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Field-University-Government Cooperation Oriented Supervision Program for Child-care Centers  

Nam, Mi Kyoung (대구한의대학교 아동복지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8, no.6, 2012 , pp. 193-21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developed and applied the 'field-university-government cooperation oriented supervision program' for child-care centers. A draft of the 'field-university-government cooperation oriented supervision program' was drawn up from the Delpi method with a panel consisting of experts, and from teachers's perception on it's adequacy. And then it was applied to A child-care center. Participating subjects consisted of a panel of 20 experts, 153 child care center teachers and 1 director and 4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s, 1 professor in an university. The step by step results of the study are 1) the developed draft of the 'field-university-government cooperation oriented supervision program', included two categories and consisted of a total 63 items; 2) when the program was applied, participant' responses through the supervision was summarized as 2 key words, 'new attempt vs limits of unprepared collaboration', 'confusion and further possibility'. In conclusion, this program showed both possibility and limitations.
Keywords
Field-University-Government cooperation; child care center; supervision program;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고시천, 이윤보(1998). 벤처기업 산학협동의 현황과 문제점. 상경연구, 23(2), 213-238.
2 고영미(2008). 우리나라 유아교육.보육정책의 기본 방향 및 과제. 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동계전국학술대회집, 제12권, 제 4-1호, pp. 71-79.
3 김영천(2006). 질적 연구 방법론 I. 서울: 문음사.
4 김은설, 김은설, 안재진, 최윤경, 김의향, 양성은, 김문정(2009). 보육종사자의 전문성 제고방안연구. 육아정책연구소.
5 남미경(2011). 델파이 방법을 활용한 산.학.관 협력 어린이집 장학프로그램에 대한 전문가 인식조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4), 159-182.
6 박해미, 이순영(2009). 보육교사의 근무유형, 자격, 경력, 연령에 따른 장학요구 유형 연구.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3(3), 139-153.
7 보건복지부, 교육과학기술부(2012).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고시문. 보건복지부.교육과학기술부
8 양정미(2004). 보육교사의 교사관심사 발달단계에 따른 장학실태 및 요구도 조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염지숙, 이명순, 조형숙, 김현주(2008). 유아교사론. 경기: 정민사.
10 원영미(2001). 보육시설 장학지도 모형개발을 위한 사례연구. 유아교육논총, 제 10권. 109-140.
11 유미경(2000). 보육교사의 자기장학 실태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윤정주(2008). 자율장학에 대한 보육기관유형별 교사의 인식과 실태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이경철(2006). 유아교육기관 평가인증제의 산.학.관 협력모형 개발연구-델파이와 AHP기법을 활용하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4 이근주(2006). 어린이집 자율장학의 실태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민간어린이집 시설장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6(2), 115-137.
15 이민원(2011). 보육인력의 전문성, 보육의 질을 결정한다. 육아정책포럼, 제22호. pp. 28-35. 육아정책연구소.
16 이은화, 배소연, 조부경(1995). 유아교사론. 서울: 양서원.
17 이정희, 정계숙(2009). 산학협력을 통한 부적응 유아의 사회적 관계 증진 사례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3), 59-86.
18 조부경(2003). 유아교육 실습지도를 위한 대학과 유치원과의 협력모형 개발. 유아교육연구, 24(3), 47-76.
19 조부경, 남옥자(2008). 유치원 교육의 지역화를 위한 대학과 지역교육청 및 유치원 간의 협력방안모색. 열린유아교육연구, 13(3), 339-364.
20 조성연(2007). 보육시설 내 교사 장학 프로그램.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p. 61-80.
21 조성연, 강재희(2007). 보육교사의 현직교육 및 보육시설 내 장학에 대한 현황과 보육시설장의 인식. 교과교육학연구, 11(2), 405-418.
22 조혜경(2006). 어린이집 보육교사를 위한 장학에 대한 연구. 보육정책연구, 2(2), 83-100.
23 진동섭, 김도기(2005). 컨설팅 장학의 개념 탐색. 교육행정학회지, 23(1), 1-25.
24 차미영(2011). 직장어린이집의 개원 및 초기 운영을 위한 산.학.관 협력체제 개발. 신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5 최연철(2002). 유치원교사의 발달 단계 이론에 따른 현직교육의 방향. 열린유아교육연구, 7(2), 279-296.
26 최중근(2008). 웹기반 산.학 협력 유아교육 실습지도 모형 개발.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7 황보영란(2005). 유아교사들 간의 협동과 관련된 사회조직적 변인 연구. 유아교육연구, 25(1), 109-127.
28 황해익(2004). 유아교육에서의 산.학.관 협력체제: 대학의 역할, 유아교육 산.학.관 협력체제 어떻게 할 것인가?. 부산유아교육학회 2004추계 국제학술대회자료집, pp. 100-114.
29 황해익, 남미경(2011). 보육시설 종사자의 자격 및 처우. 2011년 춘계공동학술대회자료집, pp. 128-149. 한국보육지원학회.
30 Ade, W.(1982). Professionalization and its implication for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Young Children, 37(3), 25-26.
31 Ellen, G., & Pearl, S. (2005). Modeling creative and courageous school leadership through district community-university partnership. Educational Policy, 29(1), 223-249.
32 Fish, J. (2004). A trends of cooperative system among the fields, colleges, and government in U.S.A., Practice and collaboration: The story of the California State University, Northridge/ Child Care Resource Center Early Childhood Education Consulting Services, 미국의 산.학.관 협력체제의 동향, 부산유아교육학회 2004년 추계 국제학술대회자료집, pp. 1-41.
33 Kremenitzer, J. P., & & Myler, T. (2006). Collaboration between teacher educator and kindergarten teacher. Childhood Education, 82(3), 165-170.   DOI   ScienceOn
34 Rainforth, B., et, al. (1992). The Effects of full Inclusion on Regular Education Teachers. Final Report [microform]. CA: San Francisco State Univ. California Research Inst.
35 Spodek, B. S. (1988). Implicit theor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undation for professional behavior. In B. S. Spodek, O. N. Saracho, & D. L. Peters(Eds.). Professionalism and the early childhood practitioner. NY: Teachers College Press.
36 Zeichner, K. (1986). Preparing reflective teacher: An overview of instructional strategies which have been employed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1(5), 565-5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