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urriculum Need for a Public Child-care Teacher

공공형 어린이집 교사 양성에 대한 교육요구도

  • 정다운 (수성대학교 아동미술보육과) ;
  • 김정희 (평택대학교 청소년복지학과)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The results of our study will help develope the education programs for a child-care teacher.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job request questionnaire. The subjects of the questionnaire were 257 people who are teachers, directors of child care centers and students. Frequency analysis, t-test, Chi-square, ANOVA, and Sch$\acute{e}$ffe were used to analyze the questionnaire as statistical tools. Firstly, public child care centers positively recruit teachers who graduate from college and consider their ability and sincerity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s. Secondly, directors and teachers in public child care centers tend to consider preparing education, advice with child's parents, and managing facility the most important duties. Based on the results, the development of the education program will be focused on the child care field.

본 연구는 현장 중심의 어린이집 교사 양성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하여 교사, 원장, 보육관련학과 재학생 257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직무요구조사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결과처리는 빈도분석, t-검증, 교차분석, ANOVA 검증 및 Sch$\acute{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첫째, 공공형 어린이집에서는 전문대 출신 보육교사에 대하여 채용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채용 시 성실성과 수업능력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원장 및 교사들은 보육교사 자격증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데 비하여 재학생들은 유치원 정교사 자격증과 각종 실기관련 자격증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차이를 보였다. 둘째, 원장과 재학생은 공공형 어린이집 직무 중 교수학습준비 및 실제, 학부모 상담, 아동보호 및 안전 관련 업무를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교사들은 공공형 어린이집 직무 중 교수학습준비 및 실제, 학부모 상담, 시설관련 업무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 부분에 대한 보육현장중심의 교육과정개발이 강화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은영(2006). 유치원교사의 직무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 박은정(2003).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직무환경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박춘금(1996).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서문희, 이미화, 구미진(2006). 보육시설종사자 직무 및 근로환경 실태분석. 여성가족부.
  5. 유희정, 이미화(2004). 보육교사의 근무환경 및 직무실태 분석. 한국여성개발원.
  6. 이정미(2010). 보육교사의 직무실태 및 보육일지 작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정다운, 김정희(2012). 보육교사가 지각한 사회인구학적 변인 및 기능적 갈등, 계층적 갈등이 어린이집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3), 209-227.
  8. 조운주, 최일선(2004). 사립유아교육기관 초임교사들의 갈등 및 안정에 대한 이해. 유아교육연구, 24(1), 71-93.
  9. 조인제(1999). 초등교원의 집무실태 및 경감방안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경영관리대학원.
  10. 조혜진(2003). 사립유치원교사의 역할지각과 역할수행정도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한국보육진흥원(2010). 표준교과개요. 서울: (재)한국보육진흥원.
  12. INTASC (1992). Model standards for beginning teacher licensing. assessment and development: A resource for state dialogue. CCSSO.
  13. Saracho, O. N., & Bernard, S. (1993). Professionism and the prepara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ractioners. Early Childhood Development and Care Gordon and Breach Science Publisher. S.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