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Urban Area on the Apartment Price Level of the Area

연담도시권 특성이 지역 아파트가격 수준에 미치는 영향

  • 유상범 (가천대학교 도시계획학과 ) ;
  • 이창수 (가천대학교 도시계획학과 )
  • Received : 2022.11.18
  • Accepted : 2022.12.26
  • Published : 2022.12.3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confirming the relevance and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ities and cities in the neighborhood area, focusing on the sale price per square meter of apartment. Specifically, it was intended to determine whether cities in the relevant city and neighborhood area have differenti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non-metropolitan area, whether industrial characteristics, urban planning and development project characteristics, and location characteristics. Comparing the research results of the city and metropolitan area,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in all areas of population characteristics. Industrial and urban planning projects and development project characteristics sectors are not significant in the city, but they appear significant when analyzed in the urban area of the year. When classifying and analyzing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non-metropolitan area, both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non-metropolitan area were significant in the population sector, and only the distance from Gangnam-gu was significant in the local sector. Since the population is concentr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now, the sale price per square meter of apartments is also concentr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hich is believed to result in such a result. This is judged to be an analysis that appears becau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able status of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non-metropolitan area are different. Accordingly, this study show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neighboring areas as well as the city should be analyzed when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sale price per square meter of apartment, and suggests that housing market monitoring needs to be carried out together.

본 연구는 당해도시와 연담도시권 내 도시들의 특성과 단위면적(m2)당 아파트 거래가격 간의 상관성을 확인하는 목적을 가지고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당해 도시 및 연담도시권 내 도시들이 인구 특성. 산업 특성, 도시계획사업 및 개발사업 특성, 입지적 특성이 아파트 m2당 매매가격 형성의 원인으로 작용하는지, 당해도시와 연담도시 간에 차별적인 특성을 보이는지 또한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에 차별적인 특성을 보이는지를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인구특성 부문에서는 모두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부문과 도시계획사업 및 개발사업 특성 부문은 당해도시에서는 유의하지 않게 나오지만, 연담도시권으로 분석하여 볼 때, 유의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된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여 볼 때, 인구 부문은 수도권 및 비수도권 모두 유의하게 나타나며, 입지적 부문에서는 강남구와의 거리만이 유의하게 나타난다. 이는 지금 수도권으로 인구가 집중되기 때문에 아파트 m2당 매매가격도 수도권 집중으로 높은 가격대를 형성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결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아파트 m2당 매매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할 때, 당해도시 뿐 아니라 인접 지역들의 특성을 같이 분석하여야 한다는 결과를 보여주며, 또한 부동산 정책을 실시할 때에도 당해도시 뿐 아니라 연담도시권으로 설정하여 주택시장 모니터링이 함께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가천대학교 학술지원금으로 진행된 연구임

References

  1. 김영수, 2003, "지식기반산업의 지역별 발전동향과 정책시사점", 1. 장몽현, 김한수, 2020, 공간계량모형을 활요한 아파트가격 영향요인 분석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79-86.
  2. 고주형.강명구, 2019, 부동산 가격 요인과 가격상승률 요인 비교 연구: 서울시 재건축 아파트를 중심으로, 한국부동산학회, 부동산학연구 제25집 제2호, 7-22.
  3. 김효진, 2018, 거시경제 변수와 주택정책이 아파트가격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부동산대학원
  4. 김진수, 2013, 거시경제 변수를 이용한 부동산정책 효과 실증분석,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오준목, 2021, 도시규모별 아파트 가격 영향요인 비교분석,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박지훈.이학기, 2010, 공사비 입력변수 수준분류를 통한 데이터마이닝 예측기법의 정확도 분석,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12(3), 301-308.
  7. 김민정, 2014, 인구구조 변화가 주택가격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대도시의 고령화, 베이비붐세대 은퇴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박운선.임병준, 2010, 헤도닉 가격모형을 활용한 아파트 가격결정요인 분석 - 서울시 및 부산시를 중심으로, 대한부동산학회지.
  9. 정유진, 2002, 서울시 강남.북 지역간 주택가격결정 요인의 차이에 대한 실증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동중, 2009, 지역 기반산업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박헌수.정수연.노태욱, 2003, 공간계량경제모형을 이용한 아파트가격과 공간효과분석, 국토계획 제38권 5호.
  12. 진상헌, 2009, 브랜드가 아파트 가격 형성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경희, 2010, 한국의 주택정책이 아파트 가격 변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태경.권대한.정지이, 2007, 주택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적 특성에 관한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15. 국토교통부 도시재생사업단, 2014, 도시재생 R&D 종합성과집.
  16. 법제처, https://www.law.go.kr
  17.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https://rt.molit.go.kr
  18. KOSIS 국가통계포털, https://kosis.kr
  19.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 https://theme.archives.go.kr/cyber
  20. 김리영.서원석, 2017, 수도권 연담도시 간 인구이동과 주택시장의 변동성 분석, 한국부동산학회, 159-172.
  21. 박정연.이창효, 2022, 서울대도시권 청년 1인 및 신혼 가구의 소득수준별 주거입지 선택요인, 지역연구, 38(1), 45-56. https://doi.org/10.22669/KRSA.2022.38.1.045
  22. 이민주.박인권, 2016, 지역 특성에 따른 소득별 직주불일치에 관한 연구. 지역연구, 32(1), 67-82. https://doi.org/10.22669/KRSA.2016.32.1.067
  23. 김의준.김양수.신명수, 2000, 수도권 아파트 가격의 지역간 인과성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35권 제1호.
  24. 김태경, 2011, 지역특성(Locality)이 지역의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기개발연구원.