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emistry teacher

검색결과 268건 처리시간 0.031초

예비과학교사들을 위한 STEAM 수업 설계 (A Study of Pre-Service Teacher Class Design for STEAM Education)

  • 노희진;송그론;백성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년도 제50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2권2호
    • /
    • pp.455-45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가 학교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STEAM 수업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역량을 기르기 위한 수업을 개발하였다. 오픈소스와 CT (Computational Thinking)를 활용하여 팀별 프로젝트 (아두이노 및 스크래치 활용)를 진행하는 방식의 STEAM 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창의성을 기를 수 있도록 수업내용을 구성하고 시범운영하였다. 이 수업을 통해 예비교사들은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의 문제해결능력이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이해하고, 융합인재를 길러나갈 수 있는 역량을 기르게 될 것이다.

  • PDF

The Pressure Effect on the Activity Coefficient of Sodium Chloride and Bromide Ions

  • Jee, Jong-Gi;Lee, Sun-Haing;Cha, Seong-Keuck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7권3호
    • /
    • pp.163-166
    • /
    • 1986
  • A new paraffin salt bridge was developed for the concentration cell in high pressure system. The emf values of the concentration cells were measured to calculate the activity coefficients of the electrolytic ions depending upon the pressure of the system. The activity coefficients of sodium, chloride and bromide ions increase with the temperature of the cell and decreased, nearly half at 2500 bars, $20^{\circ}C$, with the pressure. These results can be explained to be attributed to the volume change of the hydrated ion due to the electrostriction. The volume change decreased with pressure due to an increase in the degree of the hydration.

발성 사고법을 이용한 예비 화학 교사의 지필평가 문항 제작 과정의 특징 분석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es of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in Making Written Test Items Using Think-Aloud Method)

  • 노태희;김혜리;한재영;강훈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25-237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예비 화학 교사가 개별적으로 지필평가 문항을 제작하는 과정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8명의 예비 화학 교사가 기체 법칙에 대한 6개의 지필평가 문항을 제작하는 발성 사고 과정과 개별 심층 면담 전사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교사들은 지필평가 문항 제작 과정에서 문항 제작 계획 단계의 체계성 부족, 수업과 평가의 상호관련성에 대한 인식 및 고려 부족, 문항 유형 결정 기준의 다양성, 문항의 행동 영역과 난이도 판별 곤란, 교사용 지도서 활용의 제한성과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오해, 검토 관점과 내용의 제한성 및 검토시기에 따른 차이점 등의 6가지 특징을 보였다. 이는 예비교사의 지필평가 문항 제작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Ambidentate 리간드의 금속착물 (제 3보). Isonitrosobenzoylacetone Imine 유도체와 팔라듐(Ⅱ)의 착물 (Metal Complexes of Ambidentate Ligands (Ⅲ). Palladium (Ⅱ) Complexes of Isonitrosobenzoylacetone Imine Derivatives)

  • 오대섭;이만호;김수한;박정학;이해운
    • 대한화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1-35
    • /
    • 1982
  • Amberdentate 리간드인 isonitrosobenzoylacetone imine 및 N-알킬 치환제들의 새로운 팔라듐(Ⅱ) 착물 Pd(IBA-NH)(IBA-NH') 및 Pd(IBA-NR)2를 합성하였다. 여기서 IBA-NH 및 IBA-NR (R: methyl, ethyl, n-propyl, n-butyl, benzyl)은 각각 isonitrosobenzoylacetone imine 및 그 N-알킬 치환제를 표시한다. 합성한 팔라듐(II) 착물들의 적외선, 핵자기 공명, 전자 스펙트라 등을 측정한 결과 이들 착물 중에서 Pd(IBA-NH)(IBA-NH')는 IBA-NH는 이소니트로소기의 산소를 통하여 팔라듐에 배위되어 6각형 고리를 이루며 IBA-NH'는 이소니트로소기의 질소를 통하여 배위되어 5각형 고리를 이루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Pd$(IBA-NR)_2$는 양쪽의 IBA-NR이 같이 이소니트로소기의 질소를 통하여 배위되어 5각형 고리를 이루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들 리간드의 배위구조는 $Bose^5$등에 의하여 알려진 isonitrosoacetylacetone imine 및 그 N-알킬 유도체들의 구조와 유사하다.

  • PDF

수행평가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 화학 교사의 수행평가를 중심으로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Focusing on the Performance Assessment of Chemistry Teacher)

  • 김현정;김성기
    • 대한화학회지
    • /
    • 제66권5호
    • /
    • pp.405-415
    • /
    • 2022
  • 이 연구는 설명적 순차 설계를 이용하여 화학 교사의 수업에서 수행되는 8가지 수행평가 방식에 대한 고등학교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10개 고등학교의 439명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이후 5개 학교의 28명 학생을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여 설문 결과를 해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다양한 수행평가 방식보다는 편중된 평가 방식을 경험하고 있었다. 둘째, 학생들은 가장 재미있게 느꼈던 수행평가 방식에서는 직관적 확인 가능 여부, 진로와의 관계, 내적 성장 등을 언급하였으며, 어려움을 느꼈던 수행평가 방식에서는 준비도와 불명확한 평가 기준을 언급하였다. 셋째, 학생들은 화학 과목과 관련이 적은 개인의 능력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생각되거나 평가 기준이 상대적으로 불명확하다고 생각할수록 적절한 수행평가 방식이 아니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Teachers' Research Experiences in Labs and Fields

  • Shin, Myeong-Kyeong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715-722
    • /
    • 2006
  • This study intended to find evidence of changes in teacher beliefs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a case of infusing research experiences in teaching modules since their research participation. As part of this study, twenty three science and math teachers in Korea were provided with science research labs and field experiences in the University of Iowa for three weeks. The research units that teachers participated in for three weeks covered seven fields of subjects such as: geology, astronomy, chemistry, physics, mathematics, computer science,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In the course of this study, the effectiveness of science research participation program was explored in terms of changing teacher beliefs and their production of teaching modules based on their research. This study especially focused on identifying changes of beliefs o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after participating in the research. A case study of a participant teacher was also conducted by comparing descriptively teaching modules before and after experiencing the program. It was found that the program affected the new modules and the research experiences affected participants' beliefs toward student centeredness.

중등 예비화학교사의 수업 계획에서 교사용 지도서의 활용 방식 분석 (Analysis of Pre-service Secondary Chemistry Teachers' Uses of Teacher's Guide in Planning Lessons)

  • 양찬호;송나윤;김민환;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681-691
    • /
    • 2016
  • 이 연구에서는 중등 예비화학교사의 수업 계획에서 교사용 지도서의 활용 방식을 분석하였다. 서울 소재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11명의 예비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예비교사들에게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 및 부속자료를 제공하고 이를 활용하여 일반적인 수업과 과학 교수학습 모형을 활용한 수업을 계획하도록 하였다. 예비교사들이 작성한 교수학습 지도안과 활동지, 면담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은 교사용 지도서의 차시 구분을 그대로 따랐으나, 전체 대단원의 차시 구성이나 교육과정 상의 내용 간 연계에 대한 고려는 부족하였다. 또한, 수업에 적용할 모형을 선정할 때 제시된 예시 지도안의 도움을 받는 경우도 있었다. 교수학습 활동 측면에서 일반적인 수업에서는 교과서의 탐구 활동에 제시된 질문을 변형하였고, 모형을 적용한 수업에서는 모형의 각 단계에 맞춰 교과서의 탐구 활동을 변형하였다.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이 부속자료로 제공된 활동지를 활용하지 않고 교사용 지도서와 부속자료를 응용하여 활동지를 제작하였다. 예비교사들은 예시 지도안에 제시된 평가 단계를 보고 교수학습 평가 요소를 인식하였으나, 교과서나 교사용 지도서, 부속자료를 응용하여 주로 내용 지식을 평가하기 위한 지필평가를 계획하였다. 예비교사들은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소단원 도입 질문이 학생의 흥미 유발에 효과적이지 않다고 평가하여, 이를 변형하거나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 교육과정에서 예비교사의 PDC 향상을 위한 교사용 지도서의 효과적인 활용 방안과 교사용 지도서의 개선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사범대학 화학교육과 학생들의 로드맵을 통한 진로 목표와 대학 생활 계획 분석 (Analyzing Career Paths and College Life Plans of Department of Chemistry Education Students in Teacher's College Examined by Their Roadmaps)

  • 박종석;배성우
    • 대한화학회지
    • /
    • 제56권6호
    • /
    • pp.751-758
    • /
    • 2012
  • 교사양성대학으로서 사범대학 화학교육과에 대한 학생들의 정체성을 알아보고자 대구시에 소재한 K대학교 사범대학 화학교육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성별, 학년에 따른 진로목표와 대학 생활 계획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학생들에게 대학 생활 계획(로드맵)을 작성하게 하고, 이것을 분석하여 15개의 항목을 도출한 뒤, PASW18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를 처리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의 성별에 따라 진로목표와 영어공부, 여행, 봉사활동 계획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여학생들이 남학생들에 비해 의학계 진로와 영어공부, 여행에 대한 관심이 더 높았다. 봉사활동에 대한 관심 또한 여학생들이 더 높았으나 전반적으로 남녀 모두 부족하였다. 학년에 따른 차이는 학년이 낮을수록 의학계진로에 대한 관심과 영어공부, 여행, 학점관리, 교환학생, 장학금에 대한 관심이 높았고, 학년이 높을수록 봉사활동과 스터디, 인터넷 강의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진로목표에 따른 차이는 영어공부, 여행, 학점관리계획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의학계열 진학의 필수요소인 영어공부와 학점관리에 대한 관심이 사범계열 진학 학생들 보다 월등히 높았으며, 진로를 정하지 못한 학생들의 여행계획이 진로의 방향을 정한 학생들보다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학년이 낮을수록,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사범대학이 교원양성이라는 목적대학의 정체성을 크게 인식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며, 그에 따라 대학 생활 계획도 달라짐을 보여준다. 따라서 사범대학의 본래의 특성보다는 현실적인 진로 선택과 생활 계획을 우선시 하는 학생들에 대한 진로 상담 및 지도가 요구되며, 이러한 현실을 고려하여 교사양성대학으로서의 정체성을 갖출 수 있는 화학교육의 방향성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

CoRe 개발 과정을 통한 과학교사의 PCK 변화에 관한 사례 연구 -중학교 1학년 "분자의 운동"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cience Teachers PCK through development of Content Representation (CoRe) -Focusing on "Molecular Motion" for 7th grade class-)

  • 장효순;최병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870-885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숙련된 전공 교사와 비전공 교사가 공동 작업으로 중학교 1학년 "분자의 운동"에 관한 CoRe를 개발하면서, 개발 과정에서 연구 참여자들이 경험하는 것은 무엇이며, 개발 과정 경험 후 이들이 수업에서 나타나는 PCK 변화는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 연구는 도구적 사례 연구이며, 연구 참여자를 의도적 표본 추출하였다. CoRe 개발 과정 녹음과 수업 관찰 녹화, 면담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모든 자료는 전사 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들이 CoRe 개발 논의 과정을 통해 교과 내용 지식과 이전 수업에 대해 반성하고, 교사 자신의 오개념을 수정하고 개념을 명료화했으며, 교수 내용과 목표를 분명히 인식하고, 학생들의 선개념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경험을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비전공 연구 참여자들은 전공 교사와의 논의를 통해 이전의 수업에서 입자적 관점이 부족했었던 면을 확인하고, "분자의 운동"에서 무엇을 왜 가르쳐야 할지를 명확히 인식하게 되었음을 강조했다. CoRe 개발 경험 후 비전공 연구 참여자들은 PCK의 구성 요소 중 과학 교육과정에 대한 지식에 가장 큰 영향을 받아, 수업에서 입자성과 분자의 운동을 강조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 CoRe에서 논의된 새로운 교수 전략을 도입했다. 비전공 연구 참여 교사들의 PCK가 변하는 정도는 자신의 지식과 이전 수업에 대한 반성적 사고 정도와 교사의 정의적 특성에 따라 달랐다. 이 연구를 통해 CoRe 개발 과정이 교사의 전문성 신장에 필수적인 반성적 사고를 촉진시키고, PCK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전공자와 비전공자가 공동으로 CoRe를 개발하는 논의 과정을 통해 통합 교과에서 비전공자들이 보이는 일종의 결여를 확인하고 보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인식이 곧바로 실천으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내면화되기까지는 시간과 노력이 요구된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예비화학교사의 TPACK 발달을 위한 실천기반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및 방해 요인 분석 (The Effect and Disturbance Factors of Practical-Based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the Development of TPACK in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 정미선;백성혜
    • 대한화학회지
    • /
    • 제66권4호
    • /
    • pp.305-32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예비화학교사들의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전문성(TPACK)을 향상시키고자 실천기반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또한 TPACK 발달 측정을 통해 프로그램 효과 및 방해요인을 확인하였다. 연구 참가자는 충청북도에 소재한 K 교사양성대학교에서 화학교육강좌를 수강하는 화학교육과 3학년 20명과 4학년 2명이었다. 개발한 교사교육프로그램은 준비, 리허설, 실습, 성찰의 네 단계로 구성되었으며, 준비, 리허설, 성찰 단계에서는 연구자와 동료의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예비교사들의 "구성적 학습 활동"에서는 교육적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문제해결"에서는 교육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구성적 학습 활동"에서는 사전과 사후에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은 0수준으로, 테크놀로지를 단순히 교과 내용 설명이나 오개념 개선을 위한 도구로 사용하기 위하여 예비교사가 일방적으로 제공하고, 학습자는 이를 통해 수동적으로 지식을 습득하도록 계획하였다. 그러나 "문제해결"의 경우 사전에 0수준이었던 예비교사들이 1수준으로 변화하였다. 즉,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지 않고 단순 기억에 의존해서 문제를 해결하도록 수업을 구상하였던 학생들의 대부분이 교사가 제시한 테크놀로지의 관찰을 통해 다양한 문제에 접근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는 수업을 계획하는 것으로 변화하였다. 그러나 학습자가 스스로 테크놀로지를 선택하고 다양하게 조작하면서 다양한 문제를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해결하는 자발적 학습을 구성하는 2수준에 해당하는 예비교사들은 많지 않았다. 또한, 예비화학교사들이 TPACK 발달에 대한 방해요인으로 인식한 외적요인으로는 TPACK 구현을 위한 교실지원환경 미흡, 교육 계획을 위한 시간 부족, 부적절한 기술 역량 등이 있었으며, 내적요인으로는 전통적 교육관, 그리고 테크놀로지에 대한 부정적 태도 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그 중에서 부적절한 기술 역량을 외적 방해요인으로 인식한 비율이 높기 때문에 예비교사들을 위해 TK를 통해 TPACK 발달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TPACK 발달 유형 중 유형 2나 유형 3에 해당하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