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Hours in Child Care Centers on Children's Daily Stres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Child Care Quality

어린이집 재원시간에 따른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어린이집 질적수준의 중재효과

  • 김정화 ((재)한국보육진흥원) ;
  • 이재연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부)
  • Published : 2013.04.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look for care quality factors reduce the daily stress of young children placed in care centers for long hours. Therefore, the research questions look into how the hours and care quality factors in child care centers affect young children's daily stress, and whether the care quality factor moderates the impact of the hours children spent in cent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80 children from 3 to 5 years old from 10 child care centers. The Korean Preschool Daily Stress Scale(KPDSS) for children's daily stress and Early Childhood Environmental Rating Scale-Revised(ECERS-R) for quality of each classroom of centers were implemented. The main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ing: (1) The more hours he/she spent in the center, the more stress he/she had. Children who spent 9 hours or more had more stress than children with 7 hours or less. (2) Among the 7 quality factors including space and furnishings, personal care routines, language reasoning, activities, interaction, program structure, parents staff, the interaction level between a teacher and a child and the level of parents and staff had the most impact on children's daily stress. (3) The qualitative factors of child care, language reasoning level, interaction level, parental support, and level of teachers reduced children's daily stress which was affected by the hours they spent in centers. Thus in order to reduce the daily stress of children who attend more than 9 hours a day, it is crucial to promote language reasoning activities and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and to improve parental support and teachers' professionalism.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어린이집 재원시간과 어린이집의 질적 수준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어린이집 질적 수준의 일상적 스트레스 중재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 10개소와 그곳에 재원중인 만 3세부터 만 5세까지 유아 380명을 대상으로 질적 수준 평가 및 일상적 스트레스 검사를 하였고, 결과 분석을 위해 일원변량분석, 중다회귀분석, 조절적회귀분석,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는 하루 재원시간이 7시간 이하인 유아보다 하루 9시간 이상인 유아의 경우가 더 높았다. 어린이집의 질적 수준에 따라서는 공간 및 설비, 일상적 양육, 언어추론, 상호작용, 활동, 프로그램 구성, 부모 및 교직원의 7가지 변인 중,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 수준이 낮을수록, 부모와 교직원의 협조 및 전문성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가 높았다. 어린이집의 질적 수준 중 하루 9시간 이상 장시간 재원하는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를 중재하는 변인은 언어추론, 상호작용, 부모와 교직원 변인이었는데, 구체적으로 언어추론 활동이 활발하고 교사와 유아간의 상호작용이 긍정적이며 부모와 교직원의 협조 및 전문성 수준이 높았을 때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가 감소하는 중재효과가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보들맘, 신혜영(2000).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에 관한 탐색적 연구. 유아교육연구, 20, 253-276.
  2. 김수미(2007). 보육시설 이용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 김정화, 이재연(2011). 어린이집 재원시간과 영유아들이 경험하는 일상적 스트레스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9(9), 121-130.
  4. 김혜경, 류왕효(2006). 시간 연장 보육유아의 스트레스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지, 45, 207-225.
  5. 박경자(2007). 한국 보육시설 환경과 어린이 스트레스: 저소득층 가정 어린이 중심으로. 삼성복지재단 제 15회 국제학술대회 자료집.
  6. 박성혜(2002).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미시체계 변인 탐색.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7. 박화윤, 안라리, 하양승(1998). 종일제와 반일제 유치원 프로그램의 유아스트레스 행동. 유아교육연구, 18(2), 135-155.
  8. 보건복지부(2010). 아이사랑플랜 2010년 시행계획. 보건복지부.
  9. 보건복지부(2012). 보육통계(2011년 12월말 기준). 보건복지부.
  10. 서문희 외(2009). 2009년 전국보육실태조사: 가구조사 보고서. 서울: 보건복지부.육아정책개발센터.
  11. 송인숙, 송진숙(2004). 부모와 교사간이 연계교육 및 유아 교사간의 상호작용의 질에 따른 유아의 적응에 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39(4), 111-128.
  12. 신귀순(2006). 보육의 질이 영유아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3. 염현경(1998).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4. 이경선(2000). 보육의 질에 영향을 주는 관련 변인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5. 정효은, 하영례(2009). 기관변인에 따른 5세 유아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놀이치료연구, 13(3), 1-13.
  16. 최지현, 박혜원(2000). 보육환경(보육시설 및 교사)이 영아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생활과학논문집, 2(1), 73-88.
  17. Belsky, J., Vandell, D. L., Burchinal, M., Clarke-Stewart, K. A., McCartney, K., Owen, M. T., et al. (2007). Are there long-term effects of early child care? Child Development, 78, 681-701. https://doi.org/10.1111/j.1467-8624.2007.01021.x
  18. Greenspan, S. I.(2003). Child care research: A clinical perspective. Child Development, 74(4), 1064-1068. https://doi.org/10.1111/1467-8624.00591
  19. Gunnar. M. R., & Donzella, B.(2002). Social regulation of the cortisol levels in early human development. Psychoneuroendocrinology, 27, 199-220. https://doi.org/10.1016/S0306-4530(01)00045-2
  20. Harms, T. & Clifford, R. M.(1980). Early Childhood Environment Rating Scale. NY: Teachers College Press.
  21. Harms, T. & Clifford, R. M.(1983). Assessing preschool environments with the early childhood environment rating scale. Studies in Educational Evaluation, 8, 261-269.
  22. Harms, T., Clifford, R. M., & Cryer. D.(1998). Early Childhood Environment Rating Scale Revised Edition. NY: Teachers College Press.
  23. Harms, T., Clifford, R. M., & Cryer, D.(2005). Early Childhood Environment Rating Scale - Revised Edition.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24. Hosley (2000).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A review of program models and effectiveness. St. Paul, MN: Wilder Research Center. (Ed) 440-754.
  25. McCartney, K., Owen, M. T., Booth, C., Vandell, D. L., & Clarke -Stewart, K. A.(2004). Testing a maternal attachment model of behavior problems in early childhood.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5, 765-778. https://doi.org/10.1111/j.1469-7610.2004.00270.x
  26. National Institute of Child Health and Human Development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2000). The relation of child care to cognitive and language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71, 960-980. https://doi.org/10.1111/1467-8624.00202
  27. National Institute of Child Health and Human Development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2001). Child care and children's peer interaction at 24 and 36 months. Child Development, 72(5), 1478-1500. https://doi.org/10.1111/1467-8624.00361
  28. National Institute of Child Health and Human Development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2003). Does amount of time spent in child care predict semiemotional adjustment during the transition to kindergarten? Child Development, 74(4), 976-1005. https://doi.org/10.1111/1467-8624.00582
  29. Sher, L.(2003). Daily Hassles, cortisol, and the pathogenesis of depression. Medical Hypotheses, 62(2), 198-202.
  30. Vandell, D. L.(2004). Early child care: The known and the unknown. The Merrill-Palmer Quarterly, 50(3), 387-414. https://doi.org/10.1353/mpq.2004.0027
  31. Vermeer, H.. J. & Van IJzendoorn, M. H,(2006). Children's elevated cortisol levels at daycare: A review and meta-analysi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1, 390-401. https://doi.org/10.1016/j.ecresq.2006.07.004
  32. Watamura, S. E., Donzella, B., Alwin, J. & Gunnar, M. R.(2003). Morning-to-afternoon increases in cortisol concentrations for infants and toddlers at child care: Age differences and behavioral correlates. Child Development, 74(4), 1006-1020. https://doi.org/10.1111/1467-8624.00583
  33. Watamura, S. E.(2006). Cortisol patterns at home and child care: Afternoon differences and evening recovery in children attending high quality full day center based care. 삼성복지재단 제 15회 국제학술대회 건강한 환경, 유능한 어린이, 87-109.
  34. Watamura, S. E., Kryzer, E. M., & Robertson, S. S.(2009). Cortisol patterns at home and child care: Afternoon differences and evening recovery in children attending high quality full day center based care.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30, 475-485. https://doi.org/10.1016/j.appdev.2008.12.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