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partment market

검색결과 287건 처리시간 0.028초

공공아파트 실적데이터 기반의 지역지수 산정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 Calculating Model for Local Index Based on Historical Data of Public Apartment Buildings)

  • 임대희;이승훈;서용칠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75-80
    • /
    • 2010
  • 국내 주택건설시장은 가격 경쟁의 심화와 함께 형태 구조적인 다양화가 동반되어 사업의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건설사업 기획단계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점점 더 높은 정확도를 가진 개산견적을 요구하고 있다. 현재 초기 기획단계의 공사비 산정에 관한 연구나 프로그램 개발이 다수 이루어지고 있으나, 지역성을 고려하여 결과를 도출한 경우는 많지 않다. 비용 산정 시 지역적 보정이 함께 이루어진다면 보다 정확한 비용 추정이 가능하고, 이는 곧 성공적인 프로젝트 수행에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아파트 실적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지역지수 산정 방법론 및 산정 모델을 구축하고, 공사비 추정 시 활용할 수 있는 지역지수를 도출하는 것이다.

서울시 주택소비심리와 권역별 주택가격의 시계열적 관계분석 (Time Series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Consumer Sentiment and Regional Housing Prices in Seoul)

  • 양혜선;서원석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0권1호
    • /
    • pp.125-141
    • /
    • 2020
  • 본 연구는 서울시 5대 권역을 대상으로 주택소비심리와 주택매매가격 간 시계열적 인과관계를 파악하고 소비심리 변동이 권역별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그랜저인과(Granger Causality)모형과 VEC (Vector Error Correction)모형을 이용해 실증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주택소비심리와 권역별 주택가격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소비심리는 주택가격에 강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택소비심리는 단기적으로 서울시 권역별 주택매매 가격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는데, 동남권 주택가격은 서울 주택소비심리 변화의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하며 이에 따른 영향은 비동남권으로 전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동남권 이외 권역은 주택심리가 긍정적임에 따라 장기적으로 주택가격을 상승시키지만, 동남권은 보합세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권역별 상대적 기여도의 경우 대체로 아파트가격 변동은 인접권역 또는 경쟁권역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주택소비심리와 서울시 권역별 주택가격이 상호 간 명확한 인과관계가 있다는 점과 권역 간에도 차별적인 주택소비심리 영향이 나타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온대지역 공동주택단지의 아열대 식물용 온실 설계 (Greenhouse Design for Subtropical Plants in Apartment Housing Complexes in Temperate Regions)

  • 김재식;김정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34-42
    • /
    • 2009
  • 본 연구는 공동주택 단지에 온실 형태의 EVERGREEN PARK를 도입하기 위하여 진행하였으며, 단순한 관상을 위한 온실이 아닌, 주민의 적극적인 참여와 활용을 목표로, 사계절 내내 이용 가능한 외부 공간의 구심점으로서 주민의 편의와 유익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계획의 주안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열대 식물들은 상록활엽성 식물들로 사계절 녹음을 유지하고, 잎의 육질이 두껍고 윤택이 많다. 이런 상록활엽수들이 주 수종인 아열대 식물용 온실을 온대지방에 도입하여 독특하고 고급스런 상록수림을 온대지방 사람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으며, 최고급의 상록식물상을 매우 저렴한 유지관리 비용으로 이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둘째, 공동주택단지 내에 도입한 아열대 식물용 온실은 지하연계구조형과 독립 구조형으로서 가온설비 없이 조성하여 지열을 이용하며, 차광 등의 방법을 이용하도록 제시하였다. 셋째, 활용방안으로서 (1) 건강과 휴식(Evergreens, 허브가든, 수 공간), (2) Community와 교육(식물벼룩시장 및 식물병원, 식물관련강좌(전시회), 체험학습프로그램), (3) Vine Garden 등의 운영프로그램을 제시하였으며, 나비축제, Aroma festival, Smile Oak Nuts, 촛불축제, Christmas! Photo Site 등의 4계절 이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넷째, 온실의 운영 유지관리는 주민이 중심이 되는 주민차치회 중심 운영관리와 외부전문업체 중심 운영관리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아파트 리모델링을 위한 의사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 서울 및 경기 수도권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eterminants for Apartment Remodeling in Seoul Metropolitan Area)

  • 조용경;이재원;이상엽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0권6호
    • /
    • pp.57-65
    • /
    • 2019
  • 재건축을 통한 도시주거환경의 개선이 용이하지 않은 시점에 노후아파트가 리모델링을 통해 개선되지 못하고 방치된다면 결국 도시는 쇠퇴하고 슬럼화가 이루어진다. 이에 정부는 리모델링을 활성화하기 위해 재건축의 대안으로서 인식하여 주로 면적증가나, 리모델링 비용 마련을 위한 세대수 증가, 수직 증축 리모델링 허용으로 법을 개정해왔으나 리모델링은 아직도 시장에서 활성화되고 있지 못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인 서울과 경기도의 아파트 소유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리모델링 선택과 리모델링 투입비용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주택소유주와 투자자들에게 객관적 의사결정요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리모델링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효과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우선 분석 모형을 통해 가구특성, 주택특성, 시간경과 변수로 리모델링 선택 확률과 투입비용의 크기가 결정되는 것으로 정리하였다. 분석은 표본선택 오류를 고려한 Heckman 2단계 분석을 활용하였다. 1단계 리모델링 여부(선택 확률) 분석결과 유의한 설명변수는 가구원수, 순자산, 주택만족도, 건축년도(11~20년), 건축년도(21~30년), 건축년도(30년 초과)로 나타났다. 2단계 리모델링 투입 비용 분석결과 유의한 설명변수는 순자산, 면적, 건축년도(30년 초과), 단위주택가격으로 나타났다. 분결 결과를 통해 면적증가나 리모델링 비용 충당을 위한 세대수 증가, 수직 증축 허용 중심의 현행 리모델링 활성화 정책이 큰 효과가 없을 것으로 실증되었다. 더불어 연령 변수와 관련하여 고령자라 하더라도 순자산과 소득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서울 및 경기도의 고령자의 경우에는 선행연구에서 선택확률이 낮아지고 투입비용이 줄어드는 것과 달리 리모델링 선택 확률과 투입비용 규모 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담도시권 특성이 지역 아파트가격 수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Urban Area on the Apartment Price Level of the Area)

  • 유상범;이창수
    • 지역연구
    • /
    • 제38권4호
    • /
    • pp.31-44
    • /
    • 2022
  • 본 연구는 당해도시와 연담도시권 내 도시들의 특성과 단위면적(m2)당 아파트 거래가격 간의 상관성을 확인하는 목적을 가지고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당해 도시 및 연담도시권 내 도시들이 인구 특성. 산업 특성, 도시계획사업 및 개발사업 특성, 입지적 특성이 아파트 m2당 매매가격 형성의 원인으로 작용하는지, 당해도시와 연담도시 간에 차별적인 특성을 보이는지 또한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에 차별적인 특성을 보이는지를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인구특성 부문에서는 모두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부문과 도시계획사업 및 개발사업 특성 부문은 당해도시에서는 유의하지 않게 나오지만, 연담도시권으로 분석하여 볼 때, 유의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된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여 볼 때, 인구 부문은 수도권 및 비수도권 모두 유의하게 나타나며, 입지적 부문에서는 강남구와의 거리만이 유의하게 나타난다. 이는 지금 수도권으로 인구가 집중되기 때문에 아파트 m2당 매매가격도 수도권 집중으로 높은 가격대를 형성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결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아파트 m2당 매매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할 때, 당해도시 뿐 아니라 인접 지역들의 특성을 같이 분석하여야 한다는 결과를 보여주며, 또한 부동산 정책을 실시할 때에도 당해도시 뿐 아니라 연담도시권으로 설정하여 주택시장 모니터링이 함께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제3종 분말소화기 대상별 내용연수에 따른 저장용기의 부식도 분석 (An Analysis on Storing Container Corrosion of Powder Extinguisher according to Durable Years of Each Type-3 Powder Extinguisher)

  • 손주달;공하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661-666
    • /
    • 2022
  • 이 연구는 내용연수에 따른 분말소화기 저장용기의 부식정도와 소화성능 변화를 고찰하여 상시 적정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시장지역, 공장지역, 공동주택지역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외부접촉 저장용기 부식 정도에 대한 실험값이 2012년 공동주택지역에서 부적합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화기 내구연한은 10년이나 1회에 한하여 샘플검사에 통과하면 길게는 13년을 사용하게 되지만, 사실상 소화기 수명은 배치장소의 주위환경 과 내용연수에 따라 차이가 크게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소화기 배치장소의 환경이 취약한 경우에는 더욱 빠르나, 통상적인 관리하에서 소화기의 내용연수 7~8년부터 소화기 저장용기의 부식이 일어나기 시작하므로 소화기의 내용연수를 5년 정도로 줄이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공공임대주택이 주변 전세시장에 미치는 효과: 서울시 장기전세주택(SHIFT)의 경우 (The Spillover Effect of Public Hosing Policy on Rental Housing Market: The Case of Seoul, Korea)

  • 양준석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405-41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장기전세주택(SHIFT 이하 시프트)이 주변 아파트의 전세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시프트 공급단지 5km 이내에 위치한 아파트들의 전세 실거래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프트로 인한 주변 아파트 전세가격의 변화를 추정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프트 공급 이후 2-3km 이내 아파트들의 전세가격은 공급 이전을 기준으로 4.4% 하락했다. 반면 그 보다 근접한 1-2km 이내 위치한 아파트의 전세가격은 유의미한 변화를 확인할 수 없었다. 그 이유는 시프트 단지의 공급으로 주변지역이 함께 개발되면서 아주 근접한 아파트들의 경우 시프트 공급으로 인한 가격하락 요인을 입지환경 개선으로 인한 가격상승 요인이 상쇄한 것으로 해석된다. 시프트 단지별 분석에서는 천왕2지구1단지와 서초네이처힐 1, 3, 6단지에서는 주변 아파트 전세가격을 하락시키는 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양재1단지, 묵동리본타워, 신내3지구2단지에서는 유의미한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단지별 효과가 상이한 이유는 해당 지역의 전세수요와 시프트 공급물량 등의 차이로 인한 결과로 판단된다.

웰빙 아파트에 대한 부산지역 잠재 수요자의 인식 조사 (An Investigation into Perceptions of Potential Customers in Busan towards Well-being Apartments)

  • 김주형;빈주영;오승문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5권6호
    • /
    • pp.154-161
    • /
    • 2004
  • 최근 새로운 트랜드로 떠올라 산업전반을 강타하고 있는 웰빙(well-being) 개념이 주택업계에도 활발하게 도입되고 있다. 2000년대 들어 공동주택 구매자들은 안락함을 누리며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기능을 보유한 차별화 된 아파트를 선호 하였고 이후 관련업계는 이러한 요구를 반영하여 건강 친환경 개념을 강조한 웰빙 아파트를 시장에 선보이고 있다. 이를 통해 관련업계는 침체된 부동산시장에서 돌파구를 찾고자 하고 있다. 업계측은 설계 및 평면에서 단지조경, 마감재의 차별 화등을 시도하면서 이를 웰빙 아파트라고 부르고 있다 그러나 업계가 주장하고 있는 웰빙 아파트에 대한 개념을 수요자들도 공감하고 있는지와, 실재 이들이 어떤 요소 혹은 기능을 웰빙 이라고 여기는지에 대한 조사는 미흡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향후 부산지역에서 웰빙 아파트를 구매할수 있는 잠재 수요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웰빙 아파트에 대한 전반적인 선호도 및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나 기능에 대한 세부집단별 차이를 분석해 관련업체가 향후 이들 세부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표적마케팅 방안을 수립하는데 참조할 수 있도록 한다.

선 타격 반발도 시험기의 반발도 경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Rebound Degree Tendency of Linear Hitting Test Hammer)

  • 안효수;서치호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313-322
    • /
    • 2005
  • 최근 들어 리모델링시장이 점차 신축시장의 대체시장으로 부각되고, 재건축아파트에 대한 안전진단의 문제가 사회의 주요 관심사가 되면서 기존 콘크리트 구조체의 상태에 대해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구조물 진단 및 평가가 요구되고 있으며, 비파괴 시험방법에 의한 콘크리트 압축강도를 추정하기 위한 데이터의 신뢰성에 대한 중요성이 점점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 타격 개념의 반발도 시험기를 적용하여 콘크리트 압축강도 추정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모색하고, 재령 및 타격각도에 따라 선 타격 반발도 시험기에 적용할 수 있는 압축강도 추정식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선 타격 반발도 시험기는 재령별, 타격각도별로 별도의 추정식을 제안하는 것이 콘크리트 압축강도 추정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압축강도와 반발도 사이의 상관관계는 초기 및 중기재령, 그리고 타격각도별로 초기재령 $-45^{\circ}$를 제외한 모든 부분에서 선 타격 반발도 시험기 25mm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기존의 슈미트해머에 비해 콘크리트 압축강도 추정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으로 분석되었다.

헤도닉 모델 추정시 GIS 공간분석기능에 의해 생성된 근린변수의 기여도에 대한 연구 - 토지이용도를 이용한 근린변수의 타당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ntribution of GIS-Created Neighborhood Quality Variables in Estimating Hedonic Price Models)

  • 손철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0권2호
    • /
    • pp.215-232
    • /
    • 2002
  • 본 연구는 근린유흥시설의 분포를 나타내는 헤도닉 모델의 근린변수가 지리정보시스템의 공간분석기능을 충분히 이용하여 측정되었을 경우, 그렇지 않을 경우에 비해 해당변수를 포함하는 헤도닉 모델의 통계적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를 평가하고 있다. 평가결과는 해당변수가 지리정보시스템의 공간분석기능을 충분히 이용하여 측정되었을 경우가 헤도닉 모델의 설명력측면에서 우월함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결과는 지리정보시스템이 단순한 직선거리를 추정하는 것 이상으로 헤도닉 모델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이고 있으며 주택시장의 행태를 설명하는 이론적으로 타당한 근린변수의 측정을 위해 보다 적극적으로 이용되어야 함을 실증적으로 보이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