 육아서 외에 잡지, TV 프로그램, 인터넷, 보건소와 산부인과를 통한 교육 프로그램 등의 다양한 경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산.학.관 협력 어린이집 장학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Field-University-Government Cooperation Oriented Supervision Program for Child-care Centers)

  • 남미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193-217
    • /
    • 2012
  • 본 연구는 어린이집 교직원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장학프로그램을 산 학 관 협력으로 계획, 운영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어린이집 장학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성 평가기준에 따라 선정된 분야별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델파이 조사와 어린이집의 보육교직원을 대상으로 한 적절성 인식조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 시안을 개발한 후, 중소도시에 위치한 A어린이집 원장과 교사를 대상으로 장학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산 학 관 협력 어린이집 장학프로그램 시안은 장학프로그램의 내용 영역 27개 항목과 운영 영역 36개 항목, 총 63개 항목으로 구성되었으며, 적절성 인식 조사결과 장학영역, 운영을 위한 주체별 역할, 운영을 위한 상호협력적 역할에 대해서 모든 항목의 적절성이 평균 3.0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산 학 관 협력 어린이집 장학프로그램의 적용은 3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실시하였으며, 실시과정을 통해 참여자들은 산 학 관 협력에 대해 '협력의 이중성', '아쉬움과 한계'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형 어린이집 교사 양성에 대한 교육요구도 (The Curriculum Need for a Public Child-care Teacher)

  • 정다운;김정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6호
    • /
    • pp.147-168
    • /
    • 2012
  • 본 연구는 현장 중심의 어린이집 교사 양성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하여 교사, 원장, 보육관련학과 재학생 257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직무요구조사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결과처리는 빈도분석, t-검증, 교차분석, ANOVA 검증 및 Sch$\acute{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첫째, 공공형 어린이집에서는 전문대 출신 보육교사에 대하여 채용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채용 시 성실성과 수업능력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원장 및 교사들은 보육교사 자격증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데 비하여 재학생들은 유치원 정교사 자격증과 각종 실기관련 자격증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차이를 보였다. 둘째, 원장과 재학생은 공공형 어린이집 직무 중 교수학습준비 및 실제, 학부모 상담, 아동보호 및 안전 관련 업무를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교사들은 공공형 어린이집 직무 중 교수학습준비 및 실제, 학부모 상담, 시설관련 업무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 부분에 대한 보육현장중심의 교육과정개발이 강화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찰에 근거한 어린이집 영아반의 일과유형분류 및 일과유형별 영아의 놀이성과 교사 특성 (Playfulness of Infa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according to Daily Routine Types based on Observation in Infant Classes in Child Care Centers)

  • 박찬화;권연희;나종혜;최목화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85-210
    • /
    • 2013
  • 본 연구는 영아반의 하루 일과를 관찰하여 실내자유놀이, 실외놀이, 집단활동 및 낮잠 휴식 등의 일과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들이 진행된 시간들을 바탕으로 하루일과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일과유형에 따라 영아의 놀이성, 교사의 학력 및 경력, 교사행동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영아반의 일과유형은 '실내 외놀이 지향형'과 '낮잠 휴식 및 집단활동 지향형' 등 2가지로 분류되었다. 일과유형별 영아의 놀이성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실내 외놀이 지향형'이 '낮잠 휴식 및 집단활동 지향형'보다 영아의 놀이성 전체점수와 하위영역인 신체적 자발성, 즐거움의 표현, 유모감각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그리고 일과유형에 따라 교사의 학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교사의 경력에서는 '실내 외놀이 지향형' 학급의 교사경력이 '낮잠 휴식 및 집단활동 지향형' 학급의 교사경력보다 유의하게 더 많았다. 교사의 상호작용행동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실내 외놀이 지향형' 일과의 교사가 '낮잠 휴식 및 집단활동 지향형'의 일과를 운영하는 교사보다 긍정적 지도행동과 중립적 지도행동을 유의하게 더 많이 보였다.

현장 사례로 본 공동육아나눔터의 주요 기능과 운영상 문제 및 활성화 조건 (Main Function, Management Difficulties and Activating Conditions of the Cooperative Child Care Sharing Center Based on Field Cases)

  • 이승미;김선미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6권1호
    • /
    • pp.59-73
    • /
    • 2022
  • 이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론에 의한 현장사례연구로서, 공동육아나눔터의 주요 기능과 운영상의 문제 및 활성화 조건을 탐구한 것이다. 지역(대도시·중소도시·군단위), 개소 시기, 운영기관, 위치, 맞벌이자녀초등전담돌봄 여부, 2020년 돌봄공동체시범사업 참여 여부 등을 고려하여 전국 8지역을 사례로 선정하였다. 공동연구자가 각 센터 현장을 함께 방문하여 센터장 혹은 전담직원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활용하여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면접자료를 전사하여 34개의 하위범주와 12개의 범주를 구성하고, 공동육아나눔터의 주요기능과 운영상의 어려움 그리고 활성화 조건이라는 세 가지 주제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주제를 토대로 공동육아나눔터 활성화방안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